진흙속의연꽃

이념의 노예가 되지말자

담마다사 이병욱 2021. 4. 23. 08:15

이념의 노예가 되지말자


입차문래막존지해, 불교인이라면 이 말을 한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 문에 들어오거든 아는 것을 내려 놓으라는 것이다. 산사 입구 일주문에서도 볼 수 있고 법당 주련에서도 볼 수 있다.

입차문래막존지해
(入此門來 莫存知解)는 초기경전에서도 발견된다. 상윳따니까야에 빠무짠뚜 삿당이라는 말이 그것이다. 이 말은 자신의 신앙을 버려라!”라는 말이다. 좀더 세련된 말로 하면 이데올로기를 버려라!”라는 말이다. 부처님은 왜 신앙을 버리라고 했을까? 그것은 기존 신앙을 가지고 있으면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부처님은 사함빠띠 브라흐마의 청원으로 세상에 담마를 전하기로 했다. 그러나 처음에는 망설였다. 과연 이 진리를 세상사람들이 이해 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한 것이다.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는 역류도*逆流道)이기 때문이다. 세상 사람들의 흐름과는 반대로 가는 진리임을 말한다.

세상에는 수많은 사상이 있다. 부처님 당시에도 그랬다. 육사외도라 하여 여섯 외도의 스승이 말한 것이 크게 유행했다. 기존 사상도 있었다. 사성계급의 정점에 있었던 바라문교를 말한다.

바라문교는 영원주의였다. 어떤 변치 않는 자아가 있어서 윤회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자아와 세상은 영원하다.”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영원주의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영혼이 있다고 보는 사상은 모두 영원주의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부처님 당시나 요즘이나 변치 않고 유행하는 사상이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허무주의이다. 허무주의는 유물론적 견해를 말한다. 이 몸과 마음을 물질로 보는 것이다. 정신도 물질에서 파생된 것으로 본다.

 

허무주의는 몸이 무너져 죽으면 정신도 죽어서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다고 본다. 사대로 이루어진 이 몸은 사대로 흩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이런 견해는 오늘날 과학에서도 볼 수 있다.

과학은 물질을 탐구한다. 물질을 쪼개고 또 쪼개서 궁극을 보고자 한다. 그래서 양자역학에 이르렀다. 또한 과학은 거시세계도 탐구한다. 우주를 연구하는 것이다. 중력에 의한 상대성 이론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과학은 공통적으로 물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는 다름 아닌 유물론이다.

유물론에 바탕을 둔 사상이 유행하면 모든 것을 유물론적으로 해석한다. 오온도 물질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죽으면 끝나는 것으로 본다. 이런 유물에 이름 붙인다면 과학적 유물론이라 해야 할 것이다.

요즘은 과학의 시대이다. 문명도 과학에 기반한다. 그래서 물질문명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문명은 물질문명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정신문명도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물질문명으로 정신문명을 재단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과학적 잣대를 대는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으면 믿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철저하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다. 자신의 눈으로 본 것만 믿는 것이다. 과학적 유물론자들이 내세나 윤회를 믿지 않는 이유가 이에 해당된다.

영원주의나 허무주의를 이데올로기라고 한다. 뒤에 주의가 붙으면 이데올로기가 되는 것이다. 영어로는 이즘(ism)’이다. 한자로는 이념이다. 이를 불교에서는 견해라고 한다. 빠알리어로는 딧티(ditthi)’이다. 그래서 영원주의와 허무주의는 견해가 된다.

견해에는 정견이 있고 사견이 있다. 바른 견해가 있는가 하면 삿된 견해도 있는 것이다. 부처님 가르침은 정견이다. 특히 사성제의 가르침을 정견이라고 말한다. 사성제가 아닌 것은 자연스럽게 사견이 된다. 영원주의, 허무주의, 숙명론, 우연론 등과 같은 사견이 있다.

정견과 사견을 구분하는 것은 무엇일까? 연기법이 정견과 사견을 가른다. 원인()과 조건()과 결과()에 바탕을 둔 견해는 정견이 된다. 반면 사견은 인연과에 바탕을 두지 않는다. 인과가 무시된 견해를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업과 업보를 무시하면 사견이 되는 것이다.

부처가 출현하기 전에는 사견의 세상이다. 영원주의 아니면 허무주의 세상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부처가 출현하여 진리를 설하면 기존 사상과 충돌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정각을 이루고 나서 먼저 듣는 자들은 자신의 신앙을 버려라.(pamuñcantu saddha
)”(S6.1)라고 말했다.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려면 자신이 신봉하는 사상을 내려 놓아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상충돌이 일어난다. 영원주의자가 허무주의 이론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과 같고, 허무주의자가 영원주의를 용납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래서 부처님은 진리를 설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먼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앙을 버리라고 했다.

세상사람들은 흐름대로 산다. 여러가지 견해가 있지만 결국 탐욕, 성냄, 어리석음으로 사는 것이다. 그런데 부처님의 가르침은 역류도라는 것이다. 세상의 흐름과는 반대로 가는 것이다. 무탐, 무진, 무치로 살아 가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흐름을 거스르다 보니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먼저 기존 사상을 버리라고 했다.

영원주의와 허무주의는 양극단이다. 부처님은 양극단을 배제했다. 부처님은 중도를 설했다. 그렇다고 중간길이 아니다. 중도는 한마디로 바른길이다. 바른길은 팔정도를 말한다. 팔정도가 중도인 것이다.

팔정도의 정견은 사성제이다. 사성제는 연기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도는 연기법이 된다. 그래서 부처님은 깟짜야나여, 여래는 그러한 양극단을 떠나서 중도로 가르침을 설한다. 무명을 조건으로 형성이 생겨나고,...”(S12.15)라며 연기의 순관과 역관을 설했다.

부처님은 양극단을 떠나 중도를 설했다. 중도의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적용된다. 이념 갈등에도 중도의 가르침을 적용할 수 있음을 말한다. 그것은 이념의 노예가 되지 않는 것이다.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가르침이다.

중도는 중간길이 아니라 바른길이다. 바른길은 팔정도의 길이다. 연기법에 바탕을 둔 바른길을 말한다. 누구든지 팔정도의 길로 가면 양극단에서 자유로워진다. 팔정도의 길로 가면 이념의 노예가 되지 않는다. 나는 오늘도 에왕메 수땅 에깡 사마양 바가와하며 팔정도경(S45.8)을 암송한다.


2023-04-23
담마다사 이병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