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가져다 먹은 김치의 양은 얼마나 될까?
이제까지 가져다 먹은 김치의 양은 얼마나 될까?
달랑무와 백김치를 가져왔다. 처가집에서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처가라는 말이 무색하다. 장모님 홀로 살고 있기 때문이다.
처가에 가면 늘 가져온다. 늘 챙겨 주는 것이 있다. 그것은 김치이다. 배추김치, 열무김치 등 갖가지 김치를 팔팔년 이후 가져다 먹고 있다. 그래서일까 아직도 한번도 집에서 김치를 담구어 본 적이 없다.
어제도 김치를 챙겨 주었다. 이번에는 백김치이다. 딸이 위장이 좋지 않다고 하여 백김치를 담구었다고 한다. 오랜만에 맛보는 백김치이다. 짠맛에 씹는 맛이 난다.
요즘은 아들보다 딸인 것 같다. 처가집을 보면 그런 것 같다. 장모님은 딸과 친하기 때문이다. 아들이 있기는 하지만 무심하다. 아들 주려고 김치를 준비하지만 자주 오지 않으니 섭섭해하는 것 같다. 어느 집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아들보다 딸을 부러워하는 것 같다.
오년 전까지만 해도 양가부모님이 모두 살아 있었다. 불과 오년만에 장모 한분만 남게 되었다. 부모가 모두 돌아 가셨을 때 친구가 하던 말이 생각 났다. “이제 고아가 되었다.”라고. 그러나 한분은 살아 계시다.
그때가 언제였던가? 수십년이 지났건만 아직까지 챙겨주고 있다. 이제까지 가져다 먹은 김치의 양은 얼마나 될까?
“일겁의 세월만 윤회하더라도
한 사람이 남겨놓는 유골의 양은
그 더미가 큰 산과 같이 되리라고
위대한 선인께서는 말씀 하셨네.”(S15.10)
이제까지 먹은 김치를 쌓아 놓으면 산더미가 될 것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장모님표 김치는 이 세상에서 최고의 맛이다.
2021-05-03
담마다사 이병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