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스크리트만트라1]산스크리트성가,황혜음(Imee Ooi)
산스크리트 [Sanskrit]
고대 인도의 표준·고급·문장어. 중국 및 한국에서는 범어(梵語) 또는 천축어(天竺語)라고도 한다. 원래 <정화(淨化)·세련·완성>을 뜻하는 동사 samskr-의 과거수동분사 산스크리타(samskr-ta)에서 만들어진 말이며 <정화되고 세련된> 또는 <완성된> 언어(bhāşyā)를 의미한다. 또, 같은 samskr-에서 파생한 명사형 산스카라(samskāra)는 고대 인도인이 그 인생의 중요한 단계에서 치러야 할 통과의례를 의미하는데, 거기에는 종교적인 의미가 들어 있다. 속(俗)에 대한 성(聖), 자연에 대한 인공이라는 의미가 강하고, 이런 것들이 산스크리트의 특징이다.
즉 산스크리트는 인도의 교양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현재도 정식 의식에서는 산스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1784년에 영국인 W. 존스가 산스크리트와 서양 고전어의 유사성을 지적한 이래, 인도유럽어 비교언어학의 성과는 이 언어의 계통을 명확히 하였다. 산스크리트의 고어는 옛 이란어와 매우 가깝고, 두 언어는 인도이란어를 형성한다. 그것은 또 그리스어·라틴어·게르만어·슬라브어 등과 자매관계에 있고 모두 인도유럽어에 연원을 두고 있다.
BC 15세기 무렵 이란고원의 북서쪽에서 인도에 침입해 온 아리아인은 원주민을 몰아내고 펀자브지방에 정착하였다. 그리고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리그베다(BC 12세기 무렵)》라고 하는, 신들에 대한 찬가를 모은 책을 전하였다. 그로부터 BC 4세기 무렵까지의 산스크리트의 고어를 보통 <베다어>라고 한다. 베다어는 고전산스크리트보다 복잡한 변화를 하고, 특수어휘를 가지며, 지리적으로도 다채로운 양상을 띠고 있다.
BC 4세기 무렵에 문법학자 파니니가 당시 교양인의 언어를 표준으로 문법규칙을 세목별로 논하고 고금을 통해 뛰어난 규범문법을 편찬하였다. BC 2세기에는 카티야야나·파탄잘리 등이 <파니니문전(文典)>을 다시 부연하여 산스크리트는 문자 그대로 <세련되고 완성된> 언어로 확립되었다.
이리하여 그 이후의 뛰어난 문필가는 파니니문법의 규칙을 기준으로 삼게 되었고 산스크리트는 문법학자가 정한 대로 고정되었으므로, 원칙적으로 이 언어에서는 언어의 자연적인 추이와 변화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시 산스크리트는 인위어·교양어의 성격을 지녔으며, 작품에 범인도적 타당성을 기하여 이름을 후세에 남기려고 했던 사람은 산스크리트로 문장을 썼으므로, 철학·문학·종교에 걸친 인도문학의 정수는 이 언어에 의해 전해졌다고 할 수 있다.
명사는 성에 남성·여성·중성의 3성, 수에 단수·쌍수·복수의 3수(따라서 복수는 셋 이상이다), 격에 주격·대격·여격·탈격 등 8격을 갖추고 모음·자음에 걸치는 많은 어간이 이 테두리 안에서 변화한다. 형용사는 명사의 성에 따라 변화하며, 대명사는 인칭대명사·지시대명사·관계대명사 등 명사와 같은 테두리 안에서 변화하는데 격에 따라 독특한 어미를 가진다.
동사는 다른 활용방법에 따라 10종류로 분류되며 태(態)에 능동태·수동태·중간태, 법에 직접법·가능법·명령법, 시제에 현재·미래·과거, 과거시제는 그 양상에 준하여 반과거·완료·부정과거(不定過去)로 되어 있다. 제2차 활용으로서 사역법(使役法), 희구법(希求法), 강의활용(强意活用), 명사의 동사화 등이 있는데 특수한 접두사·접미사를 붙여서 만든다.
부정동사형(不定動詞形)에는 부정법(不定法), 절대법, 각종 분사가 있고 조어법도 풍부하며 활발하게 전개한다. 합성어는 동사합성어와 명사합성어로 나뉘며 명사합성어는 특히 복잡하여 고전산스크리트의 한 특징으로 되어 있다.
정규의 표준적 교양어인 산스크리트 외에 인도아리아어는 통속어인 여러 프라크리트제어의 발달을 보았다. 이 속어들은 산스크리트에 비해 음운론적·형태론적으로도 단순화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반면에 역사적·지리적인 방언상의 차이를 나타내며 산스크리트와 같이 획일화되는 일이 없었으므로 형태론상에서는 많은 형태가 병존하여 매우 다채롭다.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리그베다》에 연원하는 것도 있는데, 그 방언 분포의 양상은 BC 3세기의 아소카왕의 법칙비문군(法勅碑文群)에서 엿볼 수 있다. 또 정통 브라만교에 반기를 들었던 불교나 자이나교는 그들의 경전을 통속어로 전했으므로 팔리어·아르다마가디어는 프라크리트의 고어를 보여준다. 중세에는 희곡용 프라크리트가 4종 있었는데, 희곡에 등장하는 여성·어릿광대 등은 브라만이나 왕족이 산스크리트로 말하는 데 반해 프라크리트를 사용한다.
프라크리트제어는 시대와 함께 더욱 변화하여 아파브란샤어의 단계를 거쳐 근대 인도아리아어(북인도의 현대어)로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인도아리아어 역사는 베다어보다 속어 프라크리트제어를 통하여 자취를 더듬어 보아야 할 것이며, 이에 반해 산스크리트는 역사적 변화 흐름에 휩쓸리는 일이 없이 만고불변의 성스러운 언어·표준어·고급어·교양어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산스크리트도 역사적으로 인도아리아인이 접촉했던 이민족에게서 그 언어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것은 주로 남인도의 드라비다어로서, 산스크리트의 어휘에 혼입되어 구문론(構文論)에도 자취가 남아 있다.
산스크리트는 브라만문화의 매체로서 타이·미얀마·캄보디아·라오스 등 인도차이나반도에 전파되었다. 또 불교의 전파와 함께 중앙아시아·중국·한국을 거쳐 일본에까지 산스크리트가 전하여졌다. 진언밀교(眞言密敎)의 의식이나 다라니는 산스크리트 원음을 음사하여 전하며, 또 한국어의 어휘에도 가사(袈裟)·가람(伽藍) 등 산스크리트에 연원하는 말이 많다.
산스크리트만트라 첫번째로 산스크리트성가(불정존승다라니,Usnisa Vijaya Dharani Sutra)를 황혜음(Imee Ooi)창으로 공양 합니다.
http://www.puxian163.com/fo/fo-index-yyfb/fjyy/fo_huang.mp3
나모바가바테. 트라이로캬. 프라티비시스타야. 붇다야. 바가바테. 타댜타. 옴. 비숟다야.
사마사만타. 바바사. 스파라나 가티가하나. 스바바바비숟데. 아비심차투맘. 수가타바라바차나.
아므르타비사이카이. 아하라아하라. 아유산다라니. �다야�다야. 가가나비숟데.
우스니사비자야비숟데. 사하스라라스미삼수디테. 사르바타타가타바루카니. 사트파라미타파리푸라니.
사르바타타가타흐르다야. 디스타나디스티타. 마하무드레.
바즈라카야. 숨하타나 비숟데. 사르바바라나바야 두르가티 파리숟데. 프라티니바르타야. 아유숟데.
사마야디스티테. 마니마니마하마니. 타타타부타. 코티 파리숟데 비스포타 보디숟데.
자야자야. 비자야비자야. 스마라스마라. 사르바붇다. 디스티타숟데.
바즈리바즈라가르베.
바즈람바바투 마마. 샤. 사리람 사르바사트바남차. 카야 파리비숟데. 사르바가티 파리숟데.
사르바타타가타 스차메 사마스바사얌토 사르바타타가타. 사마스바사 디스티테.
붇댜 붇댜. 비부다야 비부다야. 사만타 파리숟데. 사르바타타가타 흐르다야. 디스타나디스티타.
마하무드레 스바하.
진흙속의연꽃
'불교명상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비주(大悲呪) 1] 산스크리트 고범음판25분 ,황혜음(Imee Ooi) (0) | 2007.07.22 |
---|---|
[팔리어 만트라2]보석경(Ratana Sutta)27분판,황혜음(Imee Ooi) (0) | 2007.07.20 |
[반야심경 만트라 2] 산스크리트어 남녀합창판 (0) | 2007.07.14 |
[팔리어 만트라1] 자비송(Metta Sutta),황혜음(Imee Ooi) (0) | 2007.07.10 |
[옴마니반메훔 만트라1] 남성중음26분판 (0) | 200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