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명상음악

불교음악의 진수 십일면관음대비주,마음의 치유와 자비심의 이메이우이음악

담마다사 이병욱 2008. 10. 17. 15:19

 

 

불교음악의 진수 십일면관음대비주,마음의 치유와 자비심의 이메이우이음악

 

 

 

위키피디아로 찾아 본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은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보살이다. 사찰에 가보면 석가모니 부처님 옆에 지장보살과 함께 협시불로 모셔져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도량이 아미타여래나 비로자나불이 주불이라면 별도의 관음전이 있는 것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바닷가에 면한 사찰에는 해수관음이 모셔져 있고 관음성지로서 수 많은 기도객과 관광객이 찾고 있다.

 

관세음보살은 우리나라에서만 인기있는 보살은 아니다. 동아시아 에서도 단여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한자로 관음이라 불리는 관세음보살은 각나라 마다 조금씩 발음이 다르게 나지만 관음이라는 어근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영문 위키피디아(Wikipedia)에 나와 있는 관음에 대하여 번역해 보았다.

 

 

 

 

십일면관세음보살, 사진 www.evdd.com/

 

 

 

관인(Guan Yin)

 

'관인(Guanyin, 觀音)'은 보통 여성이미지로서 동아시아 불자들에게 경배되는 연민의 보살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또한 중국인의 자비의 보살로도 알려져 있다. 관인이라는 이름은 '관시인(Guanshiyin, 觀世音)'의 약자이고 세상의 소리를 관찰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관인은 산스크리트어의 '아바로키테스바라(Avalokitesvara)'에서 유래하고 있고 관인의 남자이름이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양에서는 '자비의 여신(Goddness od Mercy)'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관인은 중국도교에서도 불사의 상징으로 존경 되고 있다. 그러나 도교의 신화와 관인과의 뿌리는 다르며 아바로키테스바라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을 유의 해야 한다.

 

관인의 기원에 관해서는 학자들간에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공식적인 불교도 관점에서 보면 관인은 남성이미지의 아바로키테스바라에서 기원하고 있다. 그러나 관인은 관시인에서 기원 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고 중국이나 한국, 일본, 베트남의 보살(여성으로서)의 이미지는 또 다른 소스로 부터 나온다. 해당 국가에서 처음으로 나타났던 관인은 그 지역의 토착적여신 즉 서양의 황태후(Queen Mother)와 같은 이미지 이었다는 것이다.

 

동아시아에서의 불리는 여러 이름

 

관시인이 관인으로 변경 된 이유는 당나라 시대 태종인 이세민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 자신의 가운데 이름인 세을 사용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관인으로 불리워졌다는 설이다. 일본에서는 관인은 '칸온(Kannon, )'으로 발음 된다. 종종 '카논(Kanon)' 또는 더 공식적으로는 '칸제온(Kanzeon, 世音)'으로도 발음 된다. 스펠링 Kwannon은 근대에 사용된 발음 형식이고 종종 사용 되고 있다. 한국에는 '관음(Gwan-eum)' 또는 '관세음(Gwanse-eum)'으로, 타이에서는 '콴임(Kuan Eim)' 또는 '프라 매 콴임(Prah Mae Kuan Eim)'으로, 베트남에서는 '콴암(Quan Âm)' 또는 '콴 테 암 보 탓(Quan Âm or Quan Thế Âm B Tát)'으로 불라워 지고 있다. 홍콩에서는 '콴음(Kwun Yum)'이라고 쓰여진 사찰이름을 많이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데비(Devi)' 또는 여신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데위(Dewi)' 를 참작한 '콴임(Kwan Im)' 또는 '데위 콴임(Dewi Kwan Im)' 이라는 이름을 볼 수 있다. 같은 나라에서 특히 일본과 같은 경우는 다른 발음의 칸지자이 (Kanzejizai, 自在)가 또한 잘 입증 되고 있다.

 

 

위키디피아를 보면 관음의 어원은 아바로키테스바라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한자어 관음이 각국어로 변형되어 불리 우고 있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중국어로는 관인이고 일본어로는 칸온이다. 베트남에서는 콴암이라 하고 홍콩에서는 콴음, 인도네시아에서는 콴임이라 한다. 발음상 약간 차이는 있지만 어원은 같다고 볼 수 있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일본에서는 관음과 관자재가 어우러져 쓰고 있다는 사실이다.

 

관음신앙으로 본 다면 동아시아는 하나의 단일 문화권이라 볼 수 있다. 불교라는 공통적인 정서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불교문화가 가장 꽃피웠던 시기는 당나라시대이다. 이때 퍼진 불교가 지금까지 1000년 이상 면면히 이어 와서 불교를 매개로 한 아시아적 가치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 보는 관세음보살이나 일본에서 보는 관세음보살은 우리가 보는 관세음보살과 똑 같다. 다만 형상화 하였을 때 그 나라의 생활과 풍속이 어느 정도 반영 되었지만 자비를 기반으로 한 중생구제자로서의 관세음보살의 이미지는 동일 하다.

 

불교음악의 새로운 장르

 

관세음보살에 관한 대표적인 경전은 관음경이다. 법화경에 있는 관세음보살보문품이다. 관세음보살을 명호 하면 7난을 피해 갈 수 있고 구남 구녀 할 수 있다는 어찌보면 타력신앙적인 요소가 다분한 경전이다. 그러나 명호 하는 것이 절대자에게 맹목적으로 매달리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명호 하는 것도 일종의 자기수행으로 보기 때문이다. 명호함으로써 자신을 청정히 하였을 때 비로서 명호에 대한 감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관음경 못지 않게 인기 있는 경전이 천수경이다. 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유포 되어 있고 일종의 생활경전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천수경중에서도 다라니가 있다. 주로 관세음보살의 보살행을 찬탄 하는 내용이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한자투의 문장을 그대로 한글화 한 것이다. 그래서 원래의 산스크리트 하고는 발음상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트라음악이 있다. 생소한 음악 장르라고 볼 수 있다. 경전의 게송이나 진언, 다라니를 현대음악으로 구현 한 것이다. 현대판불교음악이라 볼 수 있다. 만트라음악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시작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주로 중국사이트를 통해서이다. 그 이전 까지는 천수경이나 금강경을 독송용 테이프로 듣는 것이 고작이었으나 지금으 현대음악이 가미 되어 단순하고 지루 하지 않게 때로는 흥겨운 리듬으로 작곡한 것이 특징이다. 만트라 음악 중에서도 불자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음악이 옴마니반메훔과 대비주 일 것이다. 옴마니반메훔은 6자로 된 진언으로서 옴마니반메훔을 계속 반복 하여 내 보내고 있다. 여기에다 리듬을 섞어서 곡을 만들면 좀 더 색다른 맛이 난다. 이렇게 하여 여러 버전이 나와 있다.

 

이에 비하여 대비주는 비교적 긴 다라니를 채용했기 때문에 반복성은 적다고 볼 수 있다. 다라니에 리듬을 주고 현대음악적인 요소를 가미 했기 때문에 마치 유행가를 듣는 기분이 들 때도 있다. 잔잔하게 흐르는 조용한 분위기의 곡이 있는가 하면 경쾌한 무곡풍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지 다라니 내용은 변함 없고 음악 장르만 다를 뿐이다. 다라니가 현대음악과 만나면서 대중화 되었다는 것을 말해 주기도 한다. 이런 작업은 불교를 쉽게 접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교효과도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기독교가 단기간 동안 퍼져 나간 이유도 바로 찬송가와 같이 따라 부를수 있는 노래가 있고 그 노래를 들으면서 신심을 더 키워 나갔던 데 있을 것이다.

 

인터넷시대에 중국으로 부터 건너온 대표적인 만트라음악인 대비주는 크게 세가지 종류가 있다. 즉 113구대비주(금강지삼장역본)와 84구대비주 그리고 십일면관음근본주(속칭 장전대비주, 일명 티벳대비주)이다.

 

113구대비주

 

금강지삼장역본은 당나라 현장법사가 다라니를 직접번역한 다라니이다. 113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113구 다라니라고도 한다. 우라나라의 천수경에서 보는 신묘장구대다라니와 매우 유사하다.

 

 

금강지삼장역본 113구 다라니

 

【千手千眼自在菩广大圆满无碍大悲心陀本一卷】

曩慕()怛曩(二合)(二合)夜耶()曩莫阿()哩夜(二合二)
[*]谛湿嚩(二合)()()(毛上音下同)(二合下同)() ()贺萨(同上)
(
)(
)()噜聍(卷舌呼)()()()()()泚娜曩迦()()()()娑母()(二合)酢洒拿(卷舌呼)()()弥夜(二合)(十一)(二合)舍莽()曩迦()(十二)萨谜底多庾(二合)[*](二合)(十三)尾那舍曩()()(十四)()婆曳(十五)(二合)拿迦(去引)(十六)思每(二合)曩莽思吉哩(三合)(二合)()那摩阿哩夜(二合十七)[*]枳帝湿嚩(二合)皤使单儞罗姹闭(十八)()(二合)娜耶(十九)摩物刺(二合)以使夜(二合)(二十)()他些(二十一)戍畔阿尔延(二十二引)摩部(二十三)尾戍驮剑(二十四)(二合)(二十五)(二十六)()[*]()[*]迦莽底(二十七)[*]()[*](二合)[*(-+)]阿哩夜(二十八) [*]谛湿嚩(二合)(二十九)()冒地(二合三十)傒冒地(二合三十一)傒莽()冒地(二合三十二)傒比哩(二合)也冒地(二合三十三)傒莽()()噜聍(卷舌呼)(三十四)徙莽(二合)啰缬(二合)娜延(三十五)呬呬贺[*(-+)]阿哩耶(三十六)[*]谛湿嚩(二合)(三十七)()湿嚩(二合)(三十八)()(二合)(三十九)()噜聍(卷舌呼)(四十)些大耶些大耶(四十一)(二合四十二)傒祢傒多[*](四十三)满誐(四十四)尾捍莽尾莽悉陀()()湿嚩(二合)(四十五)尾演底(四十六)尾演底(四十七)驮啰驮罗达[*(-+)]印涅[*(-+)](三合)湿嚩(二合)(四十八)尾莽()(四十九)阿哩夜(二合五十) [*]枳帝湿嚩(二合)(去五十一)尔曩(二合)使拏(二合五十二)惹咤()()矩咤(五十三)嚩览摩跛(二合)摩尾(五十四)()徙陀()(二合)驮啰(五十五)(五十六)么攞么攞贺么攞(五十七)(五十八)(二合)史拏(二合)[*](二合)[*](五十九)(二合)史拏(二合)跛乞洒(二合)怩茄()(呼六十)傒跛娜莽(二合)徙多(二合六十一)罗聍舍左[*(-+)]湿嚩 (二合)(六十二)(二合)史拏(二合)萨啰(二合)也尔(二合)跛尾多(六十三)翳傒兮莽()贺嚩啰贺()(六十四)怛哩(二合)补啰湿嚩 (二合)(六十五)也拿[*](六十六)嚩罗()唎傒聍罗么贺()(六十七)贺罗贺罗(六十八)尾沙()怩尔[*](六十九)()尾沙()尾曩()舍曩(七十)那味(二合)()尾沙()尾曩舍曩(七十一)尾沙()尾曩()舍曩(七十二)户噜户噜罗户噜贺[*(-+)](七十三)跛那莽(二合)()(七十四)萨啰萨啰(七十五)徙哩徙哩(七十六)苏噜苏噜(七十七)(七十八)母地也(二合)母地也(二合七十九)大也(二合)大也(二合八十)弭帝(八十一)儞啰翳醯兮摩莽思体(二合)多徙(二合)母佉(八十二)(八十三)(八十四)()()(八十五)翳醯兮抱莽悉陀()谕诣湿嚩(二合)(八十六)娑拏娑拏()(八十七)些大耶些大耶尾(二合八十八)徙莽徙莽(八十九)瞻婆誐满单[*]枳多尾[*](九十)[*]计湿嚩(二合)[*]()怛他()誐单(九十一)娜娜()醯名娜哩舍(二合)(九十二)迦莽那哩(二合)(九十三)(二合)纥逻(二合)娜耶莽曩莎(九十四)也莎(九十五)也莎(九十六)也莎(九十七)驮谕诣湿嚩 (二合)耶莎(九十八)儞罗耶莎(九十九)嚩啰()母佉()耶莎(一百)(二合)母佉耶莎(一百一)(二合)达逻耶莎(一百二)跛娜莽(二合)贺萨跢(二合)耶莎(一百三)(二合)史拏(二合)(二合)[*]也尔(二合)跛尾耶莎(一百四)贺攞矩咤陀()()耶莎(一百五)斫羯()耶莎(一百六)()()耶莎(一百七)摩莽思建(二合)()味沙()思体(二合)(二合)史拏(二合)尔曩()耶莎(一百九)弭夜(二合)(二合)折莽儞嚩娑曩()耶莎[*]计湿嚩(二合)()耶莎(一百一十)()悉第湿嚩(二合)耶莎(一百一十一)曩慕婆誐嚩谛()哩夜(二合)[*]谛湿嚩(二合)()耶冒地(二合)耶莽贺萨(二合)耶莽()噜聍迦耶(一百一十二)悉殿(二合)睹名(二合)跛娜耶莎(一百一十三)

 

 

금강지삼장역본 113구 다라니에 대한 산스크리트 원문은 다음과 같다.

 


na mo raa tna tra yaa ya na ma.h aa ryaa va lo ki
te `sva raa ya bo dhi sa tvaa ya ma haa sa tvaa ya
ma haa kaa ru .ni kaa ya sa rva ba ndha na cche da
na ka raa ya sa rva bha va sa mu dra.m su k.sa .na
ka raa ya sa rva vya dhi pra `sa ma na ka raa ya
sa rve ti tyu bha ndra va vi naa `sa na ka raa ya
sa rva bha ye .syo tra .na ka raa ya ta smai na ma
sk.r tvaa i na maa ryaa va lo ki te `sva ra bha .si
ta.m ni ra ka.m .ta bhe naa ma h.r da ya ma vra ta
i cchya mi sa rvaa tha sa dha ka.m `su va.m a ji ya.m
sa rva bhuu ta na.m bha va ma rga vi `su ddha ka.m ta
dya thaa o.m aa lo ke aa lo ka ma ti lo kaa ti
kra.m te he ha re aa ryaa va lo ki te `sva ra ma
haa bo dhi sa tva he bo dhi sa tva he ma haa vo
dhi sa tva he vi rya bo dhi sa tva he ma haa kaa
ru .ni kaa smii ra h.r da ya.m hi hi ha re aa ryaa
va lo ki te `sva ra ma he `sva ra pa ra ma tra
ci tta ma haa kaa ru .ni kaa ku ru ku ru ka rma.m
sa dha ya sa dha ya vi dvya.m .ni he .ni he ta va
ra.m ka ma.m ga ma vi ga ma si ddha yu ge `sva ra
dhu ru dhu ru vi ya nti ma haa vi ya nti dha ra
dha ra dha re i ndre `sva ra ca la ca la vi ma
la ma ra aa ryaa va lo ki te `sva ra ji na k.r
.s.ni ja .taa ma ku .ta va ra.m ma pra ra.m ma vi ra.m
ma ma haa si ddha vi dya dha ra va ra va ra ma
haa ba ra ba la ba la ma haa ba la ca ra ca
ra ma haa ca ra k.r .s.ni v.r .na dii rgha k.r .s.ni pa
k.sa dii rgha ta na he pa dma ha sti ca ra ca ra
di `sa ca le `sva ra k.r .s.ni sa ra pa k.r ta ya
jyo pa vi ta e hye he ma haa va ra ha mu kha
tri puu ra da ha ne `sva ra na ra ya .na va ru
pa va ra ma rga a ri he ni ra ka.m .ta he ma
haa kaa ra ha ra ha ra vi .sa ni rji ta lo ka
sya raa ga vi .sa vi naa `sa na dvi .sa vi .sa vi
naa `sa na mu ha vi .sa vi naa `sa na hu lu hu
lu ma ra hu lu ha le ma haa pa dma naa bha sa
ra sa ra si ri si ri su ru su ru mu ru mu
ru bu dvya bu dvya bo ddha ya bo ddha ya mai te ni
ra ka.m .ta e hye he ma ma sthi ta syi.m ha mu kha
ha sa ha sa mu.m ca mu.m ca ma haa .taa .ta ha sa.m
e hye he pa.m ma haa si ddha yu ge `sva ra sa .na
sa .na vaa ce sa dha ya sa dha ya vi dvya.m smii ra
smi ra `sa.m bha ga va.m ta.m lo ki ta vi lo ki ta.m
lo ke `sva ra.m ta thaa ga ta.m da daa he me da r`sa
na ka ma sya da r`sa na.m pra kra da ya ma na svaa
haa si ddhaa ya svaa haa ma haa si ddhaa ya svaa haa si
ddhaa yo ge `sva ra ya svaa haa ni ra ka.m .ta ya svaa
haa va raa ha mu khaa ya svaa haa ma haa da ra syi.m
ha mu kha ya svaa haa si ddha vi dvya dha ra ya svaa
haa pa dma ha sta ya svaa haa haa k.r .s.ni sa rpa k.r
dhya ya jyo pa vi ta ya svaa haa ma haa la ku .ta
dha raa ya svaa haa ca kra yu dha ya svaa haa `sa ^nkha
`sa vda ni bo ddha naa ya svaa haa ma ma ska nda vi
.sa sthi ta k.r .s.ni ji naa ya svaa haa vyaa ghra ca ma
ni va sa naa ya svaa haa lo ke `sva raa ya svaa haa
sa rva si ddhe `sva ra ya svaa haa na mo bha ga va
te aa ryaa va lo ki te `sva raa ya bo dhi sa tvaa
ya ma haa sa tvaa ya ma haa kaa ru .ni kaa ya si
dvya ntu me va ntra pa daa ya svaa haa

 

http://buddha.goodweb.cn/

 

 

금강지삼장역본을 현대음악풍으로 만든 만트라 음악의 일부이다. 황혜음(黃慧音, Imee Ooi)창이다.

 

http://www.puxian163.com/fo/fo-index-yyfb/fjyy/da_113.mp3

 

 

 

84구대비주

 

한자로 84구로 이루어져 있어서 84구진언이라고도 한다. 중국의인터넷사이트에서 많이 볼 수 있고 현대악곡풍으로 수 많은 버전이 나와 있기도 하다.

 

84구 대비주의 한자어는 다음과 같다.

 

 

大悲 出自《千手千眼世音菩广大圆满无碍大悲心陀(八十四句)

 

南无、喝怛那、哆夜耶.南无、阿唎耶,婆羯帝、烁钵啰耶.菩提萨埵婆耶.摩诃萨埵婆耶.摩、迦尼迦耶.唵,啰罚曳.怛那怛.南无、悉吉栗、伊蒙阿唎耶.婆吉帝、室佛婆.南无、那啰谨墀.醯利摩、皤哆沙婆阿他、豆朋,阿逝孕,哆、那摩婆哆,那摩婆伽,摩特豆.怛侄他.唵,阿婆醯.迦帝.迦帝.夷醯唎.摩菩提萨埵婆.摩,摩醯摩醯、唎孕.俱、羯蒙.度罚阇耶帝.摩诃罚阇耶帝.陀.地唎尼.室佛耶.遮.摩么罚

穆帝隶.伊醯伊醯.室那室那.阿啰参、佛舍利.罚参.佛舍耶.呼.呼醯利.娑,悉唎悉唎.苏嚧苏嚧.菩提夜、菩提夜.菩夜、菩夜.弥帝唎夜.那啰谨墀.地利瑟尼那.波夜摩那.娑婆.悉陀夜.娑婆

悉陀夜.娑婆.悉陀喻艺.室皤耶.娑婆.那啰谨墀.娑婆.摩

娑婆.悉僧、阿穆佉耶,娑婆.娑婆摩、阿悉陀夜.娑婆.者吉、阿悉陀夜.娑婆.波陀摩、羯悉陀夜.娑婆.那啰谨墀、皤伽耶.娑婆.摩婆利、夜.娑婆.南无、喝怛那、哆夜耶,南无、阿唎耶.婆吉帝.夜.娑婆.唵,悉殿都.漫多.跋陀耶,娑婆

 

 

84구 대비주의 범어 원문은 다음과 같다

 

 

1. 南無喝囉怛那哆囉夜耶  NA MWO HE LA DA NWO DWO LA YE YE
2.
南無阿唎耶  NA MWO E LI YE
3.
婆盧羯帝爍
囉耶  PWO LU JYE DI SHI BU LA YE
4.
菩提薩
婆耶  PU TI SA TWO PE YE
5.
摩訶薩
婆耶  MWO HE SA TWO PE YE
6.
摩訶迦盧尼迦耶  MWO HE JYA LU NI JYA YE
7.
唵  NAN
8.
薩皤囉罰曳  SA PAN LA FA YE
9.
數怛那怛寫  SWO DA NA DA SYIE
10.
南無悉吉
塛埵伊蒙阿唎耶   NA MWO SYI JI LI TWO YI MENG E LI YE
11.
婆盧吉帝室佛囉楞馱婆  PE LU JI DI SHIR FWO LA LENG TWO PE
12.
南無那囉謹墀 NA MWO NA LAN JING CHI
13.
醯唎摩訶皤哆沙
  SYI LI MWO HE PAN DWO SA MIE
14.
薩婆阿他豆輸朋   SA PE E TWO DO SHU PENG
15.
阿逝孕   E SHI YUN
16.
薩婆薩哆那摩婆薩多那摩婆伽 SA PE SA DWO NA MWO PE SA DWO NA MWO PE CHYE
17.
摩罰特豆  MWO FA TE DO
18.
怛姪他  DA JI TA
19.
唵阿婆盧醯  NAN A PE LU SYI
20.
盧迦帝  LE JIA DI
21.
迦羅帝  JIA LA DI
22.
夷醯唎  JI XI LI
23.
摩訶菩提薩
  MWO HE PU TI SA TWO
24.
薩婆薩婆  SA PE SA PE
25.
摩囉摩囉  MWO LA MWO LA
26.
摩醯摩醯唎馱孕  MWO HE SYI MWO SYI LI TWO YUN
27.
俱盧俱盧羯蒙  JU LU LU JYE MENG
28.
度盧度盧罰闍耶帝 DU LU DU LU FA SHE YE DI
29.
摩訶罰闍耶帝  MWO HE FA SHE YE DI
30.
陀囉陀囉  TWO LA TWO LA
31.
地唎尼  DI LI NI
32.
室佛囉耶  SHR FWO LA YE
33.
遮囉遮囉  JE LA JE LA
34.
麼麼罰摩囉  MWO MWO FA MWO LA
35.
穆帝隸  MU DI LI
36.
伊醯伊醯  YI SYI YI SYI
37.
室那室那  SHI NWO SHI NWO
38.
阿囉
佛囉舍利  A LA SHEN FWO LA SHE LI
39.
罰娑罰
  FA SHA FA SHEN
40.
佛囉舍耶  FWO LA SHE YE
41.
呼盧呼盧摩囉  HU LU HU LU MWO LA
42.
呼盧呼盧醯利  HU LU HU LU SYI LI
43.
娑囉娑囉  SWO LA SWO LA
44.
悉唎悉唎 SYI LI SYI LI
45.
  SU LU SU LU
46.
菩提夜菩提夜  PU TI YE PU TI YE
47.
菩馱夜菩馱夜  PU TWO YE PU TWO YE
48.
彌帝利夜  MI DI LI YE
49.
那囉謹墀  NWO LA JIN CHI
50.
地利瑟尼那  DI LI SHAI NI NWO
51.
婆夜摩那 PE YE MWO MWO
52.
娑婆訶  SWO PE HE
53.
悉陀夜  SYI TWO YE
54.
娑婆訶  SWO PE HE
55.
摩訶悉陀夜  MWO HE SYI TWO YE
56.
娑婆訶  SWO PE HE
57.
悉陀
藝  SYI TWO YU YI
58.
室皤囉耶  SHI PAN LA YE
59.
娑婆訶  SWO PE HE
60.
那囉謹墀  NWO LA JIN CHI
61.
娑婆訶  SWO PE HE
62.
摩囉那囉  MWO LA NOU LA
63.
娑婆訶  SWO PE HE
64.
悉囉僧阿穆佉耶  SYI LU SENG A MU CHYE YE
65.
娑婆訶  SWO PE HE
66.
娑婆摩訶阿悉陀夜  SWO PE MWO HE A SYI TWO YE
67.
娑婆訶  SWO PE HE
68.
者吉囉阿悉陀夜  JE JI LA A SYI TWO YE
69.
娑婆訶  SWO PE HE
70.
波陀摩羯悉陀夜  BWO TWO MWO JIE SYI TWO YE
71.
娑婆訶  SWO PE HE
72.
那囉謹墀皤伽囉耶 NWO LA JIN CHI PAN CHYE LA YE
73.
娑婆訶  SWO PE HE
74.
摩婆利勝羯囉夜  MWO PE LI SHENG JYE LA YE
75.
娑婆訶  SWO PE HE
76.
南無喝囉怛那哆囉夜耶  NA MWO HE LA DA NWO DWO LA YE YE
77.
南無阿利耶  NA MWO E LI YE
78.
吉帝 PWO LU JYE DI
79.
爍皤囉夜  SHAO PA LA YE
80.
娑婆訶 SWO PE HE
81.
唵悉殿都  NAN SYI DIAN DU
82.
漫多囉  MAN DWO LA
83.
跋陀耶  BA TWO YE
84.
娑婆訶  SWO PE HE

http://buddha.goodweb.cn/

 

 


84구 대비주의 대표적인 현대악풍 버전은 다음과 같다(Imee Ooi).

大悲(八十四句 慧音 )

 

 

십일면관음근본주

 

속칭 '장전()대비주' 일명 '티벳대비주'라고도 한다. 113구 대비주나 84구 대비주에 비하여 짧은 것이 특징이다. 이 장전대비주도 수많은 버전이 나와 있고 가장 인기 있는 대비주라 볼 수 있다. 무곡풍서부터 매우 다양한 장르가 나와 있다.

 

범어 원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namo ratna trayaaya
拉的 的拉呀呀
namah aarya jn~aana
 saagara
摩 阿利呀 及泥呀 阿噶拉
vairocana vyuuha raajaaya
拜漏佳 拉阿加阿呀
tathaagataaya arhate samyak-sambuddhaaya
他阿噶阿呀 阿日哈 萨呣个萨呣布塔阿呀
namah sarva tathaagatebhyah arhatebhyah
  
日哇 他阿噶 破呀 阿日哈 破呀
samyak-sambuddhebhyah
萨呣个萨呣布台 破呀
namah aarya avalokite s/varaaya
  
阿利呀阿哇楼个 西哇拉阿呀
bodhisttvaya mahaa-sattvaya mahaa-kaarun.i-kaaya
包提
的哇呀 哈阿 的哇呀 哈阿噶阿 噶阿呀(其中的都是卷舌音)
tadyathaa
 aum
地呀他阿 乌呣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塔拉 塔拉 替利 替利
it.t.e va-it.t.e cale cale pra-cale pra-cale
 外 佳 播拉佳 播拉佳
kusume kusumavare
 ilim ili citi
苏买 苏玛哇累 丽呣 基帝
jvalam aapanaaya
 svaahaa
及哇喇
阿叭阿呀 斯哇阿哈阿

 

 

십일면관자재보살근본진언의 티벳어와 산스크리트 및 한자를 한번에 볼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다.

  

 

 

 

십일면관자제보살은 누구인가

 

그렇다면 대비중에 가장 인기 있는 십일면관자제보살은 누구인가. 자료를 보면 아래와 같다.

 

 

십일면관음보살 

 

열 하나의 얼굴을 지닌 관음보살. 6관음의 제4. 6() 중의 아수라를 교화한다. 관음신앙이 확산되면서 가장 일찍 힌두교의 신과 접합하여 변화된 관음보살이다. 십일면관음신주심경(-神呪心經)에 의하면 관음보살의 기본 얼굴을 제외하고 머리 위에 붙인 11면이 있다. 두상의 전면에 3, 그 좌우에 각각 3, 후면에 1, 정상에 1. 관세음보살의 별명으로서, 모든 방면을 관찰하여 보살핀다는 구제자로서 지녀야 할 능력을 구체화한 보살이다. 앞의 3면은 자비의 모습이며, 선한 중생을 보고서 기뻐하는 마음을 일으켜 찬양함을 나타낸다. 좌측의 3면은 진노의 모습이며, 악한 중생을 보고서 동정심을 일으켜 고통에서 구하려 함을 나타낸다. 우측의 3면은 흰 이를 드러내어 미소짓는 모습이며, 청정하게 실천하고 있는 자를 보고서 더욱 불도를 정진하도록 권장함을 나타낸다. 뒤의 1면은 포악과 폭소의 모습이며, 선하거나 악한 모든 부류의 중생이 함께 뒤섞여 있는 모습을 보고서 이들을 모두 포섭하는 큰 도량을 보임을 나타낸다. 정상의 1면은 부처의 모습이며, 대승의 근기를 지닌 자들에게 불도의 궁극을 설함을 나타낸다. 11면에 대해 정상의 1면은 부처가 됨을, 나머지 10면은 보살의 열 가지 단계인 10()를 나타낸다고 하며, 11품의 무명을 끊는다는 의미가 있다고도 해석한다. 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널리 신앙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상이 유명하다.

 

http://www.sutra.re.kr/

 

 

 

 

십일면관음, 사진 www.evdd.com/

 

 

십일면관자재보살은 얼굴이 열한개이다. 기본 얼굴을 제외 하고 전면에 3, 그 좌우에 각각 3, 후면에 1, 정상에 1면 이렇게 하여 11얼굴이 되는 것이다. 산스크리트어로 아바로키테스바라는 관자제보살로 번역된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면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이 된다. 천개의 손과 천개의 얼굴을 가진 보살이다. 두루 두루 살피어서 잘 보고 잘 들어서 구제 해준 다는 뜻이다. 천개의 손과 천개의 얼굴을 표현 하는 것은 한개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본얼굴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좌우상으로 얼굴을 나타냄으로서 사방을 보고 있다는 상징으로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런 십일면관자재보살은 힌두교와 습합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황혜음의 또 다른 음악세계 십일면관자재보살

 

만트라음악의 대표적인 곡인 대비주가 3가지 계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삼장법사가 번역한 금강지삼장역본 113구 대비주이고 또 하나는 84구 대비주이고 마지막으로 십일면관음대비주이다. 보통 현대악곡풍의 만트라는 이 십일면관음대비주가 가장 인기가 있다. 여러가수가 노래를 불렀지만 그 중에서도 단연 황혜음(黃慧音, Imee Ooi)이 돋 보인다. 황혜음의 노래는 듣는이로 하여금 마음의 치유와 자비와 지혜의 파동을 가져다 주는 마력이 있다. 그녀가 부른 많은 만트라음악 중에서도 대비주가 있다. 여러 버전이 있지만 가장 최근에 나온 대비주가 십일면관자재보살근본진언이다. 산스크리트어로는 'Arya Ekadasa-Mukha Dharani' 이다. 이 노래는 기존의 'the Great Compassionate Mantra'의 후속 버전이라 할 수 있다. 곡은 매우 느리게 진행 되고 마치 영혼을 정화 하는 듯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황혜음의 또 다른 음악세계를 보는 것 같다.

 

 

 

 

 

Imee Ooi

 

 

 

십일면관자재보살근본진언 (Arya Ekadasa-Mukha Dharani - Sanskrit, Imee Ooi )

http://mp3.evdd.com/fyf/zhuanji/jsy0ry01ekd.mp3

http://buddha.goodweb.cn/music/musicdownload3/jsy_01.mp3

 

 

 

 

2008-10-17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