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를 좇아서
무지개를 보았다. 태풍이 몰려 온다고 하는 날에 잠시 비가 개인 일몰에 무지개를 본 것이다.
도시에서 무지개를 보기란 그리 흔치 않다. 설령 무지개가 졌더라도 모르고 넘어가기 일쑤이다. 그런데 저녁 무렵 밖에 나왔을 때 하늘을 커다랗게 가로 질로 선명하게 무지개가 졌을 때 놓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디카로 촬영 하려 하였으나 그 날 따라 항상 소지 하던 디카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아름다운 무지개를 영원히 간직하고 싶어서 집으로 다시 들어가 디카를 가지고 나왔다. 그 사이에 무지개는 좀 옅어져 있었다. 촬영 하기 좋은 장소로 급히 이동하여 하늘을 보니 그 사이에 삼분의 일은 없어졌다. 급한 김에 우선 한 컷트 찍고 장소를 이동하는 중에 반은 사라졌다.
몇장의 사진을 찍고 돌아 서니 일몰과 함께 완전히 사라져 버린 것이다. 마치 신기루를 보는 것 같았다. 좀 더 오랫동안 머물러 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 하였으나 아쉽게도 그런 소망을 들어 주지 않은 것 같다.
사람들은 누구나 영원을 추구 한다. 그래서 영원히 살기를 원하고 영원히 행복 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영원을 추구 하면 할 수록 행복해지기 보다 고통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잠시 인연따라 일어 났다가 머물다 사라지는 것이다. 무지개 역시 하나의 자연현상으로서 조건이 맞아서 생긴 것일 뿐이다. 일몰로 인하여 태양이 사라지자 즉시 소멸한 것도 인연이 다 되었기 때문이다.
한 순간을 오래 동안 간직하고픈 마음에서 카메라를 대었으나 그다지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언젠가 인연이 되면 멋진 장면을 찍을 날이 있을 것이다. 비갠후에 하늘을 쳐다 보는 습관이 생길지 모르겠다.
진흙속의연꽃
'진흙속의연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깝다” 김대중, “분하다” 노무현, 군포 산본 분향소에서 (0) | 2009.08.19 |
---|---|
대한민국 역사상 최전성기는, 김대중과 노무현대통령의 10년 (0) | 2009.08.19 |
담마스쿨(Dhamma School)을 만들어 수행포교전략을 (0) | 2009.08.12 |
“올 것이 왔다” 창작불보살론 (創作佛菩薩論) (0) | 2009.08.09 |
상실의 시대에 왜 연기법 (緣起法)인가 (0) | 200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