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속의연꽃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며”심념처와 객관명상

담마다사 이병욱 2011. 8. 22. 20:57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며심념처와 객관명상

 

 

 

 

 

 

 

 

 

똑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같은 실수를 매 번 반복하고 있다. 고객으로 부터 전화를 받았을 때 기분은 급변하였다. 무언가 잘 못 되었다는 것이다. 이야기를 들어 보니 1년 전의 상황과 똑 같은 내용이었다. 크게 실수를 한 것이다. 그것도 똑 같은 내용을 두 번 반복한 것이다.

 

한 번 실수하면 그것은 금전적 손실과 직결된다. 더구나 수량이 되는 경우 타격이 크다. 하지만 금전적 손실보다 더 가슴쓰린 것은 똑 같은 실수를 반복한 것이다. 그렇게 된 이유로서 1년만에 다시 일을 해주게 되어 1년 전의 실수를 까맣게 잊어 버린것에 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어쨋든 잘 못 된 것은 사실이다. 컴퓨터를 복구 하듯이 날자를 뒤로 되돌릴 수 있으면 좋으련만 이미 일은 벌어졌다. 이제 슬기롭게 수습하는 일만 남았다. 당연히 금전적 손실은 감수해야 하고 그 보다 가장 큰 타격은 고객의 신뢰를 읽어버린 것이다. 월급생활자라면 문책을 넘어 해고한다고 하여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어떻게 해야 마음의 안정을

 

일을 하다 실수를 하면 돈으로 때우는 수 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 똑 같은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돈이들어가야 일이 진척되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비생산적이다. 하지만 국민총생산은 올라갈 것이다. 이처럼 안써도 되는 돈을 쓰게 되었을 때 기분은 몹시 씁슬하다. 마음이 좀처럼 안정되지 않는다. 하루종일 후회와 자책과 때로는 자신에 대한 분노가 지배하여 버린다. 어떻게 해야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을까.

 

일이 잘못되어 커다란 손실을 입게 되었을 때 후회를 한다. “그때 이렇게 했으면 좋았을 걸하며 탓하지만 그때의 조건과 지금의 조건은 다르다. 조건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과거에 잘못된 일을 붙잡고 있으면 과거에 사는 것이다. 지나간 과거의 특징은 후회와 회환과 아쉬움이다. 과거에 그런 일이 벌어질 수 밖에 없는 조건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마음으로 가져 오는 것이 후회와 회환과 아쉬움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그것이 알아차림이라 볼 수 있다. 알아차림을 유지하는 한 항상 현재를 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회와 회환과 아쉬움이 끼여들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마음을 현재에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분명히 알아차리라는데

 

알아차림에 관한 것으로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경이 사띠빳따나경(염처경)’이다. 그 알아차리는 방법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느낌마음담마이다. 이를 한자어로 심수심법이라 하고 사념처라 한다. 사념처는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이라고 번역된다. 방법은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다.

 

금전적 손실로 인하여 후회의 감정이 일어났다면 자꾸 왜 그랬을까하며 의문한다. 그러다 보면 화가 나고 그에 따라 여러가지 해로운 심리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증폭되어 나타난다. 이럴 경우 마음을 관찰하여 현재에 머물게 해야 하는데,  초기경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어떻게 마음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머무는가.

 

탐욕이 있는 마음을 탐욕이 있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리며, 탐욕이 없는 마음을 탐욕이 없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린다.

 

성냄이 있는 마음을 성냄이 있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리며, 성냄이 없는 마음을 성냄이 없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린다.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을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리며,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을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이라고 분명히 알아차린다.

 

(맛지마니까야10, 사띠빳따나경, 일아스님의 한권으로 읽는 빠알리경전에서)

 

 

경에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대하여 오로지 분명히 알아차릴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외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 마음에 대한 관찰에서 탐진치 뿐만 아니라 게으르고 무기력한 마음, 산만한 마음, 숭고한 마음, 저열한 마음, 최상의 마음, 삼매에 든 마음, 해탈한 마음 역시 분명히 알아차리라고 말하고 있다.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며

 

그렇다면 이렇게 알아차렸을 때 어떤 현상을 발견할 수 있을까. 초기경에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밖으로 안팎으로 마음을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관찰하며 머문다.

 

 (맛지마니까야10, 사띠빳따나경, 일아스님의 한권으로 읽는 빠알리경전에서)

 

 

키 포인트는 마음을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는 마음이 마음을 보는 것을 말한다. 지금 실수로 인하여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되었을 때 일어나는 그 마음을 보는 것이다. 그 마음을 관찰하지 않고 내버려 둔다면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물어 온통 그 생각에 지배당하여 점점 더 고통스러워 질 것이다. 그것은 다름아닌 분노이다.

 

아비담마에서 분노는 정신적 고통을 반드시 수반한다고 하였다. 성질을 내고 나면 정신적으로 고통스러운 이유가 이를 잘 설명한다. 따라서 분노의 마음이 일어났을 때 그 마음을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관찰한다면 , 내가 화가 나있구나하고 알아차리게 된다는 것이다.

 

오직 마음의 현상만 있다

 

이는 마음의 속성상 한순간에 한 가지 일 밖에 하지 못하고, 또 마음은 연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하는 순간 성내는 마음은 사라지게 되어 있다. 이것이 마음을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관찰하라는 경의 가르침일 것이다.

 

경에서는 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또는 마음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머문다. 또는 오직 마음의 현상만 있다는 사실에 굳건히 마음챙기며 머문다.

 

(맛지마니까야10, 사띠빳따나경, 일아스님의 한권으로 읽는 빠알리경전에서)

 

 

위 문구에서 키 포인트는 일어나고 사라짐이다. 모든 현상은 결국 일어났다고 사라지고 말 운명이라는 것이다. 지금 후회나 아쉬움, 분노의 감정이 지배하고 있지만, 다음 마음이 일어날 것이므로 사라지고 말 것이라 한다.

 

사라지고 말 것에 목매달 필요가 없다. 더구나 경에서는 실체도 없는 마음의 현상일 뿐이라고 하지 않은가.

 

심념처와 객관명상

 

오전에 받은 전화 한통화로 인하여 마음이 심란해져서 한순간에 흐트러졌다. “그때 좀 더 확인하였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 텐데하는 후회의 감정이 일어나기도 하고, 실수를 반복하는 것에 대한 노여움이 일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미 벌어진 일이다. 땅을 치고 후회해 보아야 소용이 없다. 이미 벌어진 것은 과거의 조건때문에 그런 결과가 빚어졌다. 과거의 조건을 현재의 조건에 대입하여 후회한다면 어리석은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부처님은 경에서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며 머문다라고 하였다. 이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마음을 보는 것을 말한다. 그렇게 되었을 경우 마음은 한순간에 오로지 하나의 일밖에 하지 못하므로 뒷마음이 일아나는 순간 앞의 마음은 사라질 것이다.

 

후회하는 마음이 일어났을 때 , 나에게 후회하는 마음이 일어났구나라고 생각하는 순간 후회하는 마음은 사라질 것이라는 것이다. 또 화가 치밀었을 때 단지 성냄, 성냄,..”만 외쳐도 사라질 것이라 한다. 이런 명칭부여는 어느 경우이든지 써 먹을 수 있다. 앞에 대상이 보여 마음이 끄달렸을 때 단지 , ,...”만 하여도 효고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마음이 연속적인 것이고, 한순간에 오로지 한가지의 일밖에 하지 않는다는 대전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면으로 보았을 때 사띠빳따나경에서 심념처의 핵심은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며 머문다가 될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을 자기가 자기자신을 바라보는 객관명상이라고 한다.

 

 

2011-08-22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