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패해서 사는 것보다는 싸워서 죽는 편이 오히려 낫다 , 파다나경(정진의 경 Sn3.2)

담마다사 이병욱 2011. 12. 23. 10:56

 

 

패해서 사는 것보다는 싸워서 죽는 편이 오히려 낫다 , 파다나경(정진의 경 Sn3.2)

 

 

 

정진의 경

[Padhana sutta](*1)

 

 

주해(*1)

이 경은 숫타니파타 앞의 출가의 경과 관계가 된다. 존자 아난다는 ‘여기 내 마음이 물들었으니 정진해야겠다’라고 출가의 경을 끝내자, 세존께서는 향실에서 ‘나는 6년간이나 정진하며 고행을 했는데, 오늘 수행승들에게 이 이야기를 해야겠다’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향실에서 나와 자리에 앉아 용맹정진에 관한 이경을 설했다. 따라서 이 경은 부처님께서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이루기 이전의 악마와의 싸움을 이야기 한 것이다.

 

 

1. [세존] “네란자(*1) 강의 기슭에서 스스로 노력을 기울여

멍에로부터의 평안을(*2) 얻기 위해 힘써 정진하여

선정을 닦는 나에게 일어난 일이다.

 

2. 악마 나무치(*3)는 위로하여 말을 건네며 다가왔다.

[악마] ‘당신은 야위었고 안색이 나쁩니다.

당신은 죽음에 임박해 있습니다.

 

3. 당신이 죽지 않고 살 가망은 천에 하나입니다.

존자여, 사는 것이 좋습니다.

살아야만 공덕을 성취할 것입니다.

 

4. 그대가 청정한 삶을(*4) 살면서

성화에 제물을 올린다면(*5)

많은 공덕이 쌓이지만,

당신의 노력은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5. 애써 정진하는 길은 가기도 힘들고

행하기 힘들며 성취하기도 어렵습니다.

이 같은 시를 읊으면서 악마는 깨달은 님의 곁에 서 있었다.

 

 

주해(*1)

네란자강은 한역으로 니련선하라고 하며 현재는 팔구(Phalgu) 강으로 불려진다. 이 강은 부다가야 근처로 흐르고 있다. 부처님은 이 근처의 우루벨라에서 고행을 닦았다. 현재에도 우루라는 마을이 존재한다.

 

 

 

 

 

 

가야(Gaya)의 팔구강

인도 비하르주에 있다.

 

Women performing Chhath Puja in the Falgu River in Gaya

The Falgu River (also spelt Phalgu River) (Hindi: फल्गु नदी) which flows past Gaya, India in the Indian state of Bihar, is a sacred river for Hindus.

사진 : http://en.wikipedia.org/wiki/Falgu_River

 

 

 

 

주해(*2)

네 가지 멍에에서 벗어난 상태로 열반을 말한다. 네 가지 속박의 굴레로서 멍에는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의 멍에, 존재의 멍에, 견해의 멍에, 무지의 멍에이다.

 

주해(*3)

베다 성전이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악마의 이름이다. 그는 인드라 신에게 정복 당했다. 이렇게 ‘나무치’라고 불린 이유는 그로부터 도망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해(*4)

바라문교에서 학생으로서 독신으로 사는 범주기를 말하지만, 바라문의 삶의 네 시기 가운데 하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는 ‘때때로 성적 교섭을 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주해(*5)

제물로 바치는 것은 우유, 기름, 죽과 같은 것이다.

 

 

6. 악마가 이렇게 말하자, 세존은 이와 같이 말했다.

[세존] ‘방일의 친척이여, 악한 자여, 어떠한 목적으로 이 세상에 왔는가?

 

7. 털끝만큼의 공덕을 이루는 것도 내게는 필요가 없다.

공덕을 필요로 하는 자, 그들에게 악마는 말해야하리.

 

8. 내게는 믿음이(*1) 있고, 정진이 있고, 내게는 또한 지혜가 있다.

이처럼 스스로 노력을 기울이는 나에게 그대는 어찌하여 삶의 보전에 관해 묻는가?

 

9. 이러한 정진에서 오는 바람은 흐르는 강물조차 마르게 할 것이다.

스스로 노력을 기울이는 나에게 피가 어찌 마르지 않겠는가.

 

10. 몸의 피가 마르면, 쓸개도 가래침도 마를 것이다.

살이 빠지면, 마음은 더욱 더 맑아지고 나는 마음챙김과 지혜, 그리고 집중에 든다.

 

11. 나는 이와 같이 지내며 최상의 감수를 느끼고 있으므로

내 마음은 감각적 쾌락에 대한 기대가 없다. 보라, 존재의 청정(*2)함을!

 

 

주해(*1)

‘결정의, 확신의 믿음’을 뜻한다.

 

주해(*2)

‘음식이 청정할 때 본성의 청정함이 있고, 본성이 청정할 때에 마음챙김이 견고해진다. 견고한 마음챙김을 얻을 때에 일체의 속박에서 해방된다.

 

 

12. 그대의 첫 번째 군대는 욕망, 두 번째 군대는 혐오라 불리고, 그대의 세 번째 군대는 기갈, 네 번째 군대는 갈애라 불린다.

 

13. 그대의 다섯째 군대는 권태와 수면, 여섯째 군대는 공포라 불리고, 그대의 일곱째 군대는 의혹, 여덟째 군대는 위선과 고집이라 불린다.

 

14. 잘못 얻어진 이득과 환대와 예배와 명성, 그리고 자기를 칭찬하고 타인을 경멸하는 것도 있다.

 

15. 나무치여, 이것들은 그대의 군대, 검은 악마의 공격군인 것이다. 비겁한 자는 그를 이겨낼 수가 없으나 영웅은 그를 이겨내어 즐거움을 얻는다.

 

16. 차라리 나는 문자 풀을 걸치겠다.(*1) 이 세상의 삶은 얼마나 부끄러운 것인가! 내게는 패해서 사는 것보다는 싸워서 죽는 편이 오히려 낫다.

  

 

 

 

 

패해서 사는 것보다는 싸워서 죽는 편이 오히려 낫다

사진 : http://www.songsouponsea.com/Promenade/wildernessIApocalypse.html

 

 

 

17. 어떤 수행자나 성직자들은 이 세상에서 침몰하여 보이지 않는다. 그들은 계행이 있는 고귀한 자들이(*2) 가야할 길조차 알지 못한다.

 

18. 코끼리 위에 올라탄 악마와 더불어, 주변에 깃발을 든 군대를 보았으니, 나는 그들을 맞아 싸우리라. 나로 하여금 이곳에서(*3) 물러나지 않게 하라.

 

 

 

주해(*1)

문자 풀은 갈대의 일종으로 한역에서는 문사초라 한다. 이에 얽힌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군인들은 전쟁터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머리둘레나 깃발이나 무기에 문자 풀을 묶었다’는 표시를 했다.

 

 

 

 

 

 

문자풀(蚊子草, 문자초)

Filipendula palmata (Pall)

蚊子草,所植物界,是薇目(Rosales)薇科(Rosaceae)、蚊子草(Filipendula) 植物。

국명: 단풍터리풀

사진 : http://en.wikipedia.org/wiki/Filipendula

 

 

 

 

주해(*2)

부처님이나 연각불들을 말한다.

 

주해(*3)

‘적에 결코 패하지 않는 가부좌’를 의미한다.

 

 

19. 결코 신들도 세상 사람도 그대의 군대를 정복 할 수 없지만, 굽지 않은 발우를 돌로 부수듯, 나는 지혜를 가지고 그것을 부순다.

 

20. 나는 사유를 다스리고, 새김을 잘 정립하여, 여러 제자들을 기르면서, 이 나라 저 나라로 유행할 것이다.

 

21. 그들은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며 내 가르침을 실행하면서, 그대는 그것을 싫어하지만, 가서 슬픔이 없는 경지에 도달하리라.

 

22. [악마] ‘우리들은 7년 동안이나 세존을 발자국마다 따라 다녔다. 그러나 새김을 확립한 올바로 깨달은 님께 다가갈 기회가 없었다.

 

23. 기름 빛깔을 한 바위를 까마귀가 맴돌며 생각한다. 이곳에서 부드러운 것을 찾을 수 있겠지. 아마도 맛좋은 먹이가 있을 것이다.

 

24. 그곳에서 맛있는 것을 얻을 수 없어 까마귀는 거기서 날아가 버렸다. 바위에 가까이 가 본 그 까마귀처럼, 우리는 실망하여 고따마 곁을 떠난다.

 

25. 슬픔에 넘친 나머지 옆구리에서 비파를 떨어뜨리고, 그만 그 야차는 낙심하여 그 자리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 정진의 경이 끝났다. -

 

 

(파다나경-Padhana sutta-정진의 경, 숫따니빠따 Sn3.2, 전재성님역)

 

 

Suttanipata
3. Mahāvaggo
3. 2 Padhānasutta

 

427. Ta ma padhānapahitatta nadi nerañjara pati,
Viparakkamma jhāyanta yogakkhemassa pattiyā.

428. Namucī karua vāca bhāsamāno upāgamī,
Kiso tvamasi dubbaṇṇo santi ko maraa tava.

429. Sahassabhāgo maraassa ekaso tava jīvita,
Jīva ho1 jīvita seyyo jīva puññāni kāhasi.

430. Carato va te brahmacariya aggihuttañca juhano,
Pahūta cīyate puñña kimpadhānena kāhasi.

431. Duggo maggo padhānāya dukkaro durabhisambhavo,
Imā gāthā bhaa māro aṭṭhā buddhassa santike.

432. Ta tathāvādīna māra bhagavā etadabravī,
Pamattabandhu pāpima yenatthena idhāgato.

433. Aumattenapi puññena attho mayha na vijjati,
Yesa ca attho puññāna te māro vattumarahati.

434. Atthi saddhā tathā viriya paññā ca mama vijjati,
Eva ma pahitattamipi ki jīva mama pucchasi.

435. Nadīnampi sotāni aya vāto visosaye,
Kiñca me pahitattassa lohita nūpasussaye.

436. Lohite sussamānamhi pitta semhañca sussati,
Masesu khīyamānesu bhayyo citta pasīdati,
Bhiyyo sati ca paññā ca samādhi mama tiṭṭhati.


437. Tassa meva viharato pattassuttamavedana,
Kāme nāpekkhate citta passa sattassa suddhata,

438. Kāmā te pahamā senā dutiyā arati vuccati,
Tatiyā khuppipāsā te catutthi tahā pavuccati.

439. Pañcamī thīnamiddha te chaṭṭhā bhīru pavuccati,
Attamī vicikicchā te makkho thambho te aṭṭhamī. 1

440. Lābho siloko sakkāro micchā saddho ca yo yaso,
Yo cattāna samukkase pare ca avajānati.

441. Esā namuci te senā kahassābhippahāriī,
Na ta asūro jināti jetvā ca labhate sukha.

442. Esa muñja parihare dhīratthu mama jīvita,
Sagāme me mata seyyo yañce jīve parājito.

443. Pagāhā ettha2 na dissanti eke samaabrāhmaā.
Tañca magga na jānanti yena gacchanti subbatā.

444. Samantā dhajini disvā yutta māra savāhini,
Yuddhāya paccuggacchāmi mā ma hānā acāvayi.

445. Yanteta nappasahati sena loko sadevako,
Tante paññāya gacchāmi ama pattava asmanā.

446. Vasi karitvā sakappa satiñca suppatiṭṭhita,
Raṭṭhā raṭṭha vicarissa3 sāvake vinaya puthu.

447. Te appamattā pahitattā mama sāsanakārakā,
Akāmassa te gamissanti yattha gantvāna socare.

448. Sattavassāni bhagavanta anubandhi padā pada,
Otāra nādhigacchissa sambuddhassa satīmato.

449. Medavaṇṇava pāsāa vāyaso anupariyagā,
Apettha mudu vindema api assādanā siyā.

450. Aladdhā tattha assāda vāyasetto apakkami,
Kākova sela āsajja nibbijjāpema gotama.

451. Tassa  sokaparetassa vīā kacchā abhassatha,
Tato so dummano yakkho tatthevantaradhāyathāti.

 

Padhānasutta niṭṭhita.

 

 

 

Suttanipāta

III MAHĀVAGGA

2. Padhānasutta- Striving.

 

425. For striving I came to the source of river Neranjarā
And concentrated unexhaustingly, to come to the end of the yoke

426 Namuci, came to me with compassionate words
“You are emaciated and discoloured, in the vicinity of death

427. You are more closer to death, than to life,
Good one live, life is great, living do merit.

428. Live the holy life, and do the fire sacrifice,
Accumulate much merit, what could be done by striving.

429. Striving is a difficult path, to attain something is difficult", Māra said these words and stood in the presence of the Enlightened one.

430. When this was said the Blessed one said thus to Māra: “Evil relation of negligence, why did you come here.

431. I do not see any good in doing merit, those who see good in doing merit,
Value the domain of Death.

432. I have faith effort and wisdom to strive like this, Why should you ask me to live..

433. This air dries up even the water in the river, And when I strive why shouldn't my blood dry up.

434. When the blood dries up, bile and phelgm dries up When the flesh diminishes, the mind becomes pleasant And a lot of mindfulness, wisdom and concentration takes hold of me.

435. To him abiding thus attained to the highest feeling, When the mind does not desire sensuality, look at the purity of the person.

436. Sensuality is your first army, the second is aversion Third is hunger and thirst, the fourth is craving.

437. The fifth is sloth and torpor the sixth is fear, Seventh is doubts, besmearing and stubornness are the eighth

438. Gain, fame, honour obtained unrighteously Praising oneself and disparaging others--

439. Namuci, these are your armies attacking on the dark side, The not clever do not win them over, when these are won pleasāntness is gained.

440. We can partake of something to live, yet life is sham To me death in a battle is superior than to live defeated.

441. I will not give up, like some recluses and brahmins They do not know the path through which the trained go.

442. I see Māra and his armies marching forward for the fight, I go forward to meet them, do not stop me from my decision.

443. If this army of heavenly and human quality is too much for me1 I turn away wisely like turning away from an unripe fruit.

444. Taking control of thoughts and mindfulness well established, I will go from country to country training disciples at large.

445. Those doing the duties in my dispensation diligent to dispel, Reach the non-sensual sphere and do not grieve..

446. “For seven years he followed the Blessed one step by step Yet, did not get an opportunity from the enlightened mindful one.

447. Like a golden hued stone, like a floating huge bird Is there a small weakness, for our satisfaction.

448. Not finding that satisfaction, the bird fled from there. Like the crow not hurt by the stone let's leave alone Gotama."

449. That grief stricken one's violin fell off from his shoulder And the displeased demon vanished from there itself.

 

 

http://awake.kiev.ua/dhamma/tipitaka/2Sutta-Pitaka/5Khuddaka-Nikaya/05Suttanipata/3-maha-vagga-e.html

 

 

 

 

 

 

 

 

2011-12-23

진흙속의연꽃

파다나경 Sn3.2.docx
0.03MB
파다나경(Padhana sutta, 정진의 경 Sn3.2).pdf
0.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