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금강경의 ‘실지실견(悉知悉見)’ 악용사례

담마다사 이병욱 2013. 2. 9. 10:09

 

 

금강경의 실지실견(悉知悉見)’ 악용사례

 

 

 

금강경의 실지실견(悉知悉見)

 

불교교양대학다닐 때 들은 이야이기다. 강사스님은 부처님의 일체지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다. 금강경의 실지실견(悉知悉見)’에 대하여 설명할 때이다. 금강경에서 실지실견이라는 문구는 세 번 가량 나온다. 실지실견의 뜻은 모든 것을 다 알고 모든 것을 다 보고 있는부처님이라는 뜻이다. 마치 유일신교의 유일신처럼  전지전능한 부처님을 말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실지실견에 대한 문구는 초월적이고 신격화된 부처님으로 묘사 되기에 충분하다. 실지에 대한 것을 보면 부처님은 모든 것을 아는 자로 묘사 된다. 그래서일까 강사스님은 부처님의 전지(全知)에 대하여 빗방울세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 우주에 내리는 빗방울 숫자까지 아는 존재가 부처님이라는 것이다.

 

우주의 빗방울을 모두 셀 수 있는 마혜수라(摩醯首羅)

 

이는 초기불교를 접하지 못하던 시절 듣던 놀라운 법문이었다. 그런데 화엄경에서 이와 유사한 내용을 발견하였다. 다음과 같은 이야기이다.

 

 

불자들이여, 또 비유를 들자면 큰 구름에서 큰 비를 내리는 것을 대천세계의 중생들은 그 수효를 알 사람이 없으며, 그 수효를 계산하려면 한갓 발광할 뿐인데, 대천세계의 주인인 마혜수라(摩醯首羅)만은 예외이다. 그는 과거에 닦은 선근의 힘으로 물 한방울까지도 분명히 안다.

 

(화엄경, 여래출현품, 법정스님역 신역화엄경, 동국역경원)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따르면 마혜수라라는 천신은 우주에 내리는 모든 빗방울 숫자까지 아는 존재라 한다. 삼천대천세계의 빗물방울을 모두 셀 수 있는 마혜수라는 어떤 존재일까. 각주에 따르면 마혜수라는 색계의 정상에 있는 천신의 이름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마혜수라는 시바신이라는데

 

더 알아 보기 위하여 한자어 摩醯首羅(마혜수라)에 대하여 구글검색 결과 중국의 대표포털인 백도(baidu)의 백과사전에 따르면 대자재천(大自在天)’ 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우리말로 설명된 대자재천은 다음과 같다. 

 

 

마헤슈와라의 번역. 인도의 쉬바( iva) 신을 가리킴. 쉬바는 비슈누와 함께, 범천(梵天) 즉 브라마 신의 하위였으나, 점차 동등한 지위의 신으로 승격되었으며, 세계 창조의 최고신으로서 신봉되었다. 불교에서는, '대자재천'은 마혜수라천궁(摩醯首羅天宮)에 머무는 천왕이라 함. 마혜수라(摩醯首羅), 막혜이습벌라(莫醯伊濕伐羅), '대자재천'(大自在天王). 자재천(自在天).

 

(대자재천)

 

 

 

 

大自在天(Maheśvara)

 

 

 

중국 포털에서는 대자자천에 대하여 마헤스와라(Maheśvara)라고 산스크리트어로 설명되어 있고 삼천대천세계의 주인( 三千大千世界之主) 이라 한다. 한글 설명에서는 시바신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상을 창조한 창조신이라 한다.

 

부처님이 법비를 내렸을 때

 

화엄경에 등장하는 마혜수라는 시바신으로서 창조주임을 알 수 있다. 창조주는 전지전능하기 때문에 당연히 우주에 내리는 빗방울 숫자까지 셀 수 있는 능력을 가졌을 것이다. 이렇게 마혜수라를 등장시킨 이유는 무엇일까. 이어지는 화엄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래-응공-정등각도 그와 같아서 큰 법구름을 일으키고 큰 법비를 내리는 것을 알체 중생과 성문과 독각으로는 알 수 없고, 헤아리고자 하면 마음이 어지로워질 뿐이다. 그러나 모든 세간의 주인인 보살 마하살은 예외다. 이분들은 과거에 닦은 깨달은 지혜의 힘으로 한 글자 한 귀절까지도 중생의 마음에 들어가 분명히 안다.

 

(화엄경, 여래출현품, 법정스님역 신역화엄경, 동국역경원)

 

 

화엄경에서 말하는 부처님이 법비를 내렸을 때 성문승들은 그 뜻을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이는 소승법으로는 알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보살은 예외라고 한다. 마치 삼천대천세계의 주인인 대자재천이라 불리우는 마혜수라가 모든 빗방울의 숫자를 알 수 있듯이, 보살들만이 부처님이 말씀 하신 모든 것을 알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마혜수라를 등장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모든 것을 다 보고 있다고 하는데

 

이렇게 우주의 빗방울 숫자까지도 아는 분이 부처님이라고 강사스님은 말하였다. 이는 부처님이 부처님이 우주 전체의 다하여 모두 알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부처님은 전지하여서 사실상 창조주에 가깝다. 그런데 강사스님은 또 부처님이 모든 것을 보고 있다고 하였다. 이 부분 역시 금강경에서 실지실견에서 실견(悉見)을 설명할 때 하던 말이다. 한자어 실견은 다 실()에다 볼 견()자라서 모든 것을 보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보고 있는 부처님이라는 뜻이다.

 

모든 것을 다 알고(悉知), 모든 것을 다 보고 있는(悉見) 부처님이라면 전지전능한 창조주와 다름 없다. 그래는 우리는 부처님의 손바닥 안에 있는 것과 다름 없다. 그래서일까 강사스님은 우리들이 낱낱이 찍히고 있다고 한다. 마치 비데오 카메라로 우리의 일거수 일투족을 찍듯이 우리가 말한 것과 행동하는 것, 심지어 생각하는 것 모두가 낱낱이 찍혀서 저장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허공의 부처님을 말한다. 이 허공자체가 부처님이라 한다. 그래서 이 몸과 마음 자체도 부처님이라 한다.

 

허공속의 부처님

 

이런 허공의 부처님이라는 말 역시 화엄경에 나온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보현보살이 말하였다.

“불자들이여, 보살마하살은 여래-응공-정등각의 몸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한량없는 곳에서 여래의 몸을 보아야 한다. 보살 마하살은 한 법이나 한 가지 일이나 한 몸이나 한 국토나 한 중생에서 여래를 볼 것이 아니고 모든 곳에서 두루 여래를 보아야 한다. 마치 허공이 모든 물질과 물질 아닌 곳에 두루 이르지만, 이르는 것도 아니고 이르지 않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허공은 몸이 없기 때문이다.

 

여래의 몸도 그와 같아서 모든 곳에 두루하고 모든 중생에게 두루하고 모든 법에 두루하고 모든 국토에 두루하지만, 이르는 것도 아니고 이르지 않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여래의 몸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생을 위해 그 몸을 나타낸다.

 

(화엄경, 여래수량품, 신역화엄경-동국역경원, 법정스님역)

 

 

허공의 부처님은 여래수량품에 나온다. 왜 허공이 부처님이라 하였을까. 이는 부처님의 몸이 모든 중생에 두루 편재 되어 있기 때문이라 한다. 부처님이 몸은 보이지 않지만 삼천대천세계에 두루 두루 편재 되어 있기 때문에 허공자체가 부처님의 몸이라 한다. 이는 나를 포함한 삼천대천세계의 산천초목, 기세간 모두가 화엄경에서 말하는 비로자나 부처님의 화현(化現)’이라고 설명된다.

 

교회가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만일 대승불교만 접하고 초기불교를 접하지 않았다면 강사스님의 말대로 부처님이 실지실견하는 것으로 믿었을 것이다. 우리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알고 모두 보고 있는 부처님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부처님의 손바닥안에 놓여서 꼼짝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런 상태가 되면 어떤 마음이 들게 될까.

 

글을 쓰다 보면 올린 글이 메인뉴스로 올라 가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엄청난 조회와 함께 수 없는 댓글이 붙게 되는데, 그런 댓글 중에 교회다니는 사람들의 댓글도 꽤 있었다. 공통적으로 일요일 교회에 나가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한다. 하나님이 지켜 보고 있는 것 같아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한다. 또 헌금을 하지 않았을 때, 십일조를 지키지 않아 하나님한테 벌을 받을 것 같다고 고백하는 글을 읽었다.

 

이는 목사들이 그렇게 만든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세상을 창조한 전지전능한 하나님이 피조물의 일거수 일투족에 대하여 모두 알 것이라고 말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요일 교회에 가지 않거나 헌금을 하지 않으면 벌 받을 것 같지 말하기 때문에 신도들은 안절 부절하지 못하는 것이다. 신자들이 교회에 자주 나와야 헌금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 목사들이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모든 것을 보고 있는 하나님에 대하여 말하기 때문이라 본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회목사들이나 써 먹는 방법에 대하여 마치 벤치 마킹하듯이 절에서도 써 먹는 스님들이 있다는 것이다.

 

교회에 나오게 하려고

 

사람들은 종교생활을 통하여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찾는다. 그래서 산사를 찾거나 가까운 교회에 가서 앉아 있게 된다. 앉아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안정이 되는데, 이는 특수한 장소로 인하여 다른 잡생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절이나 교회를 다님으로 인하여 마음이 불안하다거나 걱정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 차라리 다니지 않음만 못할 것이다. 이 경우 스님들이나 목사, 신부들이 지나치게 두려움과 불안감을 조장하기 때문이라 본다. 부처님이나 하나님이 우리의 일거수 일투족을 지켜 보고 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절이나 교회를 나오지 않을 수 없게 만들고, 일단 나오면 시주나 헌금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체지자로서의 부처님

 

우주의 빗방울 숫자까지 아는 것이 부처님의 일체지일까? 빠알리니까야에 따르면 부처님의 일체지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부처님이 위없는 깨달음을 얻고 난 뒤 다섯 비구에게 이를 설명해 주기 위하여 길을 떠나던 도중에 만난 유행자 우빠까와 나눈 대화에서이다.

 

부처님의 감관이 맑고 청정해 보였기 때문에 우빠까가 그대의 스승은 누구인가?”라고 묻자 부처님이 다음과 같이 답변하는 장면이다. 이를 원어와 함께 표로 보면 다음과 같다.

 

 

 

  

   

빠알리

Sabbāhibhū sabbavidūhamasmī
Sabbesu dhammesu anūpalitto,
Sabbañjaho ta
hakkhaye vimutto
Saya
abhiññāya kamuddiseyya?

Na me ācariyo atthi sadiso me na vijjati,
Sadevakasmi
lokasmi natthi me paipuggalo,

Aha hi arahā loke aha satthā anuttaro,
Ekomhi sammāsambuddho sītibhūtosmi nibbuto.

Dhammacakka pavattetu gacchāmi kāsina pura,
Andhabhūtasmi
4 lokasmi āhañcha5 amatadundubhinti.

빠알리성전협

(전재성박사)

나는 모든 것에서 승리한 자, 일체를 아는 자.

모든 상태에 오염되는 것이 없으니

일체를 버리고 갈애를 부수어 해탈을 이루었네.

스스로 알았으니 누구를 스승이라 하겠는가.

 

나에게는 스승도 없고 그와 유사한 것도 없고

천상과 인간의 세계에서 나와 견줄만한 이 없네.

나는 참으로 세상에서 거룩한 님, 위없는 스승이고

유일한,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자로서 청량한 적멸을 얻었네.

 

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리기 위하여 까씨 성으로 가네

눈 먼 세계에서 불사의 감로의 북을 두드리리.

초기불전연구원

(대림스님, 각묵스님)

나는 일체승자요, 일체지자이며

어떤 것에도 물들지 않고

일체를 버리고 갈애가 다하여 해탈했고

스스로 최상의 지혜로 알았으니

누구를 스승이라 부르겠는가?

 

나에게는 스승도 없고 유사한 이도 없으며

지상에서도 천상에서도 나와 견줄 이 없네.

나는 세상에서 아라한이고 위없는 스승이며

유일한 정득각자이고 [모든 번뇌가] 꺼졌고

적멸을 이루었다.

 

나는 까시의 성으로 가서 법의 바[法輪]를 굴리리라.

어두운 이 세상에서 불사(不死)의 북을 울릴 것이다.

영역

I have overcome everything, know everything. I'm not soiled by anything,
Giving up everything, with the destruction of craving I'm released,
I realised this by myself and have no Teacher.
Or an equal among gods and men
I'm perfect in this world. I'm the incomparable Teacher
By myself I rightfully realised Enlightenment. Cooled and extinguished.
I go to the city of Kāsi, to set the wheel of the Teaching rolling
It is to sound the drum of deathlessness to the blindfolded world.

 

(출처: 맛지마니까야 아리야빠리예사나경-Ariyapariyesanasutta-고귀한 구함의 경(M26), 상윳따니까야)

 

 

경에 따르면 부처님이 읊은 게송에서 일체를 아는 자(Sabbesu dhammesu)라 하였다. 이렇게 일체를 아는 부처님의 지혜를 일체지 (一切智, sabbaññuta-ñāa)’라 한다. 그렇다면 일체지자로서 일체를 아는 지혜는 어떤 것일까?

 

객관적 세계와 주관적 세계

 

대승경전에 따르면 삼천대천세계의 빗물방울까지도 아는 것을 일체를 아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역사적인 부처님이 일체를 안다는 것은 이와 다르다. 마하시사야도의 법문집 각주에 따르면, 일체를 아는 지혜라 번역한 삽반뉴따 냐나(sabbaññuta-ñāa)라고 하는 것은 형성된 법(유위법)과 형성되지 않은 법(무위법)의 모든 범위를 다 아는 지혜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런 지혜를 지닌 분을 삽반뉴(sabbaññū)’라 하고, 중국에서는 일체지자(一切智)’로 번역하였다. 영어권에서는 omniscience라 한다. 이렇게 일체를 아는 것에 대하여 일체지라하였는데, 이 때 일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일체는 우주적 스케일의 삼천대천세계를 말한다. 그런 세계는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도 있었고, 죽고 난 후에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객관적 세계라 볼 수 있다. 나는 그런 객관적 세계의 객체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그러나 빠알리 니까야에 따르면 일체는 나를 중심으로 한 세계의 전개를 말한다. 내가 중심이 되어 주관적으로 바라 본 세계를 말한다. 따라서 내가 태어나기 이전의 세상과 내가 죽고 난 후의 세상을 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부처님이 말씀 하신 일체란?

 

이와 같은 세상은 초기경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세존]

“수행승들이여, 나는 그대들에게 일체에 관하여 설할 것이니 듣고 잘 새기도록 해라. 내가 설하겠다.

 

수행승들이여, 일체란 무엇인가? 시각과 형상, 청각과 소리, 후각과 냄새, 미각과 맛, 촉각과 감촉, 정신과 사실, 수행승들이여, 이것을 바로 일체라 한다.

 

(일체의 경, 상윳따니까야 35:23, 전재성님역)

 

 

부처님이 말씀 하신 일체란 18계를 말한다. 육근과 육경과 육식을 말한다. , 시각( cakkhu)-청각( sota)-후각( ghana)-미각( jivha)-촉각( kaya)-정신( manas)의 육근과 형상( rupa)-소리( sadda)-냄새( gandha)-( rasa)-감촉( photthabba)-사실( dhamma)의 육경과 시각의식(眼識 -vinnana)- 청각의식(耳識)-후각의식(鼻識)-미각의식(舌識)-촉각의식(身識)-정신의식(意識)의 육식을 말한다. 이것이 우리들이 볼 수 있는 일체이다.

 

세계가 생겨나는 원리

 

그렇다면 세계는 어떻게 생겨나는가?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세존]

수행승들이여, 세계가 생겨나고 소멸하는 것에 관하여 설할 것이니 듣고 잘 새기도록 해라, 내가 설하겠다.

 

수행승들이여, 세계가 생겨난다는 것은 무엇인가?

 

시각과 형상을 조건으로 시각의식이 생겨난다. 그 세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접촉을 조건으로 감수가, 감수를 조건으로 갈애가 생겨난다. 갈애를 조건으로 집착이 생겨나며,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생겨나고,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생겨나며,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고 죽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이 생겨난다. 이것이 세계의 생겨남이다.

 

(로까사무다야경-Lokasamudayasutta-세상의 생겨남의 경, 상윳따니까야 S35;107(1-4),전재성님역)

 

 

세상이 생겨나는 원리는 접촉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창조주가 있어서 이 세상을 만든 것이 아니라 우리의 눈과 귀등의 감각능력에 따른 접촉으로 인하여 세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생된 세상은 필연적으로 소멸할 수밖에 없다. 그 과정은 필연적으로 죽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세상의 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을까?

 

어떻게 세계의 끝에 도달할 수 있나?

 

부처님은 이 세상 끝까지 걷는다고 해서 세상 끝까지 도달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세상의 끝에 도달할 수 있을까. 부처님은 지각하고 사유하는 육척단신의 몸안에(S2:26)”에서 라고 하였다. 육척단신의 이 몸안에서 세상의 끝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어떻게 도달할 수 있을까. 다음과 같은 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아난다]

벗들이여, 그것을 통해 세계에서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할 때에 그것을 고귀한 님의 정의에 따라 세계라고 부릅니다. 벗들이여, 무엇을 통하여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까?

 

벗들이여, 시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청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후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미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촉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정신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합니다. 벗들이여, 그것을 통하여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할 때에 그것을 고귀한 님의 정의에 따라 세계라고 부릅니다.

 

(세계끝까지의 경, 상윳따니까야 35:116(2-3), 전재성님역)

 

 

세계의 끝은 어디일까. 대승경전에서는 삼천대천세계가 세상이라 한다. 그런 세계는 걸어서는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빠알리니까야에서는 세계의 끝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육척단신의 이몸을 통해서이다. 그런 세계는 감각능력의 접촉에 따른 세계이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면 된다고 한다. 그래서 시각을 통해 세계에 대하여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를 사유한다고 하였다.

 

그런 세계의 끝은 우주의 경계가 아니라 윤회세계의 종말을 말한다. 열반을 성취하는 것이 세계의 끝에 다다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버려서 얻어 지는 것

 

그래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세존]

수행승들이여, 나는 너희들을 위하여 궁극과 궁극으로 이끄는 길을 설할 것이니 듣고 잘 새기도록 해라. 내가 설하겠다.

 

수행승들이여, 궁극이란 무엇인가? 수행승들이여, 탐욕이 소멸하고 성냄이 소멸하고 어리석음이 소멸하면 그것을 수행승들이여, 궁극이라 한다.

 

(안따경-Antasutta-궁극의 경, 상윳따니까야 S43:13(2-2), 전재성님역)

 

 

여기서 궁극이란 빠알리어로 안따(anta)인데,  세계의 끝이 아니라 열반을 뜻한다. 진정한 세계의 끝이란 발로 걸어가서 도달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통하여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그런 깨달음은 성취하기 위하여 애를 쓰는 것이라기 보다 버려서 얻어 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대표되는 오염원을 버려서 궁극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2013-02-09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