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백년대계

출가자이건 재가자이건 귀의대상은 여법한 승가공동체

담마다사 이병욱 2016. 7. 15. 19:55

 

 

출가자이건 재가자이건 귀의대상은 여법한 승가공동체

 

 

 

 

 

승보가 스님들이 아니라 승가임을 수 없이 글로 밝혔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와 경전적 근거를 들어 승보는 승가일 수밖에 없음을 지난 수 년 동안 글로 표현 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어느 스님과도 토론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스님들은 수용하기를 거부하는 것 같습니다. 스님들이라도 해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는 견해가 다수인 것 같습니다. 아마 대승불교의 전통과 한국불교가 처한 상황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테라와다불교의 종가집이라 자부하고 있는 스리랑카는 교학의 나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빠알리삼장을 오늘날까지 전승하여 보존하여 온 이야기를 보면 감동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소까왕당시 3차 결집된 빠알리삼장이 그대로 전승된 것입니다. 대륙에 새로운 사조가 유행했어도 이를 지켜 내기 위하여 싱할리어로 몇 백년 동안 가두어 두기도 했습니다. 마침내 근대에 이르러 전세계적으로 원음이 알려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직역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빠알리니까야에 따르면 삼보는 붓다, 담마, 상가입니다. 이 세 가지 말은 모두 부처님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부처님이 법귀의와 자귀의를 말씀 하실 때 다른 것에 의지 하지 말라고 했는데, 부처님외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상가는 자자와 포살 등 율장정신대로 살아 가는 빅쿠들의 공동체입니다. 따라서 공동체개념의 상가와 스님들은 다른 개념입니다.

 

승가공동체는 최소 4인으로 구성되어 갈마를 행하는 등 율장대로 살아 갑니다. 그러나 단지 스님들이라 했을 때 2인도 스님이 될 수 있습니다. 단지 스님들이라 했을 때 스님들의 무리라는 뜻도 있습니다. 물론 거룩한 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긴 하지만 스님들이라 했을 때 단지 무리지어 있는 것을 연상케 합니다.

 

어느 조직이나 기관이든지 설립취지와 지향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승가공동체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그것은 해탈과 열반의 추구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청정한 삶이 요청됩니다. 탁발을 하며 분소의를 입고 숲에서 사는 것은 청정한 삶의 실현에 가장 가깝기 때문일 것입니다.

 

청정한 삶을 위해서 요청되는 것은 계행입니다. 계행청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율장대로 사는 것입니다. 율장대로 사는 것이 힘들다면 율장정신만이라도 간직하며 살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공동체에서는 법과 율대로 살아 갑니다. 그래야 성자가 출현합니다. 공동체생활이 서로 향상으로 이끌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승보에 대하여 단지 스님들이라 했을 때 참으로 애매하고 모호합니다. 이 말을 승가라고 설명하지만 경전적 근거도 찾을 수 없고 어찌 보면 권위를 강요하는 듯 하기도 합니다.

 

삼귀의에서 스님들을 승가로 바꾼다고 하여 스님들의 권위가 손상되지 않습니다. 계행이 청정한 스님들은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권위는 강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집안에서 가장이 자식들을 불러 놓고 “너희들은 오늘부터 나를 존경해라”라고 한다고 해서 존경하지 않습니다. 존경할만한 행위를 해야 존경하는 것입니다. 경전에서도 행위에 따라 바라문도 되고 농부도 되고 도둑놈도 된다고 했습니다. 계행이 청정하면 자연스럽게 존경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권위가 생겨납니다.

 

스님들을 승보로 한다고 하여 권위가 생겨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오늘날 테라와다빅쿠들이 불자들로 존경받는 것은 청정한 계행때문입니다. 계행은 공동체 삶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혼자 살았을 때 사실상 계행의 의미는 없습니다. 최소 4명 이상 모여 살며 자자와 포살등 율장정신대로 공동체로 살 때 계행의 의미가 있습니다. 잘못을 지적하고 잘못을 인정하며 살 때 향상으로 이끌 것입니다. 공동체서 성자가 출현하는 이치라 봅니다. 그런 승가공동체가 귀의의 대상입니다. 스님들이나 재가불자들이나 의지해야 할 대상은 여법한 승가공동체입니다.

 

 

2016-07-15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