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백년대계

승복의 권위로 밀어 부친다고 해도

담마다사 이병욱 2016. 7. 15. 20:09

 

승복의 권위로 밀어 부친다고 해도

 

 

  

 

 

 

 

 

불자들은 삼보에 의지합니다. 붓다, 담마, 상가를 의지처, 귀의처, 피난처로 살아 갑니다. 부처님은 법귀의와 자귀의를 말씀하시면서 다른 것에 의지 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그럼에도 최근 어느 스님의 칼럼을 보면 승보에 대하여 스님들이라 하여, 한글삼귀의문에 대하여 잘 번역된 해석이라 했습니다.

 

승보개념에 대하여 스님들을 승보로 보는 것에 대하여 대승불교전통에서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기는 합니다. 대승불교에서는 붓다의 개념조차 반드시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석가모니부처님을 자칭하는 것은 아니라 하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담마 역시 반드시 석가모니부처님 원음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깨달은 자들은 부처이고, 깨달은 자들이 한말은 불설이고, 깨달은 자들이 승보라는 개념이 성립합니다. 그래서 승보에 대하여 "거룩한 스님들"이라고 했는지 모릅니다.

 

대승불교권에 살고 있는 불자들은 최근 십여년 사이에 부처님원음이라 불리는 빠알리경전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급적 부처님가르침대로 살고자 노력하는 불교전통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보통신과 글로벌시대에 불자들은 두 개의 불교전통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각자 취향에 맞는 불교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신념의 문제입니다. 사성제가 자신의 삶에 견주어 보았을 때 틀림없다고 생각하면 진리로 받아 들이듯이, 빠알리 경전을 읽고 공감한다면 가르침에 대해 확신하게 됩니다. 무조건 믿는 맹신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이성적 판단에 따른 믿음, 즉 삿다(saddha) 입니다.

 

기르침에 대해 확신이 서면 경전에 쓰여 있는 문구를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게 됩니다. 설령 범천이나 제석천 등 천신이 등장하고 초월적이고 신비한 이야기가 있더라도 진위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합니다. 가르침을 설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것쯤은 알고 있기 때문 입니다.

 

어느 스님은 초기경전에 크게 의지 하는 것에 대하여 우려합니다. 경전에 쓰여 있는 문구를 문자 그대로 믿는다 하여 문자주의라 하는가 하면 심지어 불교근본주의자라 하여 불온시 하기까지 합니다. 그래서 문자 그대로 믿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현실에 맞게 재해석해야 함을 말 합니다. 분노에 대해서도 상황에 맞게 해석해야 함을 말합니다. 소위 자비의 분노, 거룩한 분노도 있을 수 있음을 말 합니다.

 

스님의 주장에 일부는 공감하지만 모두 수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상황논리로 경구를 해석하게 된다면 새로운 불교가 출현하게 될지 모릅니다. 21세기에 맞는 불교가 생겨 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고려대 모교수는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된 교리가 나와야 한다고 세미나에서 주장한 바 있습니다. 그런 교수는 2011년 종교평화선언을 기초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등산을 하면 정상에서 만나듯 길은 달라도 진리는 같은 것이라 하여 불교나 기독교나 근본에 있어서는 같은 것이라 했습니다. 만일 교수의 주장대로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된 교리가 등장한다면 기독교의 교리도 수용할 수 있을 겁니다. 마치 인도에서 대승불교가 힌두이즘을 수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불교가 힌두이즘과 차이가 없어졌을 때 불교는 사라졌습니다. 가르침을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탄생된 불교는 본질에서 멀어졌습니다. 정법이 훼손 된 것 입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그 자체로 완전 합니다. 그럼에도 끊임 없이 재해석을 시도 하는 것은 결국 부처님 가르침이 불완전하다든가, 부처님의 깨달음에 대하여 미완성으로 보기 때문 일겁니다.

 

현재 한국에는 두 종류의 빠알리니까야가 번역되어 있습니다. 보통불자가 주제넘게 번역비교를 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수 많은 번역오류를 발견했습니다. 원문을 놓고 일대일 번역비교를 해보니 우열이 드러났습니다. 길고 짧은 것은 대보면 알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불교전통에 살고 있는 불자들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그 자체로 완전 합니다. 그럼에도 끊임없이 재해석을 시도 하려 합니다. 그결과 가르침은 크게 훼손 되었습니다. 승보에 대하여 스님들이라 한 것은 경전적 근거가 없습니다. 단지 개인적 견해에 불과 합니다. 분노에 대하여 자비의 분노이니 거룩한 분노이니 하는 것 역시 경전적 근거가 없습니다. 자신의 견해에 불과 합니다.

 

불자라면 경전에 근거해서 말해야 합니다. 아무리 훌륭하고 뛰어난 말이라도 경전에 근거하지 않으면 개인적 견해에 지나지 않습니다. 설령 승복의 권위로 밀어 부친다고 해도 아닌 것은 아닙니다. 불자들은 어떤 경우에도 붓다와 담마와 상가에 의지하고 귀의하고 피난처로 해서 살아 갈 뿐 입니다.

 

 

2016-07-15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