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네” 하며 들어주다 보니
“네, 네.”25분 동안 “네, 네”만 했다. 그 분은 종종 전화하면 말이 길어진다. 특별한 것이 없다. 그저 올린 글이 좋다고 전화한다고 했다. 이럴 때 들어주기 바쁘다.
잘 들어주어야 한다. 잘 들어주는 것이 대화를 잘 하는 것이다. 더구나 먼저 전화를 했기 때문에 하고 싶은 말이 많았을 것이다. 그래서 연신 “네, 네”하며 들어준다.
말을 들어주다 보면 “언제 끝나나?”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고 함부로 말을 자르고 “이제 그만하시죠?”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런데 그분은 끝날 듯 하면서 말을 이어간다는 것이다. 어떤 면에 있어서는 즉흥적이다. 내키는 대로 말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인내를 갖고 “네, 네”한다.
그분은 선생님 출신이다. 오래 교단에 섰기 때문일까 가르치려 든다. 세상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고 말하며 세상을 한탄하기도 한다.
한번 말문이 터지면 정치, 사회, 경제 등 가슴 속에 있는 말을 쏟아 놓는다. 연신 “네, 네”하기가 뭐해서 한마디 할라치면 말을 자른다. “네, 네”하며 들어주다가 마침내 말할 기회를 포착한다. 그러나 끝까지 듣는 법이 없다. 좋은 생각이 난 것처럼 이번에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빨리 통화를 끝내고 다른 일을 해야 하는데 끊어 질듯하며 이어진다. 이처럼 수 없이 반복하다 보면 점점 지쳐 간다. 목구멍에서는 “그만하시라”며 끊어 버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지만 차마 그럴 수 없다. 어느 정도 단계에 접어 들면 포기 상태가 된다. 계속 “네, 네”싫은 기색을 내서는 안된다. 드디어 통화가 끝났다. 25분 동안 들어주었지만 남은 것은 없다. 허탈한 마음이다.
글 좀 쓴다고 하여 전화 걸었을 것이다. 어쩌면 확인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런 확인을 해 주어서 충족하게 해 주었다면 그것으로 되었다. 별거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면 된 것이다. 선생님출신이나 스님들은 다 그런가?
2021-01-18
담마다사 이병욱
'진흙속의연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원영 선생 탄원서를 보고 (0) | 2021.01.19 |
---|---|
꼰대보다 친구가 되어야 (0) | 2021.01.19 |
혜화동 로타리 추억여행 (0) | 2021.01.18 |
“인생을 즐겨라”라는 말에 속지 말아야 (0) | 2021.01.17 |
슬픔을 노래하는 시인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