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속의연꽃

책 세 권을 회향하고

담마다사 이병욱 2021. 8. 29. 05:26

책 세 권을 회향하고



오늘은 기일날이다. 부모님 두 분 합동으로 모시는 날이다. 이주 간격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기로 했다.

제사를 준비했다. 역할 분담한 것도 있다. 그러나 늘 그렇듯이 주최측 부담이 크다. 다른 사람은 아무리 잘한다고 해도 객에 지나지 않는다.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이다. 도와 주어야 한다. 이럴 때는 지시 받아 움직이는 것이 낫다. 이것 저것 시키는대로 하는 것이다.

모든 준비는 다 끝났다. 손님 맞이 하듯이 기다렸다. 한가족이 오지 않아 아쉬웠다. 내년에는 꼭 참석하기를 기대한다.

오늘 기일날 특별한 것을 올렸다. 일주일전 만든 책 세 권을 올린 것이다. 아마 제사상에 책을 올린 것은 좀처럼 볼 수 없는 일일 것이다. 갑자기 생각난 것이다. 음식만 올릴 것이 아니라 "책도 올려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 것이다.

 


공덕은 회향해야 한다. 회향은 불교에서 장려하는 것이다. 보시하는 것도 좋지만 더 좋은 것은 보시공덕을 함께 나누는 것이다.

보시는 아름다운 덕목중의 하나이다. 어느 누구나 보시공덕을 강조한다. 산자에 대한 보시가 대부분이다. 죽은 자에 대한 보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제철 음식으로 제사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제 철의 정갈하고 훌륭하고 알맞은 음식과 음료를 헌공하오니"(Khp.7)라는 가르침으로도 알 수 있다.

제사 지낼 때 음식만 헌공하리라는 법은 없을 것 같다. 음식 이외 다른 것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책이다. 이번에 27, 28, 29번째 책을 공양물로 올리고자 한 것이다. 이를 회향개념으로 생각했다.

부처님은 제사를 부정하지 않았다. 초기경전을 보면 부처님은 살생의 제사는 부정했다. 그러나 공덕을 회향하는 제사는 장려했다. 예경지송 추모경송품을 보면 이런 게송이 있다.

"제가 얻은 이 공덕을
가신 님들에게 회향하니
세상을 하직한 님들에게
행복이 깃드소서.

제가 얻은 이 공덕을
가신 님들에게 회향하니
세상을 하직한 님들에게
행복이 깃드소서.

제가 얻은 이 공덕을
가신 님들에게 회향하니
세상을 하직한 님들에게
행복이 깃드소서.”

(예경지송, 추모경송품, 가신님들을 위한 회향공덕)

게송을 보면 똑같은 내용이 세 번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신 님에게 회향하는 것이다. 영가에게 하는 것이 아니다. 불교에서는 고정된 실체를 의미하는 영혼이나 아뜨만과 같은 개념을 부정한다. 다만 아귀계는 인정한다. 아귀는 육도윤회하는 중생중의 하나이다.

선망부모님이 어느 세계에 있는지 알 수 없다. 혹시 아귀계에 있다면 제사의 효과는 있을 것이다. 아귀계에 없다고 할지라도 죽은 조상중에는 아귀계에 있는 조상도 있을 것이다. 제사를 지내는 목적은 이와 같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내는 것이다. 그래서 담장밖에 경에 다음과 같은 게송이 있다.

"담장 밖의 거리
모퉁이에 있으면서
가신 친지들이 자기 집을 찾아와서
문기둥에 서있나이다.

여러 가지 음식과
많은 음료를 차렸으나
뭇삶들의 업으로 인해
아무도 님들을 알아채지 못하나이다.

연민에 가득 차서
가신 친지들에게
제 철의 정갈하고 훌륭하고
알맞은 음식과 음료를 헌공하오니,
가신 친지들을 위한 것이니
친지들께서는 행복하소서."(Khp.7)

게송을 보면 가신 친지들이라고 했다. 아귀계에 떨어진 친지들을 말한다. 부처님 가르침을 몰라 한평생 산 사람들은 인색하게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육도 중에서도 아귀계에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제사는 아귀계에 떨어진 조상을 위해서 헌공하는 것이다. 부모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수도 있지만 가능성이 있다면 제사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설령 부모님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조상중에 누군가는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사를 지내면 어떤 식으로든지 공덕이 된다.

죽은자들의 세계를 알 수 없다. 가능성을 보고서 제사 지내는 것이다. 제사는 아귀계를 위한 제사이다. 아귀계만이 인간과 감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계는 감응이 없어서 제사의 효과가 없다. 천상에 태어난 자나 지옥에 태어난 자나 인간으로 태어난 자에게 제사 지내는 것은 아니다. 늘 배고픈 아귀계를 위한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제사지내는 목적은 아귀계에 떨어진 조상에게 시식케 하는 것이다. 이는 “거기에는 농사도 없고 목축도 없고 장사도 없고 황금의 거래도 없이 보시 받은 것으로 연명하나니”(Khp.7)라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런 아귀계의 조상이 찾아 온다. 그래서 게송에서도 "가신 친지들이 자기 집을 찾아와서 문기둥에 서 있나이다."라고 한 것이다.

아귀계가 인간과 감응한다면 음식만 흠향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부처님 말씀도 들려 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천도재를 하면 무상게 등 부처님 말씀을 들려 준다. 이런 이유로 담마와 관련된 책 세 권을 공양물로 올렸다.

물질은 나누면 나눌수록 줄어든다. 그러나 공덕은 나누면 나눌수록 커진다. 공덕은 정신적인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나누어도 줄어 들지 않는다. 오히려 나누면 나눌수록 커지는 것이 공덕이다. 이는 다름아닌 회향공덕이다. 책을 공양물로 올린 것도 이에 해당될 것이다.

제사는 죽은 자를 위한 공양도 되지만 산자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제사를 지내고 난 다음 성친을 즐기는 것은 산자를 위한 것이다.

산자들을 위해서 스페셜 요리로 호박잎삼합을 준비했다. 본래 삼합은 홍어와 수육과 묵은지가 결합된 것이다. 이번에 준비한 것은 호박잎 삶은 것과 목삼겹 에어프라이에 구운것과 절단낙지가 결합된 것이다. 채소와 육류와 어류가 어우러진 것으로 준비해 보았다. 처음 시도해 본 것이고 처음 먹어 보는 것이 되었다. 시도해 보았다는데 의미를 두었다.

 


오늘 기일날 가장 의미 있었던 것은 책을 공양한 것이다. 헌공이 반드시 음식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 준 것이다. 아귀계 존재가 늘 배고픈 것은 사실이지만 정신적 양식도 있어야 할 것이다. 경전에 있는 게송하나라도 지니고 있다면 그 공덕으로 아귀계를 떠날 수도 있을 것이다.

"제가 얻은 이 공덕을
가신 님들에게 회향하니
세상을 하직한 님들에게
행복이 깃드소서.”

2021-08-28
담마다사 이병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