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니까야모임

올해 처음 대면 모임 가졌는데

담마다사 이병욱 2021. 11. 17. 07:35

올해 처음 대면 모임 가졌는데


11
12일 금요모임 있는 날이다. 오후 7시에 모임이 시작되기 때문에 일찍 길을 나섰다. 6시 도착을 목표로 했다. 한시간 일찍 도착해서 해야 할 일이 있다. 청소하는 것이다. 마치 도량청소하듯이 서고를 청소하고자 했다.

오후 4시 반 이전에 출발했다. 막힐 것을 각오했다. 1시간 30분 걸릴 것으로 보았다.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부천을 지날 때 상습적으로 막힌다. 이번에는 다리를 건너서도 막혔다. 두 번 막히다 보니 두 시간 걸렸다.

KPTS,
한국빠알리성전협회에 도착하니 6시 반이 되었다. 늦었지만 청소하고자 했다. 그러나 할 것이 없다. 이미 지난 월요일 홍광순 선생이 다 해 놓았기 때문이다. 쓰레기 비울 것도 없었다. 그 대신 차를 준비했다. 도착할 사람들에게 줄 보이차를 말한다. 서고에는 늘 차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만 있으면 된다.

 


먹을 것도 준비해 갔다. 빵집에서 달지 않은 것으로 준비했다. 저녁밥을 먹지 않고 오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허기를 때울 수 있을 정도만 준비했다.

모임을 시작하기 전 여유가 있어서 전재성 선생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역시 화제는 대면과 비대면 모임이 되었다. 비대면 줌모임이 편하기는 하지만 명백히 한계가 있다는 것에 있어서는 공통된 의견이었다.

모이기가 쉽지 않다. 큰 마음을 내지 않으면 흐지부지 되기 쉽다. 그러나 모임은 두 명만 모여도 성립된다. 전재성 선생에 따르면 코로나 시기 임에도 대면 모임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 하나 있다고 했다. 가장 적게 모였을 때 두 명이라고 했다.

많이 모이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숫자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숫자 보다 열의가 더 중요하다. 두 명 모였다고 하더라도 열의만 있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다. 전재성 선생도 학창시절 함석헌 선생 공부모임에 참여했었는데 나중에 자신과 또 한명만 남게 되어서 두 명 모임이 된 적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모임은 두 명만 모여도 하는 것이다. 숫자에 연연해할 필요는 없다. 모임의 가치를 아는 사람은 나오지 말라고 해도 나올 것이다. 그래서 니까야에 이런 가르침이 있다.


그 수행승은 목숨이 붙어있는 한 그 사람에게 머무는 것이 좋으며, 쫓겨날지라도 그 사람을 떠나서는 안 된다.” (M17)


공부가 잘 되는 수행처가 있다면 그곳을 떠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설령 그가 잘못을 저질러서 쫓겨날 위기에 처했어도 그곳을 떠나지 말라고 했다.

여러 모임이 있다. 최상의 모임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자신을 향상시키고 성장시키는 모임일 것이다. 경전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수행승들이여, 최상의 모임이란 무엇인가? 그 모임 가운데 장로수행승이 사치하지 않고, 태만하지 않고 탈선을 멍에로 꺼리고 멀리 여읨을 선호하고 도달하지 못한 것에 도달하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시키기 위해 열심히 정진한다. 그의 후계자도 자각적으로 본 것을 따라 한다. 그들도 사치하지 않고 태만하지 않고 탈선을 멍에로 꺼리고 멀리 여읨을 선호하고 도달하지 못한 것에 도달하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시키기 위해 열심히 정진한다. 수행승들이여, 이것을 최상의 모임이 한다.”(A3.93)


최상의 모임은 다름 아닌정진의 모임이다. 정진하는 모임에서는 잘 하는 사람을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다. 수행을 열심히 하는 사람을 보고서 그와 같이 따라 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모범이 될 만한 사람을 따라 하며 그와 같이 되려 하는 것이다. 현자를 섬겨야 하는 이유에 해당된다.

대면 모임에 모두 일곱 명 모였다. 올 만한 사람들은 온 것이다. 일정이 겹쳐서 못 온 사람들은 다음 번 모임에 참석할 것이다. 지난 5년 동안 늘 그랬다.

두 명만 모여도 모임은 시작된다. 평소와 다름없이 예경문과 삼귀의, 오계를 합송하고 십분동안 입정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당일 읽어야 할 경을 합송하고, 설명을 듣고, 상호토론 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금요모임에서는 네 개 경을 합송했다. 짤막한 경 세 개와 긴 경 한 개를 합송했다. 그런데 이번 모임에서 앙굿따라니까야 여섯 번째 법수에 진입했다는 사실이다. 이제 반절을 넘은 것이다.

법수로 이루어져 있는 앙굿따라니까야에서 최대 법수는 열한 개이다. 부처님이 설법할 때 열한 가지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식이다. 법수가 여섯이라면 여섯 가지 경우의 수가 될 것이다. 이제 여섯 법수에 진입했으니 반은 넘었다. 열한 법수까지 다 마치려면 언제까지 계속될까? 아마 2-3년은 갈 것 같다.

첫번째 합송한 것은 정어에 대한 것이다. 팔정도에 나오는 정어를 말한다. 거짓말, 이간질, 욕설, 꾸며대는 말에 대한 것이다. 경에서는 정어하지 않는 자에 대하여 악처에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수행승들이여, 거짓말을 하고, 이간질을 하고, 욕지거리를 하고, 꾸며대는 말을 하고, 몸이 파괴되어 죽은 뒤에 괴로운 곳, 나쁜 곳, 비참한 곳, 지옥에 떨어지는 것이다. 수행승들이여, 말을 많이 하는 자에게는 이와 같은 재난이 있다.”(A5.214)


이와 같은 정형구는 니까야에서 수없이 볼 수 있다. 특히 십악행에서 볼 수 있다. 십악행은 신체적으로 언어적으로 정신적으로 악행을 저지른 것을 말한다.

니까야에 따르면 십악행을 저지르면 모두 악처에 날 것이라고 했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십악행을 하면 모두 동등한 과보를 받을 것임을 말한다. 살인을 한 자나 거짓말을 한 자나 과보에 있어서는 같음을 말한다.

전재성 선생은 정어가 안되어 있는 사람에 대하여 정치인을 들었다. 거짓말을 밥먹듯 하기 때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정치인들은 중상모략도 잘한다. 때로 욕설도 하고 입에 발린 말도 한다. 이렇게 본다면 정어를 어기는 정치인들은 모두 악처에 떨어질 것이다.

사람들이 왜 거짓말을 하는 것일까? 진실되지 않기 때문이다. 진실한 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진실된 자는 누구일까? 깨달은 자들이다.

깨달은 자들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깨달은 자들은 진실만을 말한다. 부처님은 정각을 이룬 후에 45년 동안 설법했다. 이를 팔만사천법문이라고 한다. 책으로 한수레나 되는 말을 한 것이다. 그런데 니까야 번역을 읽어 보면 어느 것 하나 버릴 것이 없다는 것이다.

부처님은 45년 동안 장광설을 쏟아 내었다. 그러나 모두 진실된 말이다. 깨달은 자는 진리만을 설하기 때문에 팔만사천법문은 진리의 말씀이 될 수밖에 없다. 반면 깨닫지 못한 자의 말은 진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가 제아무리 학식이 있고 지위가 있다고 할지라도 깨닫지 못했다면 진실되지 않은 자라고 말할 수 있다. 진실되지 못한 자의 말이 되기 쉽다. 하물며 정치인의 말은 어떨까? 또 일반사람들 말은 어떨까? , , 치로 사는 사람들이 말하는 것은 정어에 어긋나는 말이기 쉽다.

말 할 수 없는 것에는 침묵하라는 말이 있다. 깨닫지 못한 자가 말을 뱉어 냈을 때 말 할 때마다 어긋날 수 있다. 그래서 부처님은 고귀한 침묵을 말씀하셨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잡담하지 말라는 말과도 같다.

고귀한 침묵은 명상주제를 잡고 정진하는 것을 말한다. 최소한 두 번째 선정에는 들어야 할 것이다. 왜 그런가? 두 번째 선정에서는 위딱까(사유)와 위짜라(숙고)라는 언어적 형상을 떠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거룩한 침묵이 된다. 그러나 담마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토론해도 좋다. 심지어 부처님은 밤새도록 토론해도 좋다고 했다. 왜 그런가? 가르침(담마)은 진리의 말씀이기 때문이다.

올해도 저물어 간다. 한해가 끝나가는 이 시점에서 대면모임이 열렸다. 올해가 저물어 가는 시점에서 처음 대면모임이 이루어진 것이다. 담마에 대한 모임이다.

비대면 모임에 참여했던 사람들 모두가 나오는 것은 기대하지 않았다. 비대면에 익숙한 사람들은 오기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나오는 사람들이 있다. 이번에 처음 오신 김선량 선생이 자리를 빛내 주셨다. 비대면으로만 참석하다가 처음 대면 모임에 나온 것이다. 그것도 저 멀리 경기도 양주 퇴계원에서 왔다. 수행을 해서 그런지 얼굴이 훤하다. 수행자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 같다.

 

대면 모임에 참석하려면 시간과 비용과 힘을 투입해야 한다. 그럼에도 대면 모임에 참여하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그것은 정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우정이다. 화면에서는 결코 접할 수 없는 것이다.

금요니까야 모임에 대하여 책을 낸 적이 있다. 제목을 원음향기 가득한 서고의 저녁이라고 했다. 니까야를 합송하고 설명을 듣고 토론하다 보면 향내가 나는 것 같아서 그렇게 표현해 본 것이다.

사람이 많건 적건 상관없이 가치를 아는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모임이 끝나고 귀가하면 뿌듯한 느낌이다. 마치 학교 다닐 때 도서관에서 늦게까지 공부하다 귀가하는 것처럼.


2021-11-17
담마다사 이병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