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오신날’ 을 ‘석가탄신일’이라 부르는 사회
지리산 천왕봉
‘성(聖)’자 붙이기
부처님오신날이 얼마 남지 않았나 보다. 거리에는 형형색색이 연등이 걸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전 같으면 볼 수 없는 광경이다. 특히 유일신종교세가 강한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엄두도 못내었던 일이다. 그 만치 불교가 제자리를 잡아 가고 있고 대중화 되었다는 증거일까.
유일신교를 믿는 친구가 있다. 업무상관계로 만난 친구인데 서로 이야기가 통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서로간의 종교이야기도 하게 된다. 이야기를 하면서 피상적으로 알고 있었던 상대방의 종교도 알게 되고 이해 하는 계기도 되었다. 그러나 추구 하는 정신세계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낀다.
우선 그 친구 하는 이야기는 천국과 지옥이야기가 주된 관심사이고 그 다음은 ‘죄사함’에 대한 이야기이다. 아무리 착하게 살고 좋은 일을 많이 하였더라도 그들의 신을 믿지 않으면 절대로 천국에 갈 수 없다는 이야기이고 예외없이 모두 지옥행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아무리 죄를 많이 지었어도 그들의 신에게 회개 하면 다 용서가 된다는 것이다. 특히 후자에 대하여 강조 한다.
유일신교에서는 예수가 탄생 한 날을 ‘성탄절’이라고 한다. 그리고 교리가 적혀 있는 책을 ‘성경’이라고 부른다. 무었이든지 성스러울 ‘성(聖)’자가 들어가지 않는 것이 없다. 교회를 ‘성당’ 또는 ‘성전’이라고 부르고 신자를 ‘성도’라고 부른다. 심지어 목사나 신부를 ‘성직자’라고 부른다.
불교에서는 석가모니부처님이 탄생한 날을 ‘부처님오신날’이라 부른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사회에서는 ‘석가탄신일’ 또는 ‘석가탄생일’이라고 부르고 있다. 같은 성인 이지만 한편은 성탄이 되고 다른 한편은 탄생일이 된다. 불교에서는 성스러울 성자가 들어 가는 말이 별로 없다. 불경은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과 같이 경전이름 그대로 부른다. 이들을 총칭하여 ‘불경’이라고 한다. 또 부처님을 모셔 놓은 곳을 절 또는 사찰이라고 하지 성당 또는 성전 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신도 역시 ‘불자’ 또는 ‘법우’ ‘거사’ ‘보살’로 부르지 성도라고 부르지 않는다. 스님 역시 성직자라 말하기 보다 ‘수행자’라는 말을 쓰기 좋아 한다.
도가도 비상도(道可道非常道), 불일불이(不一不二)
“I am a Great!” 왕년의 권투세계챔피언 무하마드 알리가 늘 입버릇 처럼 달고 다니던 말이다. 스스로 위대 하다는 것이다. 남이 알아 주건 말건 자신은 늘 위대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대하고 훌륭한 사람들은 스스로 위대하다고 훌륭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위대하고 훌륭하다고 말하는 순간 위대 하고 훌륭함이 아님을 공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가도 비상도(道可道非常道). 말로 형상화된 도는 늘 그러한 원래의 도가 아님을 말한다. 도라고 말한 순간에 그 이미지에 사로 잡혀서 진정한 도가 될 수 없음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성(聖)’이라고 말하는 순간에 성이라는 개념에 한정 되므로 진정한 성스러운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이런 비슷한 표현은 불경의 도처에 깔려 있다. 금강경에 나오는 ‘A 즉비A 시명A’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A라고 규정 지으면 A가 될 수 없고 다만 그 이름이 A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논리는 거의 모든 부분에 그대로 적용된다.
불일불이(不一不二). 하나라고 볼 수 없고 그렇다고 둘도 또한 아니다. 불일불이사상이다. 하나의 볍씨가 생기기 까지에는 우주의 모든 요소가 동원 되어서 하나의 알갱이가 되었다. 따라서 우주와 볍씨는 엄연히 다른 것이다. 그렇다고 우주와 전혀 별개라 볼 수 없다. 볍씨는 우주의 하나의 드러난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런 논리를 적용하면 사람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반야심경에서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이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법성게에서의 ‘제법’과 ‘법성’과의 관계도 다름이 아니다. 금강경의 ‘A 즉비A 시명A’도 그 범주안에 들어간다.
반야심경의 특징은 부정으로 시작된다. 심지어는 부처님의 핵심가르침인 4성제 12연기마저 부정 한다. 그러나 이것을 잘못 해석 하면 ‘허’와 ‘무’만 남게 된다. 제대로 해석 하려면 공중을 빼 먹지 말아야 한다. 즉 공중무색 할때의 ‘공중(空中)’이다. 즉 공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4성제도 없고 12연기도 없다는 것이지 부처님의 가르침 자체를 부정 하는 것은 아니다. ‘불생불명’ ‘불구부정’ ‘부증불감’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즉 공의 입장에서 보았을때 태어남도 죽음도 없고 더럽고 깨끗한 것도 없으며 더구나 더해지거나 빼지는 것도 없다.
여기서 불구부정 즉 공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더러운 것도 없고 깨끗한 것도 없다고 하였다. 이말을 약간 바꾸면 성스러울 것도 없고 속물스러운 것도 없다라는 말과 동일 하다. 단어 앞에 성자를 붙인다고 해서 성스러워지는 것도 아니고 붙이지 않았다고 해서 속스러운 것도 아니다라는 뜻이다.
좋은 우리말인 ‘부처님오신날’을 놓아두고
성탄절과 탄생일, 성전과 회당, 성도와 신도, 성경과 경전 이와 같이 속된 것과 구분하여 성자를 붙이지만 언제 예수님이 성탄절이라고 붙여 달라고 하지 않을 것이고 회당을 성전이라고 불러 달라고 요구 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 신도를 성도로 불러 달라고 명함을 준것도 아니고 경전을 성스런경으로 불러 달라고 요청 하지 않았을 것이다. 마치 설악산이 있는데 내이름을 설악산이라고 불러 달라고 명함 내밀지 않은 것과 다름이 없다. 모두다 사람들이 갖다 부친 이름이다. 그리고 차별화 하기 위해서 붙인 이름이다.
부처님오신날이 머지 않았다. 석가모니부처님도 성인임에 틀림 없지만 자신이 태어난 날을 성탄절이라고 불러 달라고 하지 않았음에 틀림 없다. 그리고 자신이 한 말을 모은 경전을 성경이라고 불러 달라고 할 일이 없을 것이다. 또 부처님을 모신 법당을 성당 또는 성전이라고 부르라고 할리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좋은 우리말인 ‘부처님오신날’을 놓아두고 굳이 ‘석가탄신일’이라고 부르는 사회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진흙속의연꽃
'진흙속의연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블로그 보다 못한 동아일보 (0) | 2008.04.22 |
---|---|
대한민국의 굴욕 (0) | 2008.04.21 |
CEO대통령과 ‘미국퍼주기’ (0) | 2008.04.20 |
알고나면 못먹는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0) | 2008.04.19 |
가식의 ‘페르조나’와 숨기고 싶은 그림자 (0) | 200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