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나의 행위는 선법인가 불선법인가, 37조도품의 사정근(四精勤)이야기

담마다사 이병욱 2009. 3. 28. 11:40

 

나의 행위는 선법인가 불선법인가,  37조도품의 사정근(四精勤)이야기

 

 

 

 

 

 

불교에는 포교다운 포교가 없다. 길거리나 전철에서 불교를 포교 하는 모습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인연이 되어서 접하게 되었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불교교양대학의 교재를 보면

 

불자가 되는 방법중의 하나는 불교교양대학에 입학 하는 것이다. 요즘에는 좀 규모가 있는 사찰에서는 봄과 가을 학기에 걸쳐서 모집 하기도 하고, 일년에 한번 모집 하기도 한다. 불교를 본격적으로 접하는 불교교양대학에서 교재를 보면 천수경을 위주로 한 대승불교에 대한 가르침이 주된 내용이다. 불교에 대한 교리를 배운 다고 하지만 나중에 생각 해 보면 무엇을 배웠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단지 열심히 기도 하고, 열심히 보시하면 불보살의 가피를 받을 것이다라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불자들이 복이나 비는 기복적인 신앙으로 흐르고 있고, 스님들 역시 이를 방치 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불교의 가장 큰 병폐중의 하나는 기초가 부실 하다는 것이다. 부처님의 가장 근본적인 가르침인 '사성제' '팔정도' '12연기'와 같은 가르침 대신에 타력적인 요소의 보살사상을 강조 하다 보니 기복신앙으로 발전된 양상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불교교양대학에서의 교과과정은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우선적으로 하여 기초부터 쌓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다. 무엇이든지 기초가 튼튼해야 응용도 가능한 것이다.

 

초기불교의 교학에 대하여 매우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곳이 있다. 불교tv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이라는 프로그램이다. 각묵스님이 강의 하는 이 프로를 들으면 불교교양대학의 교재로 써도 손색이 없을 듯 하다. 다음은 각묵스님의 강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정진하세 정진하세 물러남이 없는 정진

 

부처님의 가르침은 크게 교학과 수행으로 나눌 수 있다. 교학으로 본다면 '온처계근제연'이고 수행으로 본다면 '37조도품'이다. 37조도품중에 사정근(四精勤)이 있다. 다음은 사정근에 대한 내용이다.

 

사정근은 빨리어로 '삼마빠다나(Samma-ppadhana)'라 한다. 어원을 살펴 보면 삼마(samma)'바르다'는 뜻이고, 빠다나(ppadhana)'노력하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말로 표현 하면 '바른노력'이 되겠다. 그런데 이 바른노력이라는 정근은 팔정도의 '정정진'과 같은 말이라는 것이다. 즉 동의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정진(위리야, viriya)'이란 무엇인가.

 

정진은 불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주제어이다. 초기경전에서는 이 정진에 대하여 명쾌 하고 정확하게 정의 하여 놓았다. 최근의 찬불가에서도 정진이라는 주제어로 나온 노래가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도 인식을 하는 것일까 노래의 가사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도 부처님같이

 

어둠은 한순간 그대로가 빛이라네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이
무명을 거두고 우주를 밝히는
이제는 가슴깊이 깨달을 수 있다네
정진하세 정진하세 물러남이 없는 정진
우리도 부처님 같이 우리도 부처님 같이

 

원망은 한순간  모든것이 은혜라네
지족하는 마음 감사하는 마음이
나누는 기쁨을 맛볼수 있는
이제는 여실히 깨달을 수 있다네
정진하세 정진하세 물러남이 없는 정진
우리도 부처님 같이 우리도 부처님 같이

 

 

이 노래에서의 키 포인트는 "정진하세 정진하세 물러남이 없는 정진 우리도 부처님 같이" 이다.

 

정진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어인 정진에 대하여 부처님은 무엇이라고 말 하였을까. 초기경에 내용이 명확하게 나와 있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sammappadhāna]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악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열의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사악하고 해로운 법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의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善法]들을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열의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을

지속시키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성취하기 위해서 열의를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상윳따 니까야 동쪽으로 흐름 경(S49:1) §3)

 

 

여기에서 중요한 단어는 '선법''불선법'이다. 선을 빨리어로 '꾸살라(kusala)'라 하고, 불선을 '아꾸살라(akusala)'라고 한다. 정진 이야기가 나오면 가장 먼지 떠 올려야 하는 단어는 선법과 불선법이다. 즉 선법과 불선법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이다. 만일 선법이라고 생각 된다면 증장 시키려고 노력 하면 되고, 불선법이라 판단 된다면 없애려고 노력해야 한다. 초기경전에서 부처님은 이점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정근은 팔정도의 정진과 동의어라고 하였다. 따라서 정진의 내용이 그대로 정근과 같다는 의미이다. 정진은 크게 선법과 불선법을 나눈다고 말하였다. 이것을 4가지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이미 일어난 불선법은 없애려고 노력해야 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선법은 다시는 일어 나지 않도록 노력한다.

이미 일어난 선법은 증장시키려고 노력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법은 일어나게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사정근의 내용이다.

 

불선법의 판단은 어떻게

 

그렇다면 선법과 불선법의 판단은 어떻게 해야 할까.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해탈과 열반이다. 해탈 열반에 도움이 되는 것은 선법이고, 도움이 되지 않은 것은 불선법이라 볼 수 있다. 부처님은 추상적으로 말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말 하였다. 그 구체적인 예가 '10가지 불선업'이다. 즉 몸과 말과 마음으로 짖는 불선업이다.

 

첫째로, 몸으로 짖는 불선업은 3가지이다. , 살생, 투도, 사음이다.

둘째로, 입으로 짖는 불선업은 4가지이다. , 망어, 기어, 양설, 악구이다. 여기에서 현대어로 재번역 한다면 거짓말, 잡담, 이간질, 욕설이 되겠다.

셋째로, 마음으로 짖는 불선업 3가지이다. , (탐욕), (성냄), (삿된 견해)를 말한다.

 

'육단심(肉團心)'만 낸다고

 

정진은 선방에 앉아서 좌선수행만 하는 의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좌선수행중에 '육단심(肉團心)'만 내고 있다면 오하려 불선업을 저지르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여기서 육단심의 의미는 만용을 부려 억지로 하는 것으로 큰 욕심을 내게 하는 마음을 말한다.

 

사정근은 선법과 불선법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항상 깨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특정한 심리현상에 부딪쳤을 때 해로운것인가와 선한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하여야 한다. 그래서 선법이라고 판단 되면 증장시키고, 불선법이라고 판단 되면 가차 없이 쳐 내어야 한다는 것이 사정근의 핵심 가르침이라 볼 수 있다.

 

 

2009-03-28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