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산천초목이 춤추고 온 우주가 진동하고, 빠알리어 초전법륜경 전문

담마다사 이병욱 2010. 5. 7. 18:06

 

산천초목이 춤추고 온 우주가 진동하고, 빠알리어 초전법륜경 전문

 

 

인도성지순례에서

 

우리나라 불자들이 인도성지순례를 가면 볼 수 있는 장면 중의 하나가 석가모니불정근이라고 한다. 인도에서 유학중에 있는 어느 블러거의 글에서 본 내용이다.

 

bbs불교방송을 듣다 보면 인도성지 순례단을 모집 한다는 광고를 들을 때가 있다. 그 때 듣는 말은 법화경을 설한 성지, 금강경을 설한 성지, 유마거사가 활동하였던 무대등을 소개 하는 장소를 듣는다. 그런데 그런 장소는 역사적으로 실재 하였던 고따마붓다의 성지가 아니라 대승경전이 설하졌던 장소를 방문 하는 것이다. 그런 성지에서 모여서 대승불교의 의식에 따라 한결같이 석가모니불 정근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타불교국가의 불자들은 어떻게 할까. 그 블로거가 남겨 놓은 자료에 따르면 스리랑카 불자의 경우 모두 모여서 인솔자가 없어도 초전법륜경을 독송한다고 한다.

 

 

 

 

 

 

인솔하는 스님 없이도 스리랑카의 불자들이

초전법륜경을 독송하고 있는 스리랑카의 불자들(사르나트).

사진; http://blog.daum.net/whoami555/13741955

 

 

 

초전법륜경이란

 

초전법륜경이란 어떤 경전일까. 인터넷의 영문판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Dhammacakkappavattana_Sutta)를 참고 하였다.

 

초전법륜경의 빠알리어 명칭은 담마짝깝빠왓따나숫따(Dhammacakkappavattana Sutta)이다. 이 경은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고 나서 처음으로 설한 경으로 알려져 있고, 불교의 핵심사상이라고 볼 수 있는 중도와 팔정도, 사성제가 모두 담겨져 있다.

 

이 경은 일반적으로 담마짝까숫따(Dhammacakka Sutta)로 알려져 있고 한자역어로는 初轉法輪經(초전법륜경)’이다. 빠알리문헌에서 이경은 상윳따니까야의 56, 11번째 경(SN 56:11)에 있다.

 

이 경의 이름에서 담마(Dhamma)는 문맥상 두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조건지워져서 변화하는 일체법이라 할 때 소문자 d를 써서 dhamma라 하고, 또 하나는  고통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한 붓다의 진실한 가르침(8 4천법문)을 언급할 때는 대문자 D를 써서 Dhamma라 구분 하기도 한다.

 

짝까(Chakka)는 빠알리어로서 우리말 바퀴’로 번역된다. 영어로는 ‘wheel’이라고 번역되어 ‘Dhamma weel’이 된다. 짝까는 한자어로는 ()’으로 번역 되어 법륜(法輪)’이 된다.  

 

이런 바퀴는 불자들의 심볼과도 같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고 난 뒤에 최초로 굴렸기 때문이다. 이런 굴림에 관한 빠알리어가 빠왓따나(Pavattana)’이고, 영어로 ‘turning’또는 ‘rolling’등으로 번역 된다. 이에 대한 한자어는 초전(初轉)’이다.

 

 

 

 

 

불교의 상징인 법의 수레바퀴

보통 팔정도를 나타낸다.

사진 http://www.aimwell.org/Books/Pesala/Dhammacakka/dhammacakka.html

 

 

 

 

초전법륜경의 내용은

 

초전법륜경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 되어 있을까.

 

부처님이 막 깨닫고 난 후에 부처님은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였던 다섯명의 수행자에게 자신이 깨달은 바를 설하였다. 부처님은 그들에게 세속적인 감각적 즐거움이나 고통스런 고행에 대한 주의를 주었다. 그와 같은 두 극단을 피하고 중도(中道,  majjhimā patipadā, Middlw Way)를 언급 한 것이다.

 

부처님을 깨달음으로 이끈 중도란 팔정도(ariyo atthangiko maggo, Noble Eightfold Path)를 추구 하는 것을 말한다.

 

팔정도는 반드시 '바른(, sammā, right)'이라는 말이 들어가는데 정견 (正見 sammā-diṭṭhi, Right view) 정사유(正思(, samma sankappa, Right intention), 정어(正語, sammā-vācā, Right speech), 정업(正業, sammā-kammanta, Right action). 정명(正命 , sammā-ājīva, Right livelihood) 정정진 (正精進, sammā-vāyāma, Right effort), 정념(正念 sammā-sati, Right mindfulness, 정정(正定, sammā-samādhi, Right concentration)를 말한다. 그 길이 비젼, 지식, 평화, 깨달음, 닙바나로 이끈다는 것이다.

 

부처님은 이어서 사성제를 강조 하였다. 고통(dukkha, suffering)은 늙음, 병들음, 죽음과 같은 것등을 말하지만, 불만족 스러운 것, 즐거움이 오래 가지 않는 것, 원하는 것을 못 얻는 것등과 같이 우리 몸에 달라 붙어 떨어지지 않는 오취온(pancupādānakkhandhā, five aggregates)을 말하기도 한다.

 

부처님이 깨달은 내용은

 

고통의 근원(dukkhasamudayo)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tanhā, craving), 존재에 대한 갈애, 비존재에 대한 갈애 때문에 발생 하는 것으로 본다. 고통의 끝(dukkhanirodho) 은 이들 갈애로부터 자유로워 졌을 때 온다. 고통의 소멸로 인도 하는 길은 전술한 팔정도이다.

 

이들 성스런 네가지 진리는 개별적으로 성취 되어야 하는데 세가지 방법에 따른다.

 

 

첫째, 성스런 진리를 아는 것이다.

둘째, 성스런 진리를 마음속에 그리는 것이다.

셋째, 성스런 진리를 완전히 달성 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위와 같은 세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사성제에 있어서 각각의 진리를 성취 할 수 있었고, 마침내 그 누구도 해 내지 못하였던 위 없는 깨달음(무상정등정각, anuttaram sammāsambodhim)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부처님의 교설을 듣던 다섯명의 수행자들은 모두 기쁨으로 가득차 있었는데, 그 중에 꼰단나(Kondanna, 교진여)가 그 뜻을 이해 하였다. 이렇게 하여 최초로 부처님의 법이 이 세상에 끊임 없이 구르게 된 것이다.

 

곰브리치교수의 견해는

 

초전법륜경에 대하여 또 다른 견해도 있다. 현대불교학자인 옥스포드 대학의 곰브리치(Gombrich)교수는 다음과 같이 주장 하기도 한다.

 

 

물론 붓다가 처음으로 그 교설을 설하였는지에 대하여 진실로 알 수 없다우리가 가지고 있는 경전상의 언어는 이를 공식화 시켜 왔으며, 더 이상 다른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미 설정된 교의에 대하여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경전의 편집자들은  붓다의 깨달음에 대한 매우 핵심적인 사항을 첫번째 교설로 집어 넣은 것이다.

 

 

부처님이 깨달은 법이 과연 최초로 설해 진 것일까에 대한 의문을 제기 하고 있는 것이다. 경전에서는 처음으로 설해졌다고 주장 하고 있으나 후대에 경전편찬자들이 첫번째 교설로 집어 넣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왜 초전법륜경인가

 

그렇다면 왜 초전법륜경이 중요할까. 그것은 불교의 핵심사상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부처님의 핵심사상을 담고 있는 경전으로서 초전법륜경과 대반열반경을 들 수 있다. 처음 깨달음을 얻어서 설한 경과 열반에 들기 전에 설한 경에서 강조한 사항이 사성제와 팔정도로서 내용이 동일 하기 때문이다.

 

부처님이 45년 동안 설법한 수많은 법문이 있지만 모두 이 초전법륜경의 토대위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이 초전법륜경의 내용을 하나 하나 설명한 것이 84천법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 경전에서 언급한 사성제와 팔정도는 수행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초전법륜경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북방불교에서는 그다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생소한 경전이다. 그러나 남방 상좌불교에서는 핵심경전이라 한다. 그런 예를 초기불전연구원카페에서 볼 수 있었다.

 

어느 네티즌이 상좌부에서 항상 읽고 송경하는 예를 들면 반야심경이나 천수경같은 경전은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각묵스님은 상좌부에서는 자비경(숫따니빠따), 망갈라경(숫따니빠따), 대념처경(장부), 초전법륜경 등을 자주 독송하는 것 같았습니다.” 라고 답하였기 때문이다.

 

 

 

 

 

초전법륜경 챈팅

출처; http://www.youtube.com/watch?v=wtB_TuD_520

 

 

 

 

음성

Dhammachakka.mp3

 

 

 

초전법륜경 전문

 

 

부처님이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었다는 것은 커다란 사건이었다. 그 깨달음이란 무엇 이었을까. 바로 그 것은 사성제이다. 이를 두고 어떤이는 부처님이 진리를 발견한 것이 아니라, 진리에 의하여 발견된 자가 부처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런 깨달음을 최초로 알아 들은 사람이 있었으니 콘단냐이다. 최초로 법이 전해 진 것이다.

 

이런 소식은 전 우주에 즉각 퍼져 나갔다. 가장 먼저 이 소식을 전한 존재가 바로 사슴동산에 있었던 땅의 신이었다. 땅의 신이 사대왕천의 신들에게 전달 하고, 사대왕천의 신들은 삼십삼천의 신들에게, 야마천의 신들에게, 도솔천의 신들에게, 화락천의 신들에게, 타화자재천의 신들에게, 범신천의 신들에게 차례로 위로 즉각 퍼져 나가 전달되었는데 그들이 한결 같이 외친 말은 다음과 같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수 없도다!”

 

 

한 사람이 알아 들음으로서 이제 한 번 퍼진 부처님법은 이제 누구도 멈추게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왜냐하면 그 법은 불사(不死)의 문을 여는 법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천초목이 춤추고, 온 우주가 진동하고, 한량없는 찬란한 빛이 나타난 것으로 표현 한 것이다.

 

그런 초전법륜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 되어 있을까. 우선 빠알리어 원문을 입수 하였다. 빠알리어 원문은 http://www.aimwell.org/Books/Pesala/Dhammacakka/dhammacakka.html에서 퍼 왔다. 우리말 해석은 수까또야 카페 (http://cafe.daum.net/sukhatawya?t__nil_cafemy=item)에서 퍼왔다. 일부 반복 되는 부분에서 해석이 되어 있지 않은 곳은 영문을 참고 하여 해석하여 집어 넣었다. 그리고 단락을 나누고 소제목을 붙였다.

 

 

 

 

 

사르나트(사슴동산)

사진 http://www.shunya.net/Pictures/NorthIndia/Sarnath/Sarnath07.jpg

 

 

 

 

 

 

 

부처님과 다섯비구

사진http://www.shunya.net/Pictures/NorthIndia/Sarnath/BuddhaSarnathSermon.jpg

 

 

 

 

 

초전법륜경

(初轉法輪經, The Dhammacakkappavattana Sutta)

 

 

 

1. 사슴동산에서

 

"Evam me suttam Ekam samayam Bhagavā Bārānasiyam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Thus have I heard At one time the Blessed one was staying at the deer park in the Sage's Grove. Then the Blessed one addressed the group of five ascetics:"

 

이렇게 나는 들었다. 어느 때 세존께서는 와라나시 근처의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 계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다섯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2. 두 가지 극단에 대하여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Katame dve? Yo cāyam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mhito, yo cāyam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mhito.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t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ni ñānakarani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mvattati."

 

"These two extremes, monks, should not be followed by one gone forth. Which two? Sensual indulgence, which is low, vulgar, worldly, ignoble, and unprofitable; and self-mortification, which is painful, ignoble, and unprofitable. Avoiding these two extremes, monks, the Tathāgata has discovered the Middle Path that produces vision and knowledge, and leads to tranquillity, higher knowledge, enlightenment, and nibbāna."

 

“비구들이여, 출가자가 따라서는 안되는 두 가지 극단이 있다. 그것은 저열하고 통속적이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이며,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극단을 따르지 않고 여래는 중도를 완전하게 깨달았나니, 이 중도는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한다."

 

 

 

3. 중도와 팔정도에 대하여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t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nī ñānakaran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mvattati? Ayameva ariyo atthangiko maggo, seyyathidam: sammāditthi sammāsan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m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t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nī ñānakaran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mvattati."

 

"And what, monks, is the Middle Path that produces vision and knowledge, and leads to tranquillity, higher knowledge, enlightenment, and nibbāna? It is this noble eightfold path itself, namely: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The Tathāgata, monks, has discovered the Middle Path that produces vision and knowledge, and leads to tranquillity, higher knowledge, enlightenment, and nibbāna."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여래가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인가? 그것은 바로 성스러운 팔정도(八正道)로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동[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알아차림[正念], 바른 집중[正定]이다.” 비구들이여, 여래는 참으로 이 중도를 통하여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을 얻었다.

 

 

 

4. 고통의 성스런 진리에 대하여

 

"Idam kho pana, bhikkhave, dukkham ariyasaccam: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maranampi dukkham,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m na labhati tampi dukkham: sam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This, monks, i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birth is suffering, aging is suffering, disease is suffering, death is suffering, association with the unloved is suffering, separation from the loved is suffering, not getting what one wants is suffering, in brief the five aggregates of grasping are suffering."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이다. 태어남도 괴로움이요, 늙음도 괴로움이요, 죽음도 괴로움이다. 슬픔, 비탄,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도 괴로움이다.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요, 사랑하는 것과 헤어지는 것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데 오취온(五取蘊)이 바로 괴로움이다.

 

 

 

5. 고통의 일어남에 대한 성스런 진리에 대하여

 

"Idam kho pana, bhikkhave, dukkhasamudayam ariyasaccam: yāyam tanhā ponobbhavikā,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m: kāmatanhā, bhavatanhā, vibhavatanhā."

 

"This, monks, is the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this craving that leads to repeated becoming, taking delight now here, now there, namely: craving for sensual pleasures, craving for existence, and craving for non-existence."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集聖諦]이다. 그것은 바로 갈애이니,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즐김과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6. 고통의 소멸에 대한 성스런 진리에 대하여

 

"Idam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m ariyasaccam: yo tassāyeva tan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tinissaggo mutti anālayo."

 

"This, monk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 cessation of craving without any remainder, giving it up, renouncing it, and complete freedom from it."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滅聖諦]이다. 그것은 바로 그러한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

 

 

 

7. 고통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의 성스런 진리에 대하여

 

"Idam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tipadā ariyasaccam: ayameva ariyo atthangiko maggo, seyyathidam: sammāditthi sammāsan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This, monks, is the noble truth of the way leading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is noble eightfold path itself, namely: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의 성스러운 진리[道聖諦]이다. 그것은 성스러운 팔정도이니,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동[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알아차림[正念], 바른 집중[正定]이다.

 

 

 

8. 고통의 성스런 진리를 철저 하게 알고

 

"Idam dukkham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m ariyasaccam pariññeyy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m ariyasaccam pariññā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nsight, knowledge, wisdom, vision, light arose regarding things not seen before that This i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suffering should be [thoroughly] understood.' 'This noble truth of suffering has been understood.'"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의 성스러운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진리는 철저하게 알아져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9. 고통의 일어나는 성스런 진리를 철저하게 알고

 

Idam dukkhasamudayam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samudayam ariyasaccam pahātabb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samudayam ariyasaccam pahīn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nsight, knowledge, wisdom, vision, light arose regarding things not seen before tha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should be abandoned.' 'This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has been abandoned.'"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는 버려졌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10. 고통이 소멸 되는 성스런 진리를 철저하게 알고

 

Idam dukkhanirodham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nirodham ariyasaccam sacchikātabb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nirodham ariyasaccam sacchika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nsight, knowledge, wisdom, vision, light arose regarding things not seen before tha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should be realised.' 'This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has been realised.'"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滅聖諦]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는 실현되어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는 실현되었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11. 고통을 소멸로 이끄는 도의 성스런 진리를 철저하게 알고

 

Idam dukkhanirodhagāminī patipadā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nirodhagāminī patipadā ariyasaccam bhāvetabb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m kho panidam dukkhanirodhagāminī patipadā ariyasaccam bhāvi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m udapādi, ñānam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nsight, knowledge, wisdom, vision, light arose regarding things not seen before tha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path to the end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the path to the end of suffering should be developed.' 'This noble truth of the path to the end of suffering has been developed.'"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道聖諦]의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의 진리는 닦아져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12. 그대로 알고 보지 못하였더라면

 

"Yāvakīvañca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m tiparivattam dvādasākāram yathābhūtam ñānadassanam na suvisuddham ahosi, neva tāvāham, bhikkhave,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nabrāhman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m sammāsambodhim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m."

 

"As long, monks, as my knowledge of these four noble truths in three aspects and twelve ways was not completely pure, I did not, monks, claim incomparable full enlightenment in the world with its maras, brahmas, recluses and brahmins, with its gods and men."

 

비구들이여, 내가 이와같이 세 가지 양상과 열두 가지 형태를 갖추어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 지극히 청정하게 되지 못하였다면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실현하였다고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천인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스스로 천명하지 않았을 것이다.

 

 

 

13. 지극히 청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Yato ca kho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m tiparivattam dvādasākāram yathābhūtam ñānadassanam suvisuddham ahosi, athāham, bhikkhave,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nabrāhman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m sammāsambodhim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m."

"But when, monks, my knowledge of these four noble truths in three aspects and twelve ways was completely pure, I did claim, monks, the incomparable full enlightenment in the world with its maras, brahmas, recluses and brahmins, with its gods and men."

 

비구들이여, 그러나 내가 이와 같이 세 가지 양상과 열두 가지 형태를 갖추어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 지극히 청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실현했다고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천인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스스로 천명하였다.

 

 

 

14. 다시 태어남은 없다!

 

Ñānañca pana me dassanam udapādi: Akuppā me vimutti, ayamantimā jāti, natthidāni punabbhavo'"ti.

 

"Then knowledge and vision arose in me: "Irreversible is my liberation, this is my final birth, there will be no more further existence."

 

그리고 나에게는 ‘나의 해탈은 확고부동하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태어남이며, 이제 더 이상의 다시 태어남은 없다’라는 지견(智見)이 일어났다.

 

 

 

15. 세존의 말씀에 마음이 흡족해진 다섯비구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pañcavaggiyā bhikkhū Bhagavato bhāsitam abhinandunti.

 

This is what the Blessed one said. The group of five monks rejoiced exceedingly in what the Blessed one had said.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다섯 비구는 마음이 흡족해져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16. 꼰단냐 존자에게 법안이 생기고

 

Imasmiñca pana veyyākaranasmim bhaññamāne Āyasmato Kondaññassa virajam vītamalam dhammacakkhum udapādi: Yam kiñci samudayadhammam, sabbam tam nirodhadhamman'ti.

 

When this discourse had been given, the spotless, stainless eye of Dhamma arose in the Venerable Kondañña: "Whatever arises, all that passes away."

 

이 설명이 설해졌을 때 꼰단냐 존자에게 ‘일어난 법은 그 무엇이든 모두 사라지게 되어있다’라는 티 없고 때 묻지 않은 법의 눈[法眼]이 생겼다.

 

 

 

17. 세존께서 법륜을 굴리셨다!

 

Pavattite ca pana Bhagavatā Dhammacakke, Bhumm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When the wheel of the Dhamma had been set rolling by the Blessed one, the earthbound devas declared in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has been set rolling by the Blessed one in the deer park, at the Sage's resort near Benares, and it cannot be turned back by any recluse, brahmin, deva, mara, brahma, or by anyone in the world."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법륜을 굴리시자, 땅의 신들이 한 목소리로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수 없도다.’라고

 

 

 

18, 사대왕천의 신들도 

 

Bhummānam devānam saddam sutvā, Cātumahārājik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earthbound devas, the devas of the Four Great Kings declared in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has been set rolling by the Blessed one in the deer park, at the Sage's resort near Benares, and it cannot be turned back by any recluse, brahmin, deva, mara, brahma, or by anyone in the world."

 

땅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사대왕천의 신들도 한목소리로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 수 없도다.’라고

 

 

 

19. 모두 다 기쁨에 넘쳐

 

Cātumahārājikānam devānam saddam sutvā, Tāvatims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devas of the Four Great Kings, the devas of the Thirty-three declared in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has been set rolling by the Blessed one in the deer park, at the Sage's resort near Benares, and it cannot be turned back by any recluse, brahmin, deva, mara, brahma, or by anyone in the world."

 

사대왕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삼십삼천의 신들이, 야마천의 신들이, 도솔천의 신들이, 화락천의 신들이, 타화자재천의 신들이, 범신천의 신들이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수 없도다.’라고

 

 

 

20. 야마천의 신들도

 

Tāvatimsānam devānam saddamsutvā, Yām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devas of the Thirty-three, the Yāmā devas declared in one voice ...

 

삽십삼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야마천의 신들도 한 목소리로 외첬다

 

 

 

20. 도솔천의 신들도

 

Yāmānam devānam saddamsutvā, Tusit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Yāmā devas, the Tusita devas declared in one voice ...

 

야마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도솔천의 신들도 한 목소리로 외첬다

 

 

 

21. 모든 신들도 한 목소리로

 

Tusitānam devānam saddam sutvā, Nimmānaratī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Tusita devas, the devas who delight in creating declared in one voice ...

 

도솔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기쁨에 넘쳐 한 목소리로 외첬다

 

 

 

22. 그 신들은 또 다른 신들에게 알리고

 

Nimmānaratīnam devānamsaddamsutvā, Paranimmitavasavattī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devas who delight in creating, the devas who delight in creations declared in one voice ...

 

기쁨에 넘쳐 외치는 신들의 소리를 듣고, 그 신들은 또 다른 신들에게 알리고

 

 

 

23. 브라흐마들도 한 목소리로 외치고

 

Paranimmitavasavattīnam devānam saddam sutvā, Brahmakāyikā devā saddamanussāvesum: Etam Bhagavatā Bārānasiyam Isipatane Migadāye anuttaram Dhammacakkam pavattitam appativattiyam samanena vā brāhman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Having heard the devas who delight in creations, the Brahmās declared in one voice ...

 

기쁨에 넘쳐 외치는 신들의 소리를 듣고, 브라흐마들도 한 목소리로 외치고

 

 

 

24. 천지가 요동하고, 한량없는 찬란한 빛이

 

Itiha tena khanena (tena layena) tena muhuttena yāva brahmalokā saddo abbhuggacchi. Ayañca dasasahassilokadhātu sankampi sampakampi sampavedhi, appamāno ca ulāro obhāso loke pāturahosi atikkamma devānam devānubhāvanti.

 

Thus, at that very moment, at that very instant the sound reached up to the brahmā realms, and this ten-thousandfold world system trembled, and heaved, and shook, and an incomparable radiance arose in the world, even surpassing the radiance of all the deities.

 

이처럼 그 찰나, 그 짧은 순간, 그 순간에 범천의 세상에 이르기까지 그 소리는 퍼져나갔다. 그리고 일만세계는 흔들렸고 강하게 요동쳤으며, 한량없는 찬란한 빛이 나타났나니 그것은 천인들의 광채를 능가하였다.

 

 

 

25. 꼰단냐가 완전하게 앎으로서

 

Atha kho Bhagavā imam udānam udānesi: Aññāsi vata bho Kondañño, aññāsi vata bho Kondañño'"ti. Iti hidam Āyasmato Kondaññassa Aññāsikondañño' tveva nāmam ahosīti.

 

Then the Blessed one made this joyful utterance: "Venerable Kondañña has understood. Venerable Kondañña has understood." Thus Venerable Kondañña became known as Kondañña the Wise.'

 

그때 세존께서는 감탄을 하셨다. “참으로 꼰단냐는 완전하게 알았다. 실로 꼰단냐는 완전하게 알았다. 이로 인해 꼰단냐는 안냐시 꼰단냐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초전법륜경(빠알리-영어-한국어).doc

 

 

 

 

 

2010-05-07

진흙속의연꽃

 

 

 

초전법륜경(빠알리-영어-한국어).doc
0.09MB
초전법륜경(빠알리-영어-한국어).doc
0.09MB
초전법륜경(빠알리-영어-한국어).doc
0.0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