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명상음악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 吉祥勝利偈)를 만들고

담마다사 이병욱 2011. 7. 11. 18:13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 吉祥勝利偈)를 만들고

 

 

 

 

노래 부를 때

 

가수들은 무대만 마련해 주면 언제 어디서나 즐겨 노래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노래 부를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인기가수라면 콘서트를 여는데, 최소 10곡이상은 불러야 한다고 한다. 그 중에 자신의 노래도 있지만 타 가수들의 노래도 많이 부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래부를 때 모든 노래의 가사는 외워야 가능할 것이다.

 

누구나 노래 몇 곡쯤은 부를 줄 안다. 그 때 그 때 기분과 감정에 따라  흥얼거리기도 하고, 멋지게 한 곡 뽑을 때도 있다. 이 모두가 가사를 외웠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한 번 외워 놓으면 참으로 편리하다. 경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경전외우기를 하면

 

신심있는 불자들은 천수경 정도는 외운다. 그래서 틈만 나면 노래하듯이 암송하는 불자들도 있다. 하지만 평생  절에 다녀도 천수경은 커녕 반야심경조차 외지 못하는 불자들도 있다. 그래서  법회가 열리면 책을 열어 보는 불자들도 있다.  하지만 책을 볼 때 뿐이다. 책을 덮고 나면 내용은 생각나지 않는다. 만일 경전을 외웠다면 책을 열어 볼 필요가 없을 것이다. 언제든지 머리속에서 꺼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듣는 것과 외우는 것은 천지차이이다. 외운다는 것은 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문장자체를 통째로 외운다는 것 자체가 정진이고, 고도로 정신을 집중해야하고, 외운 것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하여 기억해야한다.   외우고 나면 기쁨과 환희와 행복을 느끼는데, 이는 다름아닌 선정수행과 같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정 수행의 효과에 대하여 한자어로 심사희락정이라고 표현 한다. 이는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생각(, vitaka)과 지속적 고찰(, vicāra)과 희열(, pīty)과 행복(, sukha)  평온(, upekkhā)을 맛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 선정수행의 이득은 마음을 한 가지 선택된 대상에 고착함으로써 모든 정신적인 혼란이 제거 될 수 있어서 오장애가 극복 될 수 있다고 한다. 오장애는 감각적 욕망(kāmāchanda), 악의(vyāpāda), 해태와 혼침(thīna-middha), ④ 들뜸과 후회(uddhacca-kukucca), ⑤ 회의적 의심(vicikichā)을 말한다.

 

따라서 경전외우기를 하면 기쁨과 환희와 행복과 평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탐욕이나 성냄등과 같은 마음의 장애도 극복 할 수 있기 때문에 훌륭한 수행이라 생각된다.

 

뗏목의 비유처럼

 

자야망갈라가타((Jayamagala Gāthā, 吉祥勝利偈, 행운과 승리의 노래)를 외우기로 하였다. 이미 오래전 부터 노래를 통하여 잘 알고 있는 게송이지만 항상 들을 때 뿐이고, 또 읽을 때 뿐이었다. 하지만 외우고 나면 언제든지 꺼내 볼 수 있기 때문에 내 것이라 볼 수 있다. 하나의 소유물처럼 되는 것이다.

 

내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 게송의 내용을 종이에 프린트하는 것이다. 그것도 하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곧곧에 비치해 놓아야 한다.

 

프린트물은 일종의 뗏목과도 같다. 강을 건너기 위해서 뗏목이 필요하듯 외우기 위해서는 프린트물과 같은 도구가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외우고 나면 프린트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마치 강을 건너고 나면 뗏목을 지고 다니지 않듯이 프린트물은 더 이상 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대신 머리속에 외운 내용이 남아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들여다 보면 그만이다.

 

지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혜를 얻기 까지 경전이라는 뗏목이 필요하지만 지혜를 알고 나면 경전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이치와 같지 않을까.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를 만들고

 

자야말갈라가타를 외우기 위해서 보관하고 있던 빠알리문구를 열어 보았다. 하지만 외우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단어가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어디에서 끊어 읽어야 할 지 난감하였다. 그래서 검색을 통하여 독송용 동영상을 확보하게 되었다.

 

 

 

 

 

 

챈팅용 자야망갈라가타

 

 

 

동영상에 표시 되어 있는 띄어쓰기를 참조하여 외우기 편리하도록 조치하였다. 장음 처리는 바~( Bāhu) 처럼 “~”기호를 사용하였고, sahassamabhinimmita의 경우 sahassam-abhinimmita로 구분하여 사핫삼  아비님미따로 하였다. 또 단어와 단어 사이는 슬레시(/)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이렇게 하여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를 완성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야망갈라가타

(Jayamagala Gāthā, 吉祥勝利偈, 행운과 승리의 노래)

 

1. 마라(Mara)

Bāhu/ sahassam-abhinimmita-sāyudhanta        ~/사핫삼  아비님미따  ~유단땅

Girimekhala/ udita-ghora-sasena-māra            기리메카랑/ 우디따  고라  사세나 마~

Dānādi-dhamma-vidhinā/ jitavā /munindo              ~~ 담마  위디나~/ 지따와~ /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악마가 수천의 무기들을 가지고

기리메칼라라고 불리는 무서운 코끼리 위에 타고,

군대를 동원하였을 때,

성자들의 제왕 자비로운 가르침으로 섭수하셨네.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2. 알라와까(Alavaka)

Mārātirekam-abhiyujjhita-sabbaratti                    ~~띠레깜  아비윳지따  삽바랏띵

Ghorampan’ālavaka-makkham-athaddha-yakkha 고람빤 알라와까   막캄  아탓다  약캉

Khantī-sudanta-vidhinā/ jitavā /munindo                칸띠~  수단따  위디나~/ 지따와~/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악마보다 더욱 흉폭해서 참을 수없이 완고한
야차 알라바까 밤낮으로 싸움걸어 올 때,
성자들의 제왕 인내와 자제로 섭수하셨네
.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3. 날라기리(Nalagiri)

Nālāgiri/ gaja-vara/ atimattabhūta                   나알라~기링/ 가자  와랑/ 아띠맛따부~

Dāvaggi-cakkam-asanīva/ sudāruanta               ~왁기  짝깜  아사니~/ 수다~루난땅

Mettambuseka-vidhinā/ jitavā /munindo                 멧땀부세까  위디나/ 지따와~ / 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코끼리 날라기리가 미친 나머지
산불처럼 번개처럼 달려들 때,
성자들의 제왕 자비의 세례로써 섭수하셨네
.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4. 앙굴리말라(Angulimala)

Ukkhitta-khaggam-atihattha/ sudāruanta           욱킷따  칵감  아띠핫타 / 수다~루난땅

Dhāvan-ti- yojana-pathaguli-mālavanta            ~완띠  요자나  빠탕굴리  -라완땅

Iddhībhi-sakhata-mano/ jitavā / munindo            이디비  상카따  마노/ 지따와~ /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살인자 앙굴리말라 손에 칼을 들고
흉포하게 덤비면서 달려들 때,
성자들의 제왕 마음에 갖춘 신통력으로 섭수하셨네
.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5. 찐짜 마나위까(Cinca Manavika)

Katvāna/ kaṭṭham-udara / iva /gabbhiniyā           깟와~/  깟탐  우다랑/ 이와 /갑비니야~

Ciñcāya/ duṭṭha-vacana/ jana-kāya-majjhe         찐짜~/ 둣타  와짜낭 / 자나  ~ 맛제

Santena/ soma-vidhinā/ jitavā/ munindo                산떼나/ 소마  위디나~/지따와~/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여인 찐짜가 자신의 배에 통나무 넣고
임신했다고 사람들 앞에서 모욕했을 때,
성자의 제왕 고요함과 부드러움으로 섭수하셨네
.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6. 삿짜까(Saccaka)

Sacca /vihāya / mati-saccaka-vāda-ketu          삿짱/ 위하~/ 마띠  삿짜까  ~  께뚱

Vādābhiropita-mana /ati-andhabhūta                ~~비로삐따  마낭/ 아띠  안다부~

Paññā-padīpa-jalito/ jitavā munindo                      빤냐~  빠디~ 잘리또/ 지따와~/ 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삿짜까가 진리를 버리고 진리에서 벗어난
논쟁에 맹목적으로 뛰어들었을 때,
성자들의 제왕 지혜의 불 밝혀 섭수하셨네.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7. 난도빠난다(Nandopananda)

Nandopananda-bhujaga /vibudha /mahiddhi   난도빠난다  부자강/ 위부당/ 마힛딩

Puttena/ thera-bhujagena / damāpayanto              뿟떼나/ 테라  부자게나/ 다마~빠얀또

Iddhūpadesa-vidhinā / jitavā / munindo                 이두~빠데사  위디나~/ 지따와~/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간교하고 영험한 난도빠난다 용
뱀으로 변화시켜 제자인 장로 길들이듯,
성자들의 제왕 신통력 보이시어 섭수하셨네.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8. 브라흐마 바까(Brahma Baka)

Duggāha-diṭṭhi-bhujagena/ sudaṭṭha-hattha        둑가~  딧티  부자게나/ 수닷타  핫탕

Brahma / visuddhi-jutim-iddhi-bakābhidhāna      브라흐망/ 위숫디  주띰  이디  바까~비다~

Ñāāgadena / vidhinā jitavā munindo                       ~~가데나/ 위디나~/ 지따와~/무닌도

Ta-tejasā/ bhavatu  /te  /jaya-magalāni                떼자사~/ 바와뚜/ / 자야  망갈라~

 

청정하고 빛나고 위력 있는 범천 바까가
삿된 생각의 뱀에 손 물렸을 때,
성자들의 제왕 지혜의 의약으로 섭수하셨네
.
이 위대한 힘으로 승리의 행운이 제게 임하길 바라옵니다.

 

9. 붓다( Buddha)

Etāpi/ Buddha-jaya-magala-aṭṭha-gāthā             에따-/ 붓다  자야  망갈라  앗타  ~~

Yo/ vācako / dinadine/ sarate/ matandi                 / ~짜꼬/ 디나디네/ 사라떼/ 마딴디-

Hitvān a neka-vividhāni cupaddavāni                      히뜨와~안 아네까  위위다~/ 쭈빳다와~

Mokkhaṃ/ sukhaṃ/ adhigameyya/ naro /sapañño  목캉/ 수캉/ 아디가메이야/ 나로/ 사빤뇨

 

이 부처님의 승리의 행운을 나타내는
여덟 게송을 매일매일 게으름 없이 독송하면
하나 아닌 수많은 불행을 극복하고
슬기로운 자 해탈과 지복 얻을 것이 옵니다.

 

 

전재성박사 번역

 

2011-07-11

진흙속의연꽃 편집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doc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pdf

 

 

 

 

 

 

자야망갈라가타는 어떤 의미일까

 

불교도에게 있어서 자야망갈라가타는 어떤 의미일까. 블로그 활동을 하면서 자야망갈라가타에 대하여 알게 되었다. 그런데  테라와다 전통의 불교국가에서는 매우 중요시되는 게송임을 알았다.

 

이 게송을 경전에서 보지 못하였지만 테라와다불교전통에서 오래전 부터 구전되어온 것으로 보인다. 부처님의 승리에 관한 것으로서 모두 여덟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런 부처님의 위대한 승리의 힘이 내게도 작용하여 행운이 임하길 바라는 내용이다.

 

공적으로 사용되는 자야망갈라가타

 

그래서일까 이 게송은 공적 또는 사적인 불교의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유튜브 동영상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그 중의 하나가 아래의 동영상인데, 불교의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의식용으로서의 자야망갈라가타

 

 

자야망갈라가타는 수호경

 

이 자야망갈라가타는 수호경(Protective sutta)’이라 볼 수 있다. 또 동시에 예불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라따나경(보배경)이나 멧따경(자애경), 망갈라경(행복경)과 같이 쿳다까빠타(Kuddakapatha, 小誦經 )에는 들어가 있지는 않지만,  어느 면에 있어서는 더 많이 독송되는 것 같다.

 

자야망갈라가타는 공적 또는 사적인 행사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스리랑카의 경우 독립기념일 행사장에서 스리랑카의 소녀들이 부르는 것을 보았고,  또 스리랑카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신부를 위한 축가로서도 불리워 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혼식의 축가로 사용되는 자야망갈라가타

 

결혼식의 축가로 사용되고  있는 예는 아래와 같다.

 

 

 

 

 

결혼식 축가로서의 자야망갈라가타

 

 

수 많은 버전이 있는데

 

이런 자야망갈라가타는 수  많은 버전이 만들어 졌는데, 중국계 말레이시아 불자가수인 이미우이(Imee Ooi, 黃慧音)버전이 가장 유명하다. 이에 대하여 여러차례 블로그에 올린 바 있다. 또 스리랑카의 경우 국민가수라 불리우는 난다 말리니(Nanda Malini)’와 챈팅가인 위사라드 스리마 라트나야까 (Visarad Srima Ratnayaka)의 버전도 인터넷상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외 미얀마 버전도 있는데, 미얀마 버전의 경우 이미우이의 음악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보여진다.

 

남녀혼성의 자야망갈라가타음악을 발견하고

 

글을 쓰기 위하여 검색하는 과정에서 최근 미얀마 버전 것으로 보이는 매우 아름다운 자야망갈라가타 음악을 발견하였다. 비록 이미우이음악을 리메이크한 것처럼 보여 지지만 이제까지 듣던 것과 달리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홉 개의 게송에 대하여 남녀가 번갈아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번 게송은 남성이 부르고, 2번에서 4번까지는 여성이 부르고, 5번 게송은 다시 남성이, 6번은 여성이, 7번은 남성, 8번은 여성이 부르다가 마지막 9번 게송은 남녀가 듀엣으로 부르고 있다.

 

 

 

남녀혼창의 자야망갈라가타

 

 

 

 

2011-07-11

진흙속의연꽃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pdf
0.06MB
독송용 자야망갈라가타(Jayamangala Gatha).doc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