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마음은 늙지 않는다, 바왕가와 거듭 태어남

담마다사 이병욱 2013. 7. 1. 13:39

 

마음은 늙지 않는다, 바왕가와 거듭 태어남

 

 

 

거울보기가 싫은 노인

 

어느 원로가수를 TV에서 보았다.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형편없이 늙어 버린 모습이 안쓰러워 보였다. 한 때 노란샤쓰입은 사나이를 부르며 인기절정에 있었던 그 원로 가수는 거울보기가 싫다고 하였다. 거울을 마주하면 주름지고 말라 비틀어진 자신의 얼굴이 보기 싫다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한 때 잘 나가던 유명배우나 가수들이 나이가 들면 종적을 감추는 것 같다. 나이 든 모습을 세상에 보여주기 싫어서일 것이다. 그래서 빛나던 시절의 얼굴만을 세상사람들이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누구나 늙는다. 부처님도 늙어 갔다. 어느 날 부처님이 홀로 고요히 명상하다가 저녁 무렵에 서쪽의 양지에 등을 앉아 등을 따뜻하게 하고 계셨다. 그런 모습을 본 아난다가 안쓰러워 하자 부처님은 시각능력 등 다섯가지 감각능력의 변화 조짐이 보인다고 말씀 하시고서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으셨다.

 

 

[세존]

부끄러워할지어다. 가련한 늙음이여!

추악한 모습을 드러내는 늙음이여

잠시 즐겁게 해주는 사람의 영상

늙어감에 따라 산산이 부서지네.

 

백 세를 살더라도 결국

죽음을 궁극적으로 할 뿐

누구도 예외로 하지 않고

그것은 모든 것을 부수어 버리네.(S48:41)

 

 

92세의 거울공주

 

늙어지면 거울보기가 싫어 지는 것일까? 반드시 그렇다고 볼 수 없다. 최근 EBS다큐프로에서 본 92세의 노인은 거울보기를 즐겨하였기 때문이다. 방안 이곳 저곳에 거울이 있어서 틈만 나면 쳐다 보는데, 그 때마다 하는 말이 참 잘생겼네” “아직도 예쁘네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틈만 나면 거울을 보며 자신의 미모를 확인 하는 92세의 할머니에게 다큐프로에서는 거울공주라는 별칭을 붙여 주었다.

 

 

 

 

 

 

Mirror

 

 

 

거울보기를 싫어 하는 원로가수는 70대이지만 나이 보다 훨씬 더 늙어 보이고 거동도 편치 않다. 그러나 거울공주라는 별멸을 가진 92세 할머니는 나이 보다 20년은 젊어 보이고 매우 건강해 보인다. 왜 이런 차이가 있는 것일까?

 

마음은 늙지 않는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한다. 그래서 법구경에서도 정신이 사실들의 선구이고(Manopubbangmā dhamma, Dhp1)”이라고 하였다. 정신(Mano, 의식, )이 일어나지 않으면 정신적 사실들, 즉 느낌, 지각, 형성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행위의 원인이 정신이므로 정신적 사실들(심소)의 선구라 하였다. 그런데 정신적 사실들(心所)이 일어나지 않아도 정신()은 깨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정신, 마음은 늙지 않는다.

 

사람들은 육체적으로 나이를 먹었어도 마음만은 항상 젊다고 말한다. 그래서 마음은 항상 빛나던 시절을 향한다. 꽃다운 나이, 잘나가던 시절에 마음이 가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실을 좀처럼 인정하고 싶지 않다. 마음은 젊은데 형편 없이 늙어버린 얼굴이 싫은 것이다. 그래서 거울보기가 싫다고 하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마음은 늙지 않는 다는 사실이다.

 

한 존재의 영속성을 유지시켜 주는 마음

 

마음은 육체와 달리 늙지도 병들지도 않는다. 육체는 죽어 남은 것이 없을지라도 마음만은 지속된다. 그런 지속되는 마음을 바왕가의 마음(bhavaga citta)이라 한다. 그런 마음이 일어나는 최초의 마음을  재생연결식, 또는 결생식이라 한다. 십이연기에서의 식을 말한다. 삶의 전개과정에서 일어나는 과보의 마음이다. 이런 식(마음)을 조건으로 정신과 물질, 여섯감각장소, 감각접촉, 느낌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재생연결식은 한 존재의 일생에 걸쳐서 잠재적으로 흐르는 마음, 바왕가의 마음(bhavaga citta)이고, 그런 바왕가의 마음은 임종시 까지 지속 된다.

 

아비담마 이론에 따르면 바왕가의 마음은 한 존재의 영속성을 유지시켜 주는 마음이다. , 존재를 지속시켜 주는 마음이다. 이를 중국에서는 유분으로 옮겼고, 영어권에서는 the factor of being, sub-consciousness, life-continuum 등으로 옮기고 있다. 우리의 인식과정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미세하고 알시 어려운 마음으로, 우리가 잠을 자고 있을 때나 기절했을 때에도 지속되는 마음을 말한다. 서양 심리학의 용어로는 '잠재의식'이라 한다.

 

이처럼 유분심, 잠재의식 등으로 불리우는 바왕가의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늙지도 않고 병들지도 않는다. 그런 마음도 죽을 때가 있다. 임종을 맞이 하였을 때 한 존재의 정체성을 유지해준 바왕가의 마음도 따라 죽는다. 그리고 새로운 바왕가의 마음이 일어난다. 이것이 재생연결식이다.

 

빛나는 마음과 오염된 마음

 

새로운 바왕가의 마음이 일어나면 새로운 존재의 일생이 시작된다. 생긴모습, 성향이 일생 가는 것이다. 그래서 바왕가의 마음은 한 존재의 일생에 걸친 마음이어서 결코 늙지도 않고 병들지도 않는다. 다만 오염될 뿐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Pabhassaramida bhikkhave citta,

tañca kho āgantukehi upakkilesehi upakkiliṭṭhanti.

 

[세존]

수행승들이여, 이 마음은 빛나는 것이다.

그 마음이 다가오는 번뇌로 오염된다.(A1:49)

 

 

여기서 빛나는 마음이란 바왕가의 마음을 말한다. 재생연결의 마음에서부터 죽음의 마음에 이르기 까지 한 존재를 지속시켜 주는 마음을 말한다. 그런 마음은 결코 늙지도 않고 병들지 않는다. 다만 번뇌로 오염될 뿐이라 하였다.

 

불성과 어떻게 다른가

 

이와 같은 빛나는 마음, 바왕가의 마음은 선불교에서 말하는 불성과 다른 것이다. 불성은 누구에게나 똑 같은 부처의 마음을 말한다. 그래서 너도 나도, 강아지도 어떤 변치 않는 부처가 될 성품, 불성이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빛나는 마음이란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들어 있다고 보는 불성이 아니라, 한 존재의 연속성을 유지해 주는 마음을 말한다. 그런 바왕가의 마음은 누구에게나 개별적으로 있다. 그래서 사람과 개가 다르고, 사람 또한 얼굴이 다르고 성향이 다른 것이다.

 

이처럼 한 존재의 일생을 연속하게 하는 마음이 바왕가의 마음이다. 그런 마음은 태어나자 마자 아기이었을 때나 늙고 병들어 죽음에 임박해 있을 때나 똑 같은 마음이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면 오염에 있다. 아이 이었을 때 바왕가의 마음이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얼마나 많이 오염되었는지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일생을 지배하는 바왕가의 마음 그 자체는 변함이 없다.

 

사춘기 이전의 마음은

 

사람들은 때로 순진하였던 어린 시절을 그리워 한다. “진달래 먹고 물장구 치던그런 시절이다. 순수하고 때묻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던 그런 시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춘기 이전의 시절이다.

 

그러나 사춘기를 맞이 하면서 마음은 오염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한 번 오염되면 걷잡을 수 없고 다시는 되돌아 가지 못한다. 그래서 나이가 듦에 따라 생존경쟁을 함에 따라 오염될대로 오염된다. 살생하고, 도둑질하고, 거짓말하고, 음행을 밥먹듯이 한다.

 

깨끗함과 더러움은 각자가 짓는 것

 

그래서 법구경에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Attanā hi kata pāpa           앗따나 히 까땅 빠빵

attanā sakilissati             앗따나 상낄리삿띠

attanā akata pāpa             앗따나 아까땅 빠빵

attanāva visujjhati              아따나와 위숫자띠

suddhī asuddhi paccattar       숫디 아숫디 빳짯땅

nāñño añña visodhaye.          냔노 안냥 위소다예.

 

자기가 실로 악을 행하고

자기가 오염된다.

자기가 악을 행하지 않고

자기가 청정해진다.

깨끗함과 더러움은 각자가 짓는 것,

누가 누구를 정화시킬 것인가.(Dhp 165)

 

 

자기가 실로 악을 행하고 자기가 오염된다. (Attanā hi kata pāpa attanā sakilissati)”라고 하였다. 이 말은 악하고 불건전한 행위를 하는 자는 바로 자신의 행위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말한다. 그 결과 수라, 축생, 아귀, 지옥의 네 가지 비참한 곳에 태어나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 한다.

 

자기가 악을 행하지 않고 자기가 청정해진다. (attanā akata pāpa attanāva visujjhati)”라고 하였다. 이 말은 악하고 불건전한 행위를 하지 않는 자는 바로 그 자신의 행위에 의해서 청정해지는 것을 말한다. 그런 행위는  지복의 상태인 열반으로 이끌 것이라 한다.

 

깨끗함과 더러움은 각자가 짓는 것 (suddhī asuddhi paccattar)이라 하였다. 이는 착하고 건전한 행위에 상당하는 깨끗함과 악하고 불건전한 행위에 상당하는 더러움은 행위자의 바로 그 동일한 자신안에서 성장함을 말한다.

 

자신의 마음먹기에 따라 마음이 깨끗해질 수도 있고 더러워질 수도 있다. 그래서 누가 누구를 정화시킬 것인가 (nāñño añña visodhaye)”라 하였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정화시킬 수 없다는 말이다. 오로지 자신만이 마음을 청정하게 있다는 말이다.

 

마음이 오염되므로 뭇삶이 오염되고

 

마음의 오염과 관련된 법구경 165번 게송과 유사한 이야기가 상윳따니까에도 있다. ‘가죽끈에 묶임의 경(S22:100)’에 다음과 같은 부처님의 말씀이 있다.

 

Cittasakilesā bhikkhave, sattā sakilissanti.

Cittavodānā sattā visujjhanti.

 

[세존]

 

수행승들이여,

마음이 오염되므로 뭇삶이 오염되고

마음이 청정해지는 까닭에 뭇삶이 청정해진다. (S22:100)

 

(Dutiya gaddulabaddha sutta-가죽끈에 묶임의 경, 상윳따니까야 S22:100, 전재성님역)

 

 

내용을 보면 법구경 165번 게송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마음이 오염되면 삶도 오염된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마음이 오염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일까?

 

경에서는 오랜 세월동안 이 마음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물들어 왔다.( digharattamida citta sakiliṭṭha rāgena dosena mohenā, S22:100)”라고 하였다. 그래서 마음이 오염된 것은 탐진치때문이라 한다. 그것도 아주 오랜세월 동안, 즉 세세생생 윤회하면서 마음이 오염되어 온 것이라 한다.

 

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

 

마음의 오염과 관련하여 천수경이 생각난다. 천수경 참회게에서 아석소조제악업(我昔所造諸惡業) 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 종신구의지소생(從身口意之所生)” 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라는 문구가  경에서 표현된 “digharattamida citta sakiliṭṭha rāgena dosena mohenā (오랜 세월동안 이 마음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물들어 왔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로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은 상윳따니까야가 원조임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존재의 생성을 유발시키는 업력(業力)

 

천진불 같은 순수한 어렸을 적 마음은 사춘기가 지나면서 서서히 오염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갖은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데 그런 오염의 과정에 대하여 부처님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세존]

수행승들이여, 예를 들어 염색공이나 화가가 물감이나 도료나 삼황이나 쪽이나 꼭두서니를 사용해서 잘 연마된 판이나 벽이나 천에 남녀의 모습을 그 팔다리와 함께 그려낸다.

 

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이 배우지 못한 일반사람들은 물질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하고, 느낌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하고, 지각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하고, 형성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하고, 의식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한다.

 

(Dutiya gaddulabaddha sutta-가죽끈에 묶임의 경, 상윳따니까야 S22:100, 전재성님역)

 

 

부처님은 화가의 예를 들어 마음의 오염을 설명하였다. 마치 화가가 하얀 캔버스를 채워 나가듯이 범부들은 물질, 느낌, 지각, 형성, 의식을 반복해서 생겨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무엇을 말할까? 오온에 대하여 나의 것, 나의 마음이라고 집착함으로 인하여 새로운 탄생을 가져와 세세생생윤회함을 말한다. 그래서 화가가 그림을 그리듯 업력은 세상에 다양한 존재의 생성을 유발시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존재는 다양한가?

 

왜 존재는 다양한가?

 

존재의 다양성에 대하여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수행승들이여, 나는 축생계의 생물들처럼 그렇게 다양한 어떠한 다른 종류의 다른 생물도 보지 못했다. 수행승들이여, 그 축생계의 생물들조차 마음에 의해서 다양해 진 것이다. 수행승들이여, 그렇지만 그 마음은 축생계의 생물들보다 다양한 것이다.

 

(Dutiya gaddulabaddha sutta-가죽끈에 묶임의 경, 상윳따니까야 S22:100, 전재성님역)

 

 

경에서 “마음은 축생계의 생물들보다 다양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에 대한 각주를 보면 다음과 같다.

 

 

Srp.II. 327에 따르면, 그들은 업의 마음(業識, kammacitta)에 의해서 다양하다. 그러나 업의 마음을 쌓은 존재가 메추리나 자고새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싶다고 노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업의 탄생으로 그를 안내한다.

 

탄생의 뿌리에 놓인 것은 마음의 상태(cittabhava)이다. 탄생에 도달한 존재는 탄생과 동일한 마음을 갖기 때문이다. 마음의 상태는 탄생에서 성취된다. 모태는 업의 성취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와 동시에 생겨난 토대, 감관의 문, 정신적 대상의 다양성을 통해 생겨난 것이다. 업의 다양성과 생성 때문에 마음을 축생계의 생물의 다양성 보다 더 다양한 것이라고 알 수 있다.

 

(각주, 전재성박사)

 

 

재생연결식에 대한 설명이라 볼 수 있다. 재생의 마음이 일어나면 한 존재의 일생에 대한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생긴 모습과 성향이 모두 다른 이유이다. 그래서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사람으로서 일생을 보낸다. 메추리로 태어났으면 메추리로 일생을 보내지 도중에 다른 것으로 바뀌지 않음을 말한다.

 

이처럼 일생동안 유지되는 마음이 바왕가의 마음이라 하고, 그 마음은 재생연결의 마음(재생연결식)과 임종시 죽음의 마음(사몰심)과 동일한 마음이다.

 

오히려 업의 탄생으로 그를 안내한다

 

일생동안 이어지는 것이 바왕가의 마음이다. 그런데 이런 마음의 흐름 중에 탐진치에 따른 번뇌가 일어나 바왕가의 마음이 오염된다. 오염된 마음이 업력으로 작용하여 다음 생을 결정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각주에 따르면 오히려 업의 탄생으로 그를 안내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업이 이끌어 감을 말한다.

 

마음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존재는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경에서 그 축생계의 생물들조차 마음에 의해서 다양해 진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바왕가의 마음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 메추리가 있지만 수 많은 메추리 중의 하나이다. 마치 사람의 생긴모습과 성향이 모두 다른 것은 일생을 지배하는 바왕가의 마음이 다르듯이 메추리나 자고새도 다를 것이라는 말이다. 하나의 자고새에는 그  자고새에  해당되는 바왕가의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개 역시 마찬가지이다, 수 많은 종이 있지만 개별적인 개에게 있어서 바왕가의 마음은 하나이다.

 

이는 오로지 하나의 불성으로 설명하는 선불교와 다른 것이다. 수 많은 종에서 그 종에 속한 개별적 존재는 각각 독특한 바왕가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 마음은 죽기전까지 계속 유지된다. 죽어야 바왕가의 마음이 바뀌는 것이다.

 

어떻게 해야 마음을 청정하게 할 수 있을까?

 

악행을 행한자는 비록 지금 사람의 몸을 하고 있을지라도 죽으면 어떤 몸과 마음이 될지 모른다. 축생이 될 수도 있고 아귀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한 존재가 행복한가 고통스러운가는 마치 한폭의 그림이 화가의 위대하거나 저열한 재능에 의존하듯이 업의 성격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유행화(流行畵)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세존]

“수행승들이여, ‘유행화’라는 그림의 그 다양성은 마음에서 생겨난 것이다. 수행승들이여, 마음은 그 걸작보다도 다양한 것이다.

 

수행승들이여, 그러므로 그대들은 반복해서 자신의 마음을 이와 같이 ‘오랜 세월동안 이 마음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물들어 왔다.’라고 관찰해야 한다. 수행승들이여, 마음이 오염되므로 뭇삶이 오염되고 마음이 청정해지는 까닭에 뭇삶이 청정해진다.

 

(Dutiya gaddulabaddha sutta-가죽끈에 묶임의 경, 상윳따니까야 S22:100, 전재성님역)

 

 

부처님은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탐진치로 인하여 세세생생 오염된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어떻게 마음을 청정하게 해야 할까?

 

각주에 따르면 마음을 청정하게 하려면 새김의 토대라는 길(satipatthanamagga)’을 닦아야 한다.(Pps.I.232)”라고 되어 있다. 사념처 수행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경에 따르면 오랜 세월동안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물든 마음을 관찰할 것을 말하고 있다. 이 관찰이 사념처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관찰해야 할까? 경에서는 문답식으로 문답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수행승들이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물질은 영원한가 무상한가?” 로 시작되는 정형구를 말한다.

 

천진불보다 지혜의 노인

 

동자승이 있다. 해마다 초파일이 되면 신문에는 동자승에 대한 기사가 난다. 왜 동자승을 선발하는 것일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어린아이의 순수성이다. 그래서 천진불이라고 한다. 천진불이라는 말이 원래 법신불을 뜻하는 것으로 천연의 진리, 우주의 본체라는 뜻이지만, 순진무구한 아이와 같은 상태를 말한다.

 

이산 혜원선사의 발원문에서 아이로서 출가하여 귀와 눈이 총명하고, 말과 뜻이 진실하며 세상 일에 물 안들고라는 말이 있다. 동진출가하는 것이 세상일에 오염되지 않아 그 순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절에 자란 동자승은 사춘기가 지나면 대부분 나가 버린다고 한다. 그래서 절에 남아 있는 경우는 극히 드믈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동자승과 같은 천진불이 되기를 바라는 것은 하나의 이상이라 본다.

 

우리나라 스님들이 나이가 들어 노승이 되면 마치 천진불같다고 하는데, 이는 동자승의 잠재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감각적 욕망의 잠재성향, 존재에 대한 욕망의 잠재성향, 분노의 잠재성향, 자만의 잠재성향, 무명의 잠재성향이 있기 때문이다.

 

잠재성향은 적당한 조건들을 만나면 표면에 드러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절에 자란 아이들이 절에 남지 않는 이유라 본다. 그런 면으로 본다면 노스님을 천진불에 비유하고 아이의 마음처럼 순수한 마음이 되고자 바라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나이가 들어 아이와 같은 천진불이 되려 할 것이 아니라 지혜로운 노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이가 듦에 따라 늙게 되었을 때 어린아이 시절의 순수한 마음을 그리워 할 것이 아니라 지혜로운 노인이 되어야 한다. 순수한 아이와 같은 마음을 가진 노인보다 지혜의 노인이 더 좋아 보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개과천선(改過遷善)하였다 해도

오랜만에 사람을 만났을 때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다.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얼굴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쭈굴쭈굴 해졌을지라도 본래 가지고 있는 성향은 조금도 바뀐 것이 없음을 말한다. 그래서 탐욕스런 사람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욕심부리고, 화내기 좋아 하는 사람은 사소한 일에도 성질부린다.

 

사람들은 육체적으로 나이를 먹지만, 정신적으로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거울보기를 싫어 하는 70대의 원로가수나 92세의 거울공주가 대표적 예라 볼 수 있다. 몸은 늙었어도 마음만큼은 청춘인 것이다.

 

마음은 나이도 먹지 않고 병도 걸리지 않는다. 그런 마음 본바탕은 어렸을 적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이처럼 일생에 걸쳐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시켜 주는 마음을 바왕가의 마음이라 한다. 그래서 아무리 개과천선(改過遷善)하였다고 할지라도 근본바탕은 변하지 않는다.

 

죽음을 체험한 자들은

 

사람 얼굴 다르듯이 마음 역시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사람마다 나름대로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 세상에 나와 똑 같은 사람이 한사람도 없는 것이다. 그런 마음이 바왕가의 마음이다. 그러나 죽음과 함께 바왕가의 마음 또한 변한다. 새로 태어남에 따라 얼굴 다르듯이 성향 또한 다르게 태어난다. 이는 전생의 과보에 따른다. 그렇다면 한 번 형성된 성향, 즉 바왕가의 마음은 변할 수 없는 것일까?

 

부처님 가르침에 따르면 바왕가의 마음은 변할 수 있다. 비록 죽지 않아도 변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죽었다가 깨어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죽었다 깨어난 사람이 있다. 죽음일보직전에 가 보았거나 죽음을 경험한 자들을 말한다. 이처럼 죽음체험을 하면 사람이 변한다고 한다. 이제까지 가지고 있던 사고방식이 한 순간에 무너지고 새로운 체험을 하기 때문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불교에서도 새롭게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앙굴리말라가 대표적이다.

 

거듭 태어난 앙굴리말라

 

연쇄살인자 앙굴리말라는 수 많은 사람을 살해하였다. 그러나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번뇌다한 아라한이 됨으로서 더 이상 번뇌는 일어 나지 않게 되었다. 비록 과거에 악행을 하였지만 번뇌 다한 아라한에게 있어서 그것은 이미 지나간 일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부처님이 “내가 태어난 이래 나는 의도적으로 뭇 삶의 생명을 빼앗은 적이 없습니다(M86)”라고 만삭의 임신부에게 말을 하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이렇게 말을 하라고 하자 앙굴리말라는 “세존이시여, 저는 의도적으로 뭇 삶의 생명을 빼앗았는데, 저보고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라는 말입니까? (M86)”라고 깜짝 놀라듯이 말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가 태어난 이래”라는 말이다. 이말은 무슨 뜻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거듭태어남’이다. 비록 앙굴리말라의 겉모습이 살인을 저질렀을 때 그 모습과 똑같다고 할지라도, 앙굴리말라는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서 성자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중생에서 성자로 계보가 바뀐 것이다.

 

번뇌다한 아라한이 되었다면 이전의 앙굴리말라라고 볼 수 없다. 범부가 성자로 거듭 태어났기 때문에, 마치 사람이 죽어서 다시 태어난 것 처럼 다시태어난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앙굴리말라에게 자매여, 내가 고귀한 태어남으로 거듭난 이래 나는 의도적으로 뭇 삶의 생명을 빼앗은 적이 없습니다. 이러한 진실로 당신이 잘되고 당신의 아이가 잘되길 바랍니다. (M86)”라고 말하라 한 것이다.

 

죽었다가 깨어나야

 

앙굴리말라는 흉악한 연쇄살인자이었지만 죽었다 깨어나듯이수행을 통하여 거듭 태어났다. 열반체험을 한 것이다. 열반체험도 일종의 죽었다 깨어난 것과 같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앙굴리말라가 비록 얼굴형태는 살인자시절의 그 모습일지라도 성향은 완전히 바뀌어서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변해 버린 것이다. 마치 죽어야 바왕가의 마음이 바뀌듯이 열반을 체험함으로서 새롭게 태어난 것과 같게 된 것이다.  

 

이처럼 지금 이 몸과 성향을 가지고 있어도 거듭 태어날 수 있음을 말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껍질을 깨는 아픔이 있어야 한다. 마치 병아리가 껍질을 깨고 나오듯이 자아(自我)’라는 두꺼운 껍질을 가진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그래서 이몸과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거듭 태어 날 수 있는 길을 부처님이 제시한 것이다. 그런 마음은 늙지 않는다. 다만 오염될 뿐이다.

 

 

  

2013-07-01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