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속의연꽃

보살승인가 비구승인가? 중층 무지의 한국불교

담마다사 이병욱 2013. 8. 16. 16:57

 

보살승인가 비구승인가중층 무지의 한국불교

 

 

 

십악참회

 

불자들이 늘 수지독송하는 경전이 천수경이다. 천수경의 핵심은 신묘장구대다라니이다. 이 다라니를 전후로 게송과 진언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훈적인 내용도 많이 실려 있다. 그 중에 십악참회가 있다.

 

신심있는 불자라면 누구나 외우고 있는 것이 천수경이다. 그래서 입에 달고 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십악참회 역시 그렇다. 열가지 악행을 한 것에 대하여 지금 참회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열 가지 악업을 참회함)

 

 1.
살생중죄금일참회(殺生重罪今日懺悔)

살생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2.
투도중죄금일참회(偸盜重罪今日懺悔)

도둑질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3.
사음중죄금일참회(邪淫重罪今日懺悔)

사음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4.
망어중죄금일참회(妄語重罪今日懺悔)

거짓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5.
기어중죄금일참회(綺語重罪今日懺悔)

발림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6.
양설중죄금일참회(兩舌重罪今日懺悔)

이간질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7.
악구중죄금일참회(惡口重罪今日懺悔)

나쁜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8.
탐애중죄금일참회(貪愛重罪今日懺悔)

탐애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9.
진에중죄금일참회(瞋恚重罪今日懺悔)

성내온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10.
치암중죄금일참회(痴暗重罪今日懺悔)

어리석은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이 문구는 한국불교의 대강백이라 불리우는 무비스님의 번역한 것이다. 이런 해석은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누구나 말할 수 있는 정형구에 해당된다.

 

하지만 번역을 보면 단지 한문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긴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살생은 죽이는 것이고, 투도는 도둑질한 것이고, 사음은 음란한 행위라고 번역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한문의 한계라 본다. 글자 하나가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는 중국의 문자가 논리적 설명을 하기에 부적합 하기 때문이다.

 

십악참회의 원형

 

그렇다면 빠알리니까야에서는 어떻게 표현 하였을까?

 

 

Tena hi gāmai tayevettha paipucchissāmi, yathā te khameyya tathā na vyākareyyāsi. Ta kimmaññasi gāmaī idhassa puriso pāātipātī adinnādāyī kāmesu micchācārī musāvādī pisunāvāco pharusāvāco samphappalāpī abhijjhālū vyāpannacitto micchādiṭṭhiko, tamena mahājanakāyo sagamma samāgamma āyāceyya thomeyya pañjaliko anuparisakkeyya: "aya puriso kāyassa bhedā parammaraā sugati sagga loka upapajjatu" ti. Ta kimmaññasi gāmaī, api nū so puriso mahato janakāyassa āyācanahetu vā thomanahetu vā pañjalikā anuparisakkanahetu vā kāyassa bhedā parammaraā sugati sagga loka upapajjeyyāti.

 

[세존]

촌장이여, 어떻게 생각합니까? 세상에 어떤 사람이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고, 주지 않는 것을 빼앗고, 사랑을 나눔에 잘못을 범하고, 거짓말을 하고, 이간질을 하고, 욕지거리를 하고, 꾸며대는 말을 하고, 탐욕스럽고, 성내는 마음을 가지고,  삿된 견해에 사로잡혔다면,  그에게 많은 사람이 모여와서 ‘몸이 파괴되고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나라로 태어날지어다’ 라고 기도하고 찬탄하고 합장하고 순례한다면 촌장이여, 그대는 그것을 어떻게 생각합니까? 그 사람은 많은 사람이 기도하고 찬탄하고 합장하고 순례한 까닭에 몸이 파괴되고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나라로 태어날 수 있습니까?

 

(Asibaddhakaputtasutta-아씨빤다까뿟다의 경, 상윳따니까야 S42:6, 전재성님역)

 

 

촌장상윳따에서 부처님은 열 가지 악행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천수경의 십악참회의 원형이라 볼 수 있다.

 

비교해 보면

 

빠알리니까야를 보면 천수경과 대체적으로 일치 하지만 다른 부분도 있다. 이를 비교하여 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십악행 비교

No

천수경

빠알리니까야

1

살생중죄금일참회(殺生重罪今日懺悔)

살생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지 않음

2

투도중죄금일참회(偸盜重罪今日懺悔)

도둑질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주지 않는 것을 빼앗지 않음

3

사음중죄금일참회(邪淫重罪今日懺悔)

사음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사랑을 나눔에 잘못을 범하지 않음

4

망어중죄금일참회(妄語重罪今日懺悔)

거짓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거짓말을 하지 않음

5

기어중죄금일참회(綺語重罪今日懺悔)

발림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이간질을 하지 않음

6

양설중죄금일참회(兩舌重罪今日懺悔)

이간질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욕지거리를 하지 않음

7

악구중죄금일참회(惡口重罪今日懺悔)

나쁜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꾸며대는 말을 하지 않음

8

탐애중죄금일참회(貪愛重罪今日懺悔)

탐애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탐욕스럽지 않음

9

진에중죄금일참회(瞋恚重罪今日懺悔)

성내온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성내는 마음을 가지지 않음

10

치암중죄금일참회(痴暗重罪今日懺悔)

어리석은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

삿된 견해에 사로잡히지 않음

 

 

대체적으로 비슷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열 번째 항목에서 드러난다. 천수경에서는 단지 어리석음이라 하였지만 빠알리니까에서는 삿된 견해라고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이외 작은 차이도 많이 보인다. 이에 대하여 한국불교의 대강백이라 불리우는 무비스님의 천수경 강의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살생중죄금일참회에 대하여

 

십악참회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살생에 대한 것이다. 이는 빠알리니까야도 마찬가지이다. 이후 순서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빠알리니까야가 먼저 성립하였고 또 부처님의 원음이 실려 있으므로 십악참회의 원형은 빠알리니까야에 있다. 그렇다면 살생에 대하여 천수경과 빠알리니까야는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

 

무비스님은 살생중죄금일참회에 대하여 살아있는 모든 것을 죽인 무거운 죄를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라고 해석하였다. 이는 단지 한문을 그대로 번역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빠알리니까야에서는 살아있는 생명을 죽입니다. 그는 잔인하여 손에 피를 묻히고 살육에 전념하고 뭇삶에 대하여 자비심이 없습니다.(M141)”로 매우 구체적으로 표현 되어 있다. 살생하는 자는 자비심이 없기 때문에 뭇삶(중생)들을 죽인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 그래서 어떠한 경우에서라도 살생을 하면 안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살생도 해야 합니다

 

그러나 무비스님의 살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면 놀라움을 금치 않을 수 없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흔히 살생의 문제에서 갈등을 겪을 수 있는데, 우리에게 불필요한 일로서 살생할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생을 하지 않고 생명을 존중히 여기는 뜻의 방생을 한다면 그것은 곧 선이 되는 것입니다.

 

,()>라고 해서 무조건 잘 지키기만 해서는 안 됩니다.

네 가지 조건이 있는데 그것을 잘 지킴은 물론이고, 잘 범할 줄도 알아야 하고,

잘 열줄도 알아야 하고, 잘 막을 줄도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살생을 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주고 더욱 행복해 진다면 살생도 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잘 범하는 일입니다.

전쟁에 나가 적을 무찔러야 할 경우에는 살생을 범해야 합니다.

 

(무비스님, 좌 -12- 장-유여, 카페 염화실)

 

 

무비스님의 카페 염화실에 음성과 함께 실려 있는 글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살생을 해서는 안된다고 해 놓고 예외사항을 말하고 있다. 살생을 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주고 더욱 행복해 진다면 살생도 해야한다는 것이다. 또 전쟁에 나가 적을 무찔러야 할 경우에는 살생을 범해야한다고 하였다. 참으로 놀라운 내용이다.

 

살생의 과보는

 

살생을 하면 어떤 과보를 받게 될까? 빠알리니까야에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세존]

촌장이여, 나는 살아있는 생명을 해치는 것과 살아 있는 생명을 죽인 결과에 대해 분명히 압니다. 어떻게 이와 같이 생명을 죽인 사람이 몸이 파괴되어 죽은 뒤에 괴로운 곳, 나쁜 곳, 비참한 곳, 지옥으로 떨어지는지도 분명히 압니다.

 

(Pāaliyasutta-빠딸리야의 경, 상윳따니까야 S42:13,전재성님역)

 

 

부처님은 살생의 무서운 과보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어느 경우라도 살생을 하면 악처에 떨어진다는 것이다. 앙굿따라 니까야에서는 매우 구체적으로 말씀 하고 있다.

 

 

수행승들이여, 세상에 어떤 사람은 살아 있는 생명을 죽이거나, 잔혹하고 손에 피를 묻히고 살륙에 전념하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하여 자비심이 없다. 그는 신체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니고, 언어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니고, 정신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닌다.

 

그의 신체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언어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정신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운명도 굽어 있고, 그의 다시 태어남도 굽어 있다. 수행승들이여, 그의 운명이 굽어 있고 다시 태어남이 굽어 있는 자는 두 가지 운명 가운데 어느 하나의 운명, 즉 오로지 괴로움 뿐인 지옥이나 몰래 기어다니는 종류의 축생으로 태어 나는 것이 자명하다고 나는 말한다.

 

수행승들이여, 그 몰래 기어 다니는 종류의 축생이라 어떤 것인가? , 전갈, 지네, 몽구스, 고양이, , 올빼미를 비롯해서 인간이 보면 몰래 기어다니는 어떠한 종류이든지 그 모든 축생이다.

 

이와 같이 수행승들이여, 존재는 존재로부터 다시 태어난다. 그는 행위한 것에 따라 다시 태어나게 되고, 그가 다시 태어나면, 접촉이 이루어진다. 수행승들이여, 그러므로 뭇삶은 행위의 상속자라고 나는 말한다.

 

(Sasappaniya pariyāya sutta-뱀처럼 기어다님에 대한 법문의 경, 앙굿따라니까야 A10:216, 전재성님역)

 

 

살생을 하면 인간 몸 받기가 힘든 것임을 말한다. 악처에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지옥이나 축생의 과보를 받기 쉽다고 한다. 왜냐하면 살생이라는 것은 약육강식의 축생의 세계에서나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살생을 한다는 것은 이미 인간이기를 포기한 것과 같다는 말이다.

 

황당한 법문

 

그럼에도 한국불교에서는 때에 따라 살생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한다. 어느 원로의원 스님은 법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것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 와서도 그렇게 됐는데 그것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살생에 대하여 내가 설명을 해 드리지요.

 

한번 저보다 지식이 많은 분들이 들으시면 잘 아실 겁니다. 파리 한 마리 죽였다면 살생했다고 해서 야단법석이라, 또 배암 한마리 죽였다면 또 살생했다 야단이라. 그게 아닙니다. 축생보를 받고 있으면 그 축생보를 면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되는 겁니다. 아시겠어요.

 

살생이라는 것은 나쁜 생각을 말하는 것입니다.

 

(불교TV 무상사 일요초청법회, 제163회 OO스님(조계종 원로위원), 불교TV 2009-11-05)

 

 

불교TV 무상사 법문에서 녹취한 것이다. 이전에 올렸던 것 (고기 먹는 가지고, 아마간다의 경(Sn2.2)) 을 참고한 것이다.

 

스님은 법문에서 파리 한 마리 죽이는 것은 죄가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스님은 하나의 일화를 소개 하면서 어느 스님이 뱀을 죽인 것은 뱀의 과보를 면하게 해 준 것이라 하였다.

 

스님은 살생 그 자체 보다 죽이려는 나쁜 생각을 가진 것이 더 나쁘다고 하였다.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모기를 죽인다거나 축생의 과보를 면해 주기 위해서 살생하는 것은 죄가 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법문하였다. 이런 법문은 인간의 몸을 받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 많이 애를 낳아야 한다는 티벳불교의 말하는 것 만큼이나 황당하다.

 

이와 같은 법문을 들으면 무비스님이 말한 말이 이해가 간다. 한국불교에서는 지켜야 할 계율도 있지만 범할 줄 알아야 하는 계율도 있음을 말한다. 이를 개차법(開遮法)’이라 할것이다.

 

열렸다 닫혔다 하는 개차법(開遮法)

 

개차법을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열렸다 닫혔다 하는 법을 말한다. 계는 목숨을 다하여 지켜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계차법에 따르면 계란 올바른 정신을 지켜야 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계는 그 우열이 있으니 절대계에 비추어 나머지 계의 파계는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계차법에서 모든 계는 자신의 올바른 삶을 위하여 또 타인의 행복을 위하여 실천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래서 대승의 계차법에 따르면 계는 지킴으로서 지키며, 파함으로써 지킨다. 계는 파함으로써 파하며, 지킴으로써 파한다.”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무비스님도 이런 계차법에 따라 살생중죄금일참회 법문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오후불식에 대하여

 

개차법을 적용하면 어떤 것이든지 정당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강의에서 무비스님은 오후불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스님들이 지켜야 할 계목중에 정오가 지나면 공양을 하지 말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이 허용될 수도 있습니다.

단체를 이끌어가는 데는 작은 계율도 필요하지만 부처님께서도 소소한 계율에 너무 집착하여

본래의 뜻을 잊어버리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무비스님, 좌 -12- 장-유여, 카페 염화실)

 

 

비구계목에 오후불식 조항이 있다. 이는 부처님 당시 인도의 환경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오전에 탁발을 하면 오후에는 먹지 않는 것을 말한다.

 

오후불식계율은 지금도 남방 테라와다 불교전통에서는 지켜지고 있다고 한다. 또 남방에서 계를 받고 국내에서 포교활동을 하는 테라와다비구들도 이 계율만큼은 지키고 있다고 한다. 탁발전통이 없는 우리나라 불교환경에서 테라와다 비구들이 비록 절에서 주는 밥으로 공양을 할지라도 그 정신만큼은 잊어 버리지 않겠다는 발상으로 보인다. 그래서 한국에 있는 테라와다 비구들은 탁발을 못하는 대신 오후불식 만큼은 지켜서 계목에 대한 본래의 뜻을 지켜 나가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개차법을 적용하면 무너지게 된다. 무비스님이 말한 것과 같이 경우에 따라 허용 될 수 있는 것이라 한다. 이는 부처님이 소소한 계율에 집착하지 말라고 한 것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래서일까 한국의 스님들은 일반인들과 똑같이 일일 삼식을 한다. 거기에다 간식까지 먹기도 한다.

 

스님들에게 하루 세때를 공양해야

 

이렇게 일일삼식하는 것은 보살계에서도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계목이 있다.

 

 

6. 법사에게 공양을 올리고 법을 청하라.

불자들아,
너희는 대승의 법사와 대승을 공부하는 이와 지견이 같은 이와 수행이 같은 이가 백 리, 천 리를 걸어 절이나 마을 집에 오는 것을 보면, 일어서서 맞이하여 예배하고 공양하여야 한다.

매일 같이 세 때를 공양하되, 하루에 금 석 냥 값어치의 맛있는 온갖 음식을 차려 공양하고 앉는 상과 먹는 약 등을 법사에게 공양하며, 그밖에 필요한 물건은 무엇이든 다 제공해야 하며, 법사에게 아침, 점심, 저녁으로 설법을 청하되, 그 때마다 예배하고, 성내거나 괴로워하지 말며, 법을 위해서는 몸도 잊고서 부지런히 법을 청해야 하나니, 만약 그렇지 않으면 가벼운 죄가 된다.

 

(보살계본 : 48가지 가벼운 계율)

 

 

불자들이 수계를 하면 대승보살계를 받는다. 대승보살계는 10가지 중한 계율이 있고, 48가지 소소한 계율이 있다. 위 내용은 48가지 소소한 계율중에 6번 째 항이다.

 

내용을 보면 불자들은 스님들에게 하루 세때를 공양해야 된다고 하였다. 이런 보살계는 재가불자들뿐만 아니라 출가자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출가자에게도 해당된다. 그래서 출가자가 오후불식을 하지 않고 하루 세 끼 밥을 먹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의 스님들은 대승보살계와 비구계를 동시에 받는다는 사실이다.

 

보살승인가 비구승인가?

 

한국불교에서 비구계를 소승계라 한다. 이는 부처님 당시부터 내려 오는 계율이기 때문이다. 현재 테라와다불교전통에서 지키고 있는 계목이 비구계이다.

 

그런데 비구계에 따르면 오후에는 먹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한국의 테라와다 비구들은 이 계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스님들은 대승보살계와 비구계를 모두 수지 하고 있기 때문에 오후불식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보살계와 비구계를 모두 수지하는 것은 모순이다. 보살계와 비구계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스님들은 두 개의 계목 중에 어는 것을 더 따르는 것일까?

 

아마도 보살계를 더 따르는 것 같다. 비구계를 지키려면 제약이 너무 많기 때문일 것이다. 오후에 먹지도 못하고 재산을 소유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비구라 한다. 비구계를 지키지 않음에도 비구라고 하는 것은 모순이다. 그렇다면 보살승일까?

 

그러나 어느 스님도 자신이 보살승이라 하지 않는다. 보살계를 받으면 보살승이 되지만 보살계는 재가불자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살승이라 하면 재가불자들과 다를 바 없다. 그래서 보살승이라 하지 않고 비구라 한다. 그러나 비구계를 지키지 않는다. 개차법을 적용하여 보살계와 비구계를 줄타기 하는 것 같다. 그런 스님들을 대체 무어라고 불러야 할까? 

 

도둑질의 범위는

 

십악참회게에서 두 번째가 투도중죄금일참회(偸盜重罪今日懺悔)’이다. 이는

도둑질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라고 일반적으로 번역된다. 이에 대하여 무비스님은 법문에서 남의 물건을 훔친 것에 대해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라고 하였다. “도둑질 하다, 훔치다와 같이 직접적인 행위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빠알리니까야에서는 주지 않는 것을 취하지 않는다.” 라고 하여 범위가 매우 넓다.

 

훔치는 것과 주지 않는 것을 취하지 않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 전자는 직접적 행위에 대한 것이지만 후자는 간접적인 행위도 도둑질로 보기 때문이다.

 

간접적으로 취하는 것도 도둑질에 해당된다. 그래서일까 무비스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둘째로 <투도중죄금일참회>

'남의 물건을 훔친 것에 대해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가 됩니다.

아무리 작은 물건이라도 훔치는 것은 투도가 됩니다.

엄밀히 따지고 보면 투도는 단순히 남의 것을 훔치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정치적인 수 많은 제도에 의해서도 엄청난 투도를 일삼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큰 회사를 운영하면서 노동을 착취한다거나 권력을 이용하여

이익을 노리는 일은 도둑중에서도 큰 도둑에 속합니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도둑에 대한 개념도 많이 달라졌고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투도>의 보다 적극적인 행위는 베푸는 일인 '보시행'을 하는 것입니다.

 

(무비스님, 좌 -12- 장-유여, 카페 염화실)

 

 

무비스님에 따르면 물건을 직접 훔치는 것 만이 도둑질이 아니라 하였다. 과도하게 이익을 취하는 것도 일종의 도둑질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를 확대한다면 불로소득도 도둑질에 해당될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이마의 땀으로 벌어들인 정당한 원리로 얻어진 재물을 소유한다.(A4:62)”라 하여 팔의 힘, 이마의 땀으로 형성된 재산을 가지는 것이  소유의 행복(atthisukha)’이라 하였다.

 

하지만 일부 사찰에서 보는 문화재관람료 징수 행위는 정당해 보이지 않는다.

 

사찰순례를 갔었는데

 

작년 11월 사찰순례를 간적이 있었다. 충북 영동에 있는 Y사이다. 이에 대하여 을 사찰입장료를 받아야 하나? 세상과 마찰 빚는 불교라는 제목으로 기록을 남겼다.

 

그런데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 커다란 플레카드가 걸려 있었다. 거기에 “과거엔 남의집 길 끊고 현재엔 길막고 입장료 징수하고 그것이 진정한 부처님의 가르침이냐?”라고 쓰여 있었다. 입장료 징수에 항의 하여 시민닽체에서 내 걸은 것이다.

 

 

 

 

Y 사는 천년고찰이다. 그래서 문화재도 여럿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사람을 불러 들이는 것은 천년된 은행나무이다. 그 크기가 용문사 것 못지 않게 우람하고 장대하다.

 

그런데 은행나무는 사찰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찰 밖에 있다. 그럼에도 사찰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매표소를 세웠다. 그리고 산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철망으로 된 담을 만들었다. 그래서 순례객들은 물론 일반 등산객들은 꼼짝 없이 그 문을 통과 해야 했다. 그런 영향에서일까 등산로 도중에 등산객이 봉이냐!! 개인사유지에 입장료가 웬말이냐?”라는 플레카드를 또 볼 수 있었다.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잡지 않는다

 

불자들이 절에 가면 빈손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 대웅전을 비롯 하여 이 전각 저 전각 다니면서 참배하고 참배 할 때 마다 불전함에 돈을 넣는다. 그 금액이 입장료 받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타종교에서는 한 사람이라도 전도하기 위하여 총력을 기울인다. 길에서 지나가는 사람에게 전단지를 나누어 주는가 하면 커피나 사탕 등 먹을 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 교회에 가면 무료로 밥을 주고 각종 봉사를 한다.

 

그런데 불교의 경우 등산로 입구에 담을 쌓고 매표소를 만들어 입장료를 받고 있다. 일부로 절을 찾아 오는 사람도 입장료를 내야 한다. 불자이건 아니건 예외가 없다. 반드시 내고 들어가야 한다. 그래서 입장료를 내지 않으면 절에 갈 수 없다. 이런 경우에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잡지 않는다라는 불가의 말이 적용되는 것일까?

 

입장료 징수행위는 정당한 것일까?

 

입장료를 받는 행위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문화재관람료 명목으로 징수하는 것이긴 하지만 설득력이 약하다. 그렇다고 불국사처럼 볼만한 문화재가 있는 것도 아니다. 매표소를 설치하려면 바로 절 입구 사천왕문 앞에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절에서 수백미터 떨어진 등산로에 세웠다는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그래서 “과거엔 남의집 길 끊고 현재엔 길막고 입장료 징수하고 그것이 진정한 부처님의 가르침이냐?”라든가 등산객이 봉이냐!! 개인사유지에 입장료가 웬말이냐?”라는 플레카드를 보면 마치 사찰을 도둑으로 보는 것 같다. 그들의 눈에는 징수하는 행위가 도둑질로 보였음에 틀림 없다.

 

입장료 징수행위는 정당한 것일까? 도둑질에 해당하는 것일까? 천수경의 투도라는 개념을 적용하면 도둑질이 아닐 수 있다. 왜냐하면 투도는 훔치는 것, 도둑질 하는 것이라 하여 직접적인 행위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장료를 징수 하는 것 자체를 도둑질로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빠알리니까야에 표현된 주지 않는 것을 취하는 것을 도둑질의 개념으로 본다면 징수하는 행위는 도둑질에 속한다. 입장료 징수 하는 행위가 주지 않은 것에 대하여 받아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투도를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과도한 이익을 취하는 것도 도둑질이고 불로소득도 도둑질이다. 등산로에 매표소를 만들어 놓고 입장료를 징수 하는 행위는 주지 않는 것을 취하는 케이스라 보여 진다. 그래서 사찰에서 입장료를 받는 행위는 투도죄에 해당된다고 본다.

 

도둑질의 과보는?

 

도둑질 하면 어떤 과보를 받게 될까? 부처님은 촌장이여, 나는 주지 않는 것을 빼앗는 것과 주지 않는 것을 빼앗은 결과에 대해 분명히 압니다. 어떻게 이와 같이 생명을 죽인 사람이 몸이 파괴되어 죽은 뒤에 괴로운 곳, 나쁜 곳, 비참한 곳, 지옥으로 떨어지는지도 분명히 압니다.(S42:13)”이라 하였다.

 

하얀 거짓말

 

십악참회게에서 네 번째에 망어중죄금일참회(妄語重罪今日懺悔)’가 있다. 이는 거짓말한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로 번역된다. 무비스님은  망녕된말로 지은 무거운 죄를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라 하였고, 망녕된 말이 거짓말이라 하였다. 빠알리니까야에서도 역시 거짓말 하지 않는 것으로 번역된다. 

 

사람들은 살아 가면서 얼마나 많은 거짓말을 할까? 수 도 없이 거짓말을 했을 것이다. 물론 거짓말에도 종류가 있다. 이른바 하얀 거짓말이라 하여 가벼운 거짓말을 말한다. 지각을 하였다면 차가 막혀서라고 변명하는 것도 거짓말이고, 떼 쓰는 아이에게 어르고 달랠 때저기 호랑이 온다라고 말하는 것도 거짓말이다. 이렇게 가벼운 거짓말은 그다지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매우 무거운 거짓말도 있다. 남을 속이는 행위가 그것이다.

 

우담바라 핀 청계사

 

사는 곳에 큰 절이 하나 있다. 경허선사가 어렸을 때 출가하였다는 청계사이다. 청계사에 대하여 존재들 가운데 어떠한 실체도 발견하지 못한다” 우담바라 청계사에서라는 제목으로 글을 남긴바 있다.

 

청계사에 가면 절 입구에 커다란 바위가 있다. 거기에 붉은 글씨로 우담바라 핀 청계사라는 문구가 보인다.

 

 

 

 

 

청계사는 부처님오신날이 되면 인산인해를 이룬다. 청계사가 속해 있는 의왕시를 비롯하여 안양, 군포, 과천 등 안양권에는 100만명의 시민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계사는 안양권 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다. 그런 청계사는 우담바라로 유명해졌다.

 

불국사와 청계사는 어떤 관계일까?

 

청계사가 우담바라로 유명해진 것은 J스님이 주지로 오고 나서 부터이다. 불국사 주지를 하였던 J 스님이 청계사로 온 것은 1990년대 말이다. 그런데 아직 까지 알 수 없는 것은 청계사와 불국사와의 관계이다. 어떻게 청계사가 불국사의 말사 개념으로 들어 갔는지 알 수 없다. 분명한 사실은 청계사가 불국사의 일원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지금도 성자 항렬의 스님이 청계사 주지로 되어 있다.

 

우담바라와 풀잠자리알

 

불국사 주지를 하다 청계사로 온 J스님이 가장 먼저 한 일은 퇴락된 사찰을 중창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불사의 필요를 느끼던 차에 극락보전의 관세음보살상의 안면에 핀 우담바라 꽃을 발견하게 된다.

 

J스님은 삼천년만에 한 번 핀다는 전설속의 꽃 우담바라가 그것도 관세음보살의 용안에 피었다는 것에 대하여 매우 상서스러운 현상으로 보았다. 이때가 불기 2544,  서기로 2000년이다.

 

이때부터 청계사에서는 철야정진 기도회와 무차대회를 열었다. 그러자 전국에서 신심있는 불자들이 구름처럼 모여 들었다고 한다. 이는 청계사 사적비에 적혀 있는 법회에 참석하고자 전국각지에서 남녀노소구별없이 청계사로 모여드니 법에 목마른자에게 해갈의 단비를 뿌려줌이었다.”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진짜 우담바라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분분하였다. 이런 현상에 대하여 그때 당시 TV에서도 보도 되었다. 그 때 당시 TV보도에 따르면 우담바라가 아니라 ‘풀잠자리알’일 뿐이라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도회는 계속 열리고 신심있는 불자들의 보시가 줄을 이었다. 그리고 새로운 불사가 이루어 졌다. 우담바라 꽃이 발견되고 난 2년 후인 2002년에 ‘우담바라 핀 청계사’라는 문구가 써진 바위돌을 보게 되었다.

 

이런 불사의 영향이어서일까 청계사는 몰라 보게 달라 졌다. 경허선사를 비롯한 다섯 선사의 부도탑이 새로 만들어지고 주변이 성역화 되었다. 그리고 경내는 깨끗이 단장 되어서 몰라 보게 바뀌어 졌다. 이 모두가 우담바라에 따른 불사의 영향이라 볼 수 있다. 그렇게 본다면 J스님의 발원은 이루어진 것이나 다름 없다.

 

도박승 혐의를 받고 있는 J스님

 

모든 것이 오픈되고 공유화 되는 인터넷 시대이다. J스님이 우담바라라고 하였던 꽃은 이미 풀잠자리알이라고 결론이 난 바 있다. 이는 우담바라 이야기가 나왔을 때부터 TV에서 보도된 바 있다. 그럼에도 우담바라라 하여 기도회를 하고 무차대회를 하여 전국에서 수 많은 사람들로부터 보시금을 받았다. 이런 행위를 어떻게 보아야할까?

 

현재 J스님은 도박혐으로 검찰에 고발 되어 있다. 장주스님이 폭로한 도박승 명단에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사찰입장료를 받는 불국사 주지를 하였고 아직도 불국사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하고 있는 스님이다. 그런 스님이 불국사에서 멀리 떨어진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한 사찰의 주지로 부임하면서 우담바라이야기를 하였다. 그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신심있는 불자들의 시주가 줄을  이었다. 과연 우담바라 꽃은 있기나 한 것일까?

 

거짓말을 하면

 

거짓말을 하면 어떻게 될까?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수행승들이여, 세상에 어떤 사람은 거짓말을 하니, 법정에 불려가거나 모임에 나아가거나 친지 가운데 있거나 조합에 참여하거나 왕족 가운데 있거나 증인으로서 질문을 받아, ‘오, 이 사람아, 그대가 아는 것을 말하라.’라고 하면, 그는 모르면서도 ‘나는 안다.’고 대답하고, 알면서도 ‘나는 모른다.’고 대답한다. 보지 못하면서도 ‘나는 본다.’고 말하며, 보면서도 ‘나는 보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이와 같이 그는 자신을 위하여, 혹은 타인을 위하여, 혹은 뭔가 이득을 위하여 고의로 거짓말을 한다. 그는 신체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니고, 언어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니고, 정신적으로 뱀처럼 몰래 기어 다닌다.

 

그의 신체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언어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정신적 행위도 굽어 있고, 그의 운명도 굽어 있고, 그의 다시 태어남도 굽어 있다. 수행승들이여, 그의 운명이 굽어 있고 다시 태어남이 굽어 있는 자는 두 가지 운명 가운데 어느 하나의 운명, 즉 오로지 괴로움 뿐인 지옥이나 몰래 기어다니는 종류의 축생으로 태어 나는 것이 자명하다고 나는 말한다.

 

(Sasappaniya pariyāya sutta-뱀처럼 기어다님에 대한 법문의 경, 앙굿따라니까야 A10:216, 전재성님역)

 

 

부처님은 거짓말의 특징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보았으면서도 안보았다고 말하고, 안본것도 보았다고 말하는 것이 거짓말이다. 알면서도 모른다고 하고, 알면서도 모른다 하는 것 역시 거짓말이라 한다.

 

거짓말을 하면 어떤 과보를 받게 될까? 부처님은 거짓말을 하면 악처에 태어날 것이라 하였다. 그래서 지옥에 떨어지거나 축생으로 태어날 것이라 하였다.

 

얼버무리듯이 두리뭉실 넘어 가는

 

십악참회 중 살생과 투도, 망어 이렇게 세 가지를 빠알리니까야와 비교해 보았다. 이 세 가지 뿐만 아니라 나머지도 거의 비슷하다. 다만 열 번째 항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십악참회 열번째 항은 치암중죄금일참회(痴暗重罪今日懺悔)’이다. 우리말로 어리석은 죄업 오늘 참회합니다로 풀이 된다. 이에 대하여 무비스님은 어리석음으로 인해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라 하였다. 더 이상 설명이 없다.

 

천수경 십악참회에서 치암(痴暗)이라는 말은 어리석음이라는 뜻으로 풀이 된다. 그런데 왜 어리석음인지에 대한 설명이 보이지 않는다. 대강백이라는 무비스님도 더 이상 언급을 하지 않았다. 왜 이렇게 얼버무리듯이 두리뭉실 넘어 가는 것일까?

 

치암이 아니라 전도된 견해

 

빠알리니까에서는 열 번째 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해 놓았다.

 

 

[세존]

잘못된 견해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보시도 없다. 제사도 없다. 공양도 없다. 선악의 과보도 없다. 이 세상도 없고 저 세상도 없다. 어머니도 없고 아버지도 없다. 흘연히 태어나는 뭇삶도 없다. 세상에는 바르게 유행하고 올바로 실천하며 이 세상과 저 세상을 곧바로 알고 깨달아 가르치는 수행자나 성직자도 없다.’라고 전도된 견해를 갖습니다.

 

(Sasappaniya pariyāya sutta-뱀처럼 기어다님에 대한 법문의 경, 앙굿따라니까야 A10:216, 전재성님역)

 

 

십악행 중에 열 번째는 잘못된 견해에 대한 것이다. 이를 삿된 견해, 사견(邪見)이라고 볼 수 있다. ‘보시를 해도 공덕이 없다든가, ‘내세도 없고 윤회도 없다라고 보는 견해를 말한다. 이는 업에 대한 과보를 부정하는 것이다.  

 

삿된 견해는 도덕부정론자, 단멸론자, 유물론자, 허무주의자들에게서 볼 수 있다. 육사외도의 대부분이 이와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부처님은 삿된 견해에 대하여 십악중 하나로 본 것이다.

 

대강백이라면

 

그럼에도 천수경에서는 단지 어리석음이라고 얼버무리듯이 표현 해 놓았다. 그래서일까 우리나라 어느 스님도 열번째 항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이 시대의 대강백이라 불리우는 무비스님조차도 법문에서 어리석음으로 인해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내가 오늘 참회합니다라 하여 대충 두리뭉실 넘어 가는 것 같다.

 

대강백이라면 교리에 대하여 모르는 것이 없을 정도로 두루두루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대승경전만 안다고 하여 대강백이라는 칭호를 붙여 줄 수 있을까? 대승의 대강백은 아함부 경전을 보지 않아도 되는 것일까? 소승경전이기 때문에 거들떠 보지도 않은 것일까?

 

아함경에서도 십악행의 열 번째에 대하여 삿된견해라 하였다. 어리석음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대강백이라 불리우는 무비스님이 얼버무린 것은 결국 아함부 경전을 보지 않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가족전도에 대하여 이야기 하지만

 

대승불교권에 있는 한국불자들은 교리에 대하여 잘 모른다. 절에서 하는 말은 늘 열심히 기도하세요라는 말을 한다. 그런 말만 듣고 10, 20, 30, 평생 절을 다니지만 교리에 대하여 아는 것이 없다. 그러다 보니 타종교인을 만나도 자신 있게 불교에 대하여 말 할 수 없다.

 

어느 스님은 말끝 마다 가족전도이야기를 한다. 절에 30년 이상 다닌 노보살이 자식전도를 하지 못하여 타종교로 개종하는 것에 대한 질타이다. 그래서 자신만 절에 나오지 말고 가족까지 데리고 나오라고 말한다.

 

그러나 노보살이 전도를 하지 못하는 이유는 불교에 대하여 모르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교리에 대하여 무지하기 때문이다. 오로지 열심히 기도 하세요라는 말만 듣고 열심히 20, 30, 평생 기도만 하였을 뿐 가족들에게 왜 불교가 좋은 것인지 설명을 못하기 때문에 전도를 못하는 것이다.

 

노보살은 전도는 커녕 아들이나 며느리한테 개종을 당한다. 늙어 다리가 아파 더 이상 험한 산에 있는 절에 다니지 못하게 되었을 때, 죽음에 임박하였을 때 유일신 종교로 개종하는 것은 평생 기도만 하고 살았기 때문이라 본다. 아무리 관세음보살이 용하기로 천지를 창조한 유일신을 당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기복으로 따진 다면 관세음보살은 하나님과 게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열심히 기도하세요라는 말을 듣고 평생기도만 한 노보살이 죽음에 이르러 쉽게 개종한다고 한다.

 

교리에 무지하다 보니

 

평생 기도만 하고 사는 것이 불자들의 신행방식이다. 생활경이라 불리우는 천수경을 수지독송하지만 그 뜻을 잘 모른다. 더구나 경을 해설하는 스님들의 법문을 보면 부처님의 가르침과 다른 것이 너무나 많다.

 

십악참회에서 살생과 관련하여 어느 원로스님은 축생을 죽여 주는 것이 축생의 과보를 면하게 해주는 것이라 하였다. 이는 어떤 경우에서라도 살생을 해서는 안된다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정 반대 되는 법문이다.

 

투도와 관련하여 충북 영동의 Y사는 등산로에 매표소를 설치하여 지나가는 모든 이들에게 입장료를 징수 하였다. 주지 않는 것을 취하지 않은 것이 광의적 불투도 개념이라면 Y사의 행위는 명백하게 도둑질에 해당된다.

 

의왕에 있는 청계사에서 우담바라 꽃이 피었다고 해서 신심 있는 불자들이 전국각지에서 남녀노소구별없이 청계사로 모여들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담바라가 아니라 풀잠자리 알로 판명 되었다. 이런 경우는 명백히 망어죄에 해당된다. 망어는 거짓말의 뜻이다.

 

이와 같은 전도된 인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 혼란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한마디로 교리공부를 하지 않아서라고 보여진다. 교리에 대하여 모르다보니 자의적 판단으로 법문하는 것이다.

 

무위(無爲), 무식(無識), 도식(盜食)

 

법문을 들은 불자들은 스님의 말씀 대로 행할 것이다. 벌레 한마리 죽여도 벌레의 과보를 면하는 것이라 할 것이고, 직접적으로 훔치지만 않으면 도둑질 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불법과 탈법에 따른 과도한 이익과 불로소득을 당연시 할 것이다. 그렇다면 풀잠자리알을 우담바라라 하는 것을 보고 불자들은 무엇을 배울까?   

 

스님들이 교리에 대하여 무지하다 보니 불자들도 무지하다. 그러다 보니 스님들이나 불자들이나 팔정도의 정견이 무엇인지 모른다. 십이연기에서 무명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모른다. 또 천수경 십악참회에서 열 번째를 치암중죄금일참회 하였는데 대체 왜 어리석은지 것인지 모른다.

 

스님도 교리를 모르고 불자 역시 교리를 모르니 한국불교가 무지한 것이다. 이렇게 무지하다 보니 타종교와 토론하였을 때 백전백패이다. 한국불교가 오늘날 썩은 도끼자루가 된 것은 순전히 스님들이 무지하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에 삼무(三無)현상이 있다고 한다. 삼무현상이란 무엇인가? 타계한 원로 스님은 자신의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우리 불교계에는 아주 나쁜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무위(無爲)입니다.

 아무것도 않고 노는 것입니다.

매일 도량 청소라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노는 스님들이 많습니다.

 

둘째는 무식(無識)입니다.

공부 안하는 수행자도 많습니다.

책이라도 봐야 중생을 제도 할 텐데 참 걱정입니다.

 

셋째는 도식(盜食)입니다.

일하지 않고 얻어 먹으려합니다.

 

이 세 가지만 고치면 불교가 좀 더 나아질 것입니다.<산승불회> 273

 

(정무스님, 스님18분에게 물었다, “깨달으셨습니까?”, 오마이뉴스 2011-09-13)

 

 

스님은 삼무현상에 대하여 무위(無爲), 무식(無識), 도식(盜食)을 들었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먹기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하루 세 때 배불리 양껏 먹는다는 것이다. 그런 세월을 보내다 보니 무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층적인 무지의 구조

 

교리에 대하여 무식한 스님들이 법문하였을 때 불자들은 믿고 따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무지한 불자가 된다. 그렇게 되었을 경우 중층 무지가 된다.  그런 무지로 인하여 팔정도에서 정견이 사성제를 아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없고, 십이연기에서 무명이 사성제를 모르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는 것이다.

 

교리를 모르는 스님들과 불자들에게 십이연기의 무명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똑 같은 케이스 일 것이다.

 

 

초기 불교에서 어리석음은 곧 무명(無明)을 말한다.

그것은 네 가지 거룩한 진리를 모르는 것을 의미한다.

 

“수행승들이여, 무엇을 무명이라고 하는가?

수행승 들이여 괴로움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괴로움의 생성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괴로움의 소멸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에 대해 알지 못하는 이것을,

수행승들이여, 무명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네 가지 거룩한 진리에 대해서 무지(無知)한 사람이 있다면

그는 네 가지 거룩한 진리를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 조차 모른다.

그래서 그의 무지는 단순한 무지가 아니라 무지에 대한 무지이다.

마찬가지로 그의 무지에 대한 무지는 무지에 대한 무지에 대한 무지이다.

이러한 중층적인 무지의 구조 때문에 무명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전재성박사, 뱀의 경 (Sn1.1) 13번 게송 ‘어리석음을 버린’에  대한 각주)

 

 

 

 

2013-08-16

진흙속의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