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파멸을 위해 익어가는 열매, 절도이사장과 표절총장의 한국불교
불자들의 스님에 대한 기대치는 매우 높다. 최근 어느 분과 토론에서 들은 이야기이다. 그 분의 이야기에 따르면 “비구니스님은 생리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라고 했다. 그런데 어느 날 비구니스님도 생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 크게 놀랐다고하였다.
어느 비구니스님으로 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정각원 토요법회를 인터넷으로 본 것이다. 그 비구니스님에 따르면 “불자들은 스님들이 아프지도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라 하였다. 이런 사실을 안 비구니스님은 불자들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것에 매우 놀랐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선생님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고 하였다. 전설적인 이야기로 선생님은 화장실도 가지 않은 존재로 알고 있다는 것이다. 선생님들이 마치 이슬만 먹고 사는 것처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스님과 스승님은 동격이다. 여자라면 생리도 안하고 남자라면 술도 안마시는 존재로 알고 있다. 또 화장실에 가지 않을 정도로 이슬만 먹고 사는 존재로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런 스님의 이미지가 최근 무너지고 있다.
표절총장이 탄생했다. 종립대학의 스님총장이다. 사회에서라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 승단에서는 버젓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표절총장을 뽑은 자는 절도혐의를 받고 있는 이사장이다. 역시 종립대학의 스님이사장이다.
그 밥에 그 나물이라 한다. 도찐개찐 이라는 말도 있다. 유유상종이라는 말도 있다. 절도이사장과 표절총장은 거기서 거기이고 난형난제이고 오십보백보이다.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끼리끼리 논다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부처님은 “수행승들이여, 뭇삶들은 세계에 따라 관계를 맺고 어울린다. 저열한 경향을 가진 자들은 저열한 경향을 가진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 (S14:4)”라 하였다.
저열한 경향을 가진 자들은 저열한 경향을 가진 자들과 관계를 맺는다. 반면 탁월한 경향을 가진 자들은 탁월한 경향을 가진 자들과 관계를 맺는다. 그래서 끼리끼리 논다고 한다. 한국불교는 저열한 경향을 가진 권승들이 관계를 맺고 공생하며 끼리끼리 논다. 절도이사장과 표절총장, 참으로 어울리는 관계이다. 마는 마를 부른다고 어쩌면 이렇게 잘 들어 맞는지 모른다. 그런 승려들은 과연 깨달은 자들일까?
깨달았는지 깨닫지 못하였는지 판별하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연기법적 사유’이다. 왜 연기법적 사유인가? 그 사람이 연기법적으로 이야기를 한다면 그는 깨달았을 가능성이 높다. 왜 그런가? 사성제의 진리를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십이연기 등 연기의 법칙을 아는 자이기 때문이다.
연기의 법칙을 아는 자라면 연기의 순환적 삶을 살지 않는다. 연기의 고리를 끊기 위한 연기의 환멸적 삶을 살게 된다. 그런데 승려가 절도를 하고 표절을 한다면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연기법을 안다면 결코 연기의 순환으로 살지 않을 것이다. 연기의 순방향으로 산다면 새로운 태어남(업유)을 유발하고 만다. 윤회하는 삶을 말한다. 이는 출가의 목적과 맞지 않는다.
비구란 무엇인가? 청정도론에 따르면 “윤회에서 두려움을 보기 때문에 비구라 한다. (Saṃsāre bhayaṃ ikkhatīti bhikkhu)”라고 정의 되어 있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다름아닌 행위의 두려움이다. 지금 여기에서 신체적으로 언어적으로 정신적으로 사소한 행위를 유발하였을 때 모두 윤회하는 원인이 된다. 이는 다름 아닌 존재의 두려움이다. 다시 태어남을 유발하는 행위를 지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존재에서, 나는 두려움을 보고(bhavañca vibhavesinaṃ, M49)”라 하였다. 하물며 승려가 절도를 하고 표절을 하였다면 연기가 순방향으로 회전 할 수 밖에 없다. 몸이 무너졌을 때 그들이 가야 할 곳은 어디일까?
비구들은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자들이다. 가출이 아니기에 율장정신대로 청정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럼에도 승려들이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추구한다면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이에 대하여 부처님은 “수행승들이여, 이득과 명예와 칭송은 두렵고 자극적이고 거친 것으로 멍에를 여읜 위없는 안온을 얻는 데 장애가 된다.(S17.1)”라 하였다. 이처럼 이득과 명예와 칭송은 출가자에게 장애로 작용한다. 그래서 부처님은 “어떤 어부가 미끼를 단 낚싯바늘을 깊은 연못에 던지면 눈을 가진 물고기가 그것을 삼키는 것과 같다. (S17.1)”라고 하였다.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가지는 것은 한마디로 말해서‘코가 꿰인’ 것이다.
낚시 바늘에 꿰인 물고기는 어부가 원하는 대로 이끌린다. 마찬가지로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추구하는 자들은 악마 빠삐만이 하자는 대로 끌려 다니는 것과 같다. 이렇게 본다면 절도를 한자가 이사장이 되고 표절을 한 자가 총장이 되었다면 낚시 바늘에 걸린 물고기 신세와 다름 없다.
비구로서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추구하는 자에 대하여 법구경에서는 “자기파멸을 위해 익어가는 갈대의 열매와 같이. (Dhp 164)”라 표현 되어 있다. 이는 무슨 뜻인가? 열매가 맺으면 죽는 식물이 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대나무와 바나나(파초)와 갈대라 한다. 지혜롭지 못한 자의 사견은 열매를 맺으면 죽는 대나무와 바나나(파초)와 갈대와 같은 것이다. 어리석은 자의 삿된 견해는 결국 파멸에 이르고 말것이라는 가르침이다.
과실이 익으면 자기스스로 멸해 버리는 것이 있다. 파초(바나나 나무)가 열매를 맺으면 자멸하고, 대나무와 갈대 역시 열매를 맺으면 자멸한다. 초기경에 따르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암노새가 수태하면 자멸하고 암노새가 수태하면 쇠망하듯이(S15:35)”라 하였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부처님은 “이득과 명예와 칭송이 그 자신을 파멸시키고, 이득과 명예와 칭송이 그 자신을 쇠망하게 할 것이다.(S15:35)”라 하였다. 참으로 놀라운 가르침이다. 마치 오늘날 한국불교의 타락상을 예측한 것 같다.
절도이사장과 표절총장의 출현은 한국불교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다. 비구니스님은 생리도 안하고 비구스님은 아프지도 않는 것으로 알고 있고 스님들은 이슬만 먹고 살기 때문에 화장실에도 가지 않는 것으로 불자들은 알고 있었으나 이번에 두 스님이 여지 없이 깨버렸다.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추구하는 스님들의 종착지는 어디일까? 초기경에 따르면 갈대, 대나무, 파초(바나나)가 열매를 맺으면 자멸한다고 하였다. 또 암노새가 수태하면 자멸한다고 하였다. 더구나 낚시 바늘에 꿰인 물고기와 같아서, 이득과 명예와 칭송을 추구하는 자들은 악마 빠삐만이 하자는대로 끌려 다니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이득과 명성과 칭송을 추구하는 승려들의 말로는 비참할 것임에 틀림 없다.
2015-05-03
진흙속의연꽃
'진흙속의연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자가 가져서는 안될 오종직업 (0) | 2015.05.07 |
---|---|
재가자의 것은 재가자에게, 스님들은 수행처로 돌아가시길 (0) | 2015.05.05 |
새로운 인연과 함께 또 그렇게 (0) | 2015.05.03 |
지금 이대로가 좋은가? 고이면 썩고 축적하면 타락한다 (0) | 2015.04.30 |
자급자족의 노후공동체를 기대하며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