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물을 물쓰듯 하는 세상에서
EBS다큐를 즐겨 본다. 그 중에서도 세계테마기행이다.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방영하는 프로를 보고 있으면 전세계 가지 않은 곳이 없다. 특히 오지 탐험에 대한 것이 눈길을 끈다.
오지에서 살아 가는 사람들의 삶은 힘겹다. 음식을 만들어 먹을 때 불을 피우는데 나뭇가지 등이 동원 된다. 오래 전 우리나라에서 보던 방식이다. 밥 한끼 짓기 위하여 힘겨운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완성된 음식은 매우 단순하다. 한 그릇에 버무린 밥을 손으로 집어 먹는다.
매우 추운 겨울철 아파트에 온수가 중단 된 적이 있었다. 머리를 감아야 하는데 별 수 없이 물을 데워 사용했다. 가스불로 한대야 분량의 물을 데웠다. 뜨끈뜨끈 김이 나는 소중한 물 이었다. 그 물로 목욕까지 하였다. 평소 뜨거운 물을 물쓰듯하다 극도로 아껴 쓰니 가능했다.
온수를 물쓰듯 사용하는 시대이다.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는 잠못 이루는 계절에 뜨끈한 물로 샤워를 하면 잠을 잘 잘 수 있다. 전기는 늘 들어 오는 것이어서 스위치만 올리면 된다. 음식을 해 먹는 데 있어서 가스렌지 불만 켜면 오케이이다.
풍족의 시대이다. 부자나 가난한자나 먹고 사는데 걱정이 없는 시대이다. 주변에 아직까지 굶어 죽었다는 소리를 들어 보지 못하였다. 만약 먹을 것이 없어서 굶어 죽었다는 말이 나오면 국가망신 일 것이다. 명세기 OECD회원국인데 굶어 죽었다니 말이 되는 소리인가!
절대로 굶어 죽지 않는다. 굶지 않도록 이웃이 내버려 두지 않는다. 국가에서 노인에게 인당 20만원 가량 지급하는 것도 굶어 죽지 않게 하기 위한 방편이라 볼 수 있다. 그러면서 기득권자들은 천상과 같은 삶을 향유한다. 고급아파트에 고급외제차, 그리고 늙어 죽을 때 까지 지급되는 풍족한 연금이다. 이 모든 것을 향유하기 위해서 ‘굶어 죽었다.’라는 말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라면 지나친 억측일까?
풍요의 시대이다. 뜨거운 물을 물 쓰듯 사용하는 시대이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이런 삶이 지속 될 수 없다. 삼법인 중에 ‘모든 것이 변한다.’라는 제행무상의 진리를 안다면 언젠가 종말이 오고야 말 것이다. 부자나 가난한자나 빈곤의 시대에 접어 들면 모두 불편해지는 시대가 도래한다. 지난 역사를 보면 늘 그래 왔다. 탐욕이 극대화 될 때, 분노가 치성할 때, 어리석은 인간들에 의해 파국이 왔다. 그것은 전쟁이다. 모든 것을 파괴하고 잿더미로 만들어 버리는 싸움이 일어나면 지금 누리는 이 풍요도 끝이 날 것이다. 청정도론에 이런 말이 있다.
무슨 이유로 이와 같이 세계가 파괴되는가? 세 가지 해로운 뿌리 때문이다. 해로운 뿌리들이 치성할 때 이와 같이 세계는 파괴된다. 탐욕이 치성할 때 그것은 불로 인해 파괴된다. 성냄이 치성할 때 물로 인해 파괴된다. 어떤 자들은 성냄이 치성할 때 불로 인해 파괴되고, 탐욕이 치성할 때 물로 인해 파괴된다고도 주장한다. 어리석음이 치성할 때 바람으로 인해 파괴된다.
(청정도론, 제13장 초월지 64절 )
청정도론에 따르면 이 세상은 주기적으로 파괴 된다. 겁화(劫火)가 일어 나는 것이다.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극에 달했을 때이다.
탐욕이 극에 달하고 있다. 가진 자는 더 많이 가지려 한다. 뜨거운 물을 마구 쓰듯이 자연과 환경을 파괴한다. 또한 더 많이 소유 하기 위하여 전쟁도 불사한다.
탐욕과 분노의 끝은 어디일까? 주식을 보면 알 수 있다. 탐욕으로 가득 찬 자들에 의해 끄집어 올려 진 주가는 시세분출후 고꾸라진다. 엑스터시가 지나면 맥없이 쳐지는 것과 같다.
[세존]
“죽음이 세상을 핍박하고
늙음이 세상을 포위하고
갈애의 화살이 세상을 꿰뚫으며
욕망의 연기가 항상 휩싸이네.”(S1.66)
[세존]
"세상은 모두 불이 붙었고
세상은 온통 연기에 휩싸였네.
세상은 모두 불길을 토하고
세상은 온통 뒤흔들리네."(S5.7)
[세존]
“수행승들이여, 일체가 불타고 있다. 수행승들이여, 어떻게 일체가 불타고 있는가? 수행승들이여, 시각도 불타고 있고 형상도 불타고 있고 시각의식도 불타고 있고 시각접촉도 불타고 있고 시각접촉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즐겁거나 괴롭거나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도 불타고 있다. 어떻게 불타고 있는가? 탐욕의 불로, 성냄의 불로, 어리석음의 불로 불타고 있고 태어남, 늙음, 죽음, 슬픔, 비탄, 고통, 근심, 절망으로 불타고 있다고 나는 말한다." (S35:28)
2015-08-04
진흙속의연꽃
'진흙속의연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랏타빨라의 네 가지 출가이유 (0) | 2015.08.10 |
---|---|
마음 미인대회를 연다면 (0) | 2015.08.10 |
비주류비급삼류정신으로, 인터넷에 글쓰기 십년 (0) | 2015.08.02 |
일 없는 삶, 시간에 매이지 않는 삶 (0) | 2015.08.01 |
련(蓮)의 바다에서 (0)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