私見(사견)과 邪見(사견), 눈먼 봉사가 길을 인도하듯이
이것뿐 타령
스트레스가 쌓이면 가는 곳이 있다. 유튜브에서 ‘이것뿐’동영상을 보는 것이다. 동영상을 보면 마치 코미디프로를 보는 것 같다. 어떤 말을 할 것인지 뻔히 알 수 있다. 마치 태어나면서부터 눈먼 봉사가 코끼리 신체 부위를 만지며 ‘코끼리는 이렇게 생겼다.’고 말하는 것 같다. 그런 모습을 지켜 보는 것이다.
어느 재가법사의 이것뿐 동영상은 널려 있다. 아무 곳이나 찍어서 클릭하면 된다. 또 처음부터 보지 않아도 된다. 내키는 대로 보면 된다. 왜 그런가? 늘 “이것 뿐이야, 이것뿐이거든” 라는 말을 하기 때문이다.
뻔한 내용이지만 보면 볼 수록 코미디프로 같은 인상이다. 더구나 손가락을 하나 들어 올리며 “이거에요. 바로 이것, 다른 것 없어요”라며 말을 한다. 교리에 대한 이야기는 일체 보이지 않는다. 또 일체 질문도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원맨쇼 하듯이 ‘이것뿐’ 타령을 한다.
법사는 이것뿐이라 하며 다른 것은 없다고 한다. 듣고 있으면 ‘없으며’라는 수 도 없이 나온다. 마치 반야심경에서 “~도 없고, ~도 없고…”라든가, “~도 아니고, ~도 아니고,…”라는 말을 듣는 것 같다.
그런데 오로지 ‘이것뿐’이라는 말은 선종계통 스님들의 법문에서 자주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어느 스님이든지 ‘불성’ 또는 ‘자’성이라는 말을 수 없이 반복한다. 한 번 듣고 나면 더 이상 들을 수 없다. 그래서일까 대부분 일회성이다. 설령 여러 편 있다 하더라도 마치 녹음기 틀듯이 똑 같은 이야기를 할 뿐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깨닫는 것일까? 오랜 세월 불행과 고통을 가져 오는 것은 아닐까?
왜 단정해서는 안 되는가?
초기경전에 “오랜 세월 불행과 고통을 가져 올 정도로 다른 사람을 이끄는 것은 아닌가?”(M95) 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사람을 잘 못 만났을 때 하는 말이다. 특히 스승을 잘 못 만났을 때 해당되는 말이다.
스승이 “이것만이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며 자신만 믿을 것을 강조하였을 때 이런 스승을 믿고 평생 따라갔다면 어떻게 될까? 두 가지 중의 하나 일 것이다. 하나는 세뇌가 된 케이스이고 또 하나는 후회 하는 케이스일 것이다. 후자인 경우 속았음을 알게 될 것이다. 왜 그런가? 누군가 ‘이것만이 진리이고 나머지는 거짓이다’라고 단정하는 것은 오류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바라드와자여, 그대는 먼저 믿음에 관하여 언급했고 지금은 전승에 관하여 언급했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이와 같은 다섯 가지의 현상은 지금 여기에서 두 종류의 과보가 있습니다. 다섯 가지란 어떠한 것입니까? 믿음, 취향, 전승, 상태에 대한 고찰, 견해에 대한 이해입니다. 바라드와자여, 이와 같은 다섯 가지의 현상은 지금 여기에서 두 종류의 과보를 갖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잘 믿어지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잘 믿어지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바라드와자여, 아주 만족스럽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아주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바라드와자여, 잘 전승되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잘 전승되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바라드와자여, 잘 상태가 분별되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잘 형상이 분별되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바라드와자여, 견해가 잘 이해되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견해가 잘 이해되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바라드와자여, 진리를 수호하는 현자라면, ‘이것은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Caṅkīsutta-짱끼의 경, 맛지마니까야 M95, 전재성님역)
부처님은 이것만이 진리라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마치 약장사처럼 “이 약만 먹으면 다 낫습니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더구나 다른 것은 다 거짓이라 단언 하였을 때 진실이 드러난다면 어떻게 감당해야 할까? 그래서 부처님은 ‘믿음, 취향, 전승, 상태에 대한 고찰, 견해에 대한 이해’의 과보에 대하여 말씀 하셨다. 이 다섯 가지는 일반적으로 확신에 도달하기 위한 근거라 하였다.
말로만 진리를 말하는 자들이 있다. 마치 약장사처럼 “이것만” 또는 “이것뿐”을 외치는 자들이다. 이렇게 떠들어 대는 자들을 믿는 무리들도 많다. 스승이 옳다고 하면 무조건 믿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믿음에 대하여 한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잘 믿어지더라도 그것이 공허한 것, 거짓된 것, 허망한 것이 되기도 하고, 잘 믿어지지 않더라도 그것이 실재하는 것, 사실인 것, 진실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라 하였다.
이것만이 진리라 하였을 때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정말 진리일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만이 진리이고 다른 것은 다 틀렸다고 말하는 것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진리를 수호하는 현자라면, ‘이것은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M95) 라고 하였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私見(사견)과 邪見(사견)
약장사들은 약을 팔기 위하여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한다. 흔히 하는 말이 ‘이 약만 먹으면 다 낫는다’는 것이다. 이런 말에 혹해서 넘어 가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진리의 세계에서 약장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금방 드러난다. 그것은 ‘사견’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사견인지 아는가? 범일스님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면 사견에 대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부처님 가르침을 알지 못한 상태, 진리를 깨닫지 못한 상태에서 어떤 생각을 하든지간에 그것을 사견이라 해요? 자기가 진리를 다 모르니까. 모르고 하는 소리, 추측해서 하는 소리이까. 이럴 것이다. 혹은 ‘이렇게 들었다’라는 생각으로 말을 하는 것은 진리에 어긋나 있다라 해서 사견이라 합니다.”
사견은 나쁘다는 뜻이 아니에요. 어긋나 있다라는 뜻이에요. 진리에 어긋나 있다. 진리를 다 깨닫지 못한 상태에서 생각하는 것은 다 사견이라는 거에요.
이 문을 들어 오기 전에는 알고 있는 모든 것을 버리고 들어 와라. 그것은 사견을 다 버리고 오라는 거에요.
현재도 다 못보고 과거도 다 못보고 미래도 다 알지 못한 상태에서 자기가 과거나 현재에 경험한 것으로 혹은 자기가 사유한 것으로 바탕을 해서 그것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말로서 주장할 때는 그 경험이나 사유에 함몰 되 있는 것입니다. 자기가 경험하지 않는 것은 모르고 자기가 사유하지 않았던 부분은 또 모릅니다. 자기가 경험한 것과 사유한 것에 갇혀서 주장하는 것이 사견입니다.
과거나 현재와 미래만 모르는게 아닙니다. 무엇이 바탕이 되고 무엇이 동인이 되어 가지고 변해가는지, 모든 것이 생하고 멸하는 과정을 모릅니다.
(범일스님, 니까야 제34강 불교의 바른입문법)
가르침에 대하여 모르는 것이 사견이라 하였다. 그런 사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개인적 견해로서 사견(私見)이라 하고, 하나는 이론화 된 것으로서 사견(邪見)이라 한다.
어떤 사람이 “천당이 어디 있고 지옥이 어디 있어! 죽으면 끝나는 거여!”라 하였을 때 ‘사견(私見)’이 된다. 누구나 자신의 견해를 말할 수 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인적 견해가 이론화 되었을 때, 예를 들어 육사외도의 스승이 말하였을 때 이는 ‘사견(邪見)’이 된다. 그런데 이런 사견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정견에서 ‘빗나간’ 것이라 하였다. 마치 과녁에 화살에 빗나간 것과 같다. 디가니까야 브라흐마잘라경(D1)에 실려 있는 62가지 견해가 대표적이다.
사견은 자신의 견해에 함몰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오직 ‘이것뿐’이라 하였을 때 자신의 경험과 사유에 갇혀 있음을 말한다. 또 사견을 가진 자들은 “현재도 다 못보고 과거도 다 못보고 미래도 다 알지 못한 상태에서 자기가 과거나 현재에 경험한 것으로 혹은 자기가 사유한 것으로 바탕을 해서 그것을 주장하는 것”이라 하였다. 다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이것뿐’ 하는 것이다.
엉뚱한 길로 이끌림을
사견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르는 것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정견이고 부처님 가르침 아닌 것은 사견이라 볼 수 있다. 오직 ‘이것뿐’이라 하는 것은 부처님 가르침이 아니기 쉽다. 그래서 스승을 잘 선택하라고 하였다. 스승을 잘못 선택하면 잘못된 길로 인도하여 허송세월 하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불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범일스님은 동영상 강연 중에 이런 말을 하였다.
“저도 그랬어요. 저도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할려고 했어요. 그렇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엉뚱한 길로 이끌림을 당한 거에요. 그런게 한 두번 입니까? 그런 걸 공개적으로 얘기 하지도 못하고 물어 보지도 못하고 그래요. 이 생에서만 그 세월이 20년이에요. 다른 사람들을 오랜 세월동안 불행과 고통으로 이끌어 가는지 면밀한 검토를 해야 해요. “
(범일스님, 니까야 제34강 불교의 바른입문법)
범일스님에 따르면 엉뚱한 길로 이끌림을 당했다고 하였다. 출가해서 하라는 대로 하였더니 엉뚱한 길로 갔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십년을 낭비하였다고 했다. 이렇게 스승을 잘못 만나거나 스승이 하자는 대로 그대로 따라 하면 낭패를 볼 수 있음을 말한다. 그렇다면 어떤 스승을 선택해야 할까?
섬겨서는 안될 스승
스승도 선택할 수 있다. 스승이 제자를 길러 낼 수도 있지만 유능한 사람은 스승을 찾아 나선다. 마치 부처님이 출가하여 알라라 깔라마와 웃따까 라마뿟따를 찾아 나섯듯이 진리를 배우기 위하여 구도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그렇다고 아무나 스승으로 삼아도 될까? 유명하다고 하여 인기가 있다고 하여 믿어도 될까? 범일스님은 스승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일화를 들려 준다.
“제가 출가해서 깜짝 놀랐어요. 스님들이 굉장히 편안하게 보이고 자유롭게 보이고 자상하게 보여요. 그런데 어떨 때는 화를 내면 굉장히 쫀쫀한 일가지고 엄청나게 화를 많이 내요. 화를 내도 폭발해버려요. 그런 모습을 가끔씩 보거든요. 어떻게 저렇게 할까? 저도 의아해 했어요.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는 화를 그렇게 안 내는데 한 두 사람 있을 때는 버럭버럭 내요. 그런데 경전을 보니까, 니까야를 보니까 탐진치 중에 하나라도 걸리면 그 사람에게 배우지 말라고 그랬어요.”
(범일스님, 니까야 제34강 불교의 바른입문법)
범일스님이 놀란 것은 스님들의 이중생활에 대한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 인자해 보여도 경계에 부딪치면 본성이 나온다는 것이다. 특히 벼락같이 화를 내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고 했다. 그것도 아주 사소한 것 가지고 분노가 폭발하는 것을 말한다.
화내는 모습을 보았다면 떠나야
사람을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한 방법이 있다. 화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아주 사소한 것에도 분노한다면 인격적으로 덜 성숙된 것이다. 어떤 경우에서든지 화를 내지 않는다면 인격적으로 된 사람이다. 왜 그런가? 탐진치가 적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불교에서는 탐진치를 소멸하자고 말한다.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소멸은 불자들의 신행목적과 같다. 그런데 스님이 벼락같이 버럭버럭 화를 낸다면 어떻게 보아야 할까? 더구나 오래 동안 수행을 하여 존경받는 스님이 아주 사소한 일에 감정이 폭발하였다면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탐진치가 소멸되지 않아 깨달았다고 볼 수 없다. 그런데 부처님은 욕심부리고 화를 잘 내고 어리석은 자를 스승으로 하지 말라고 하였다. 만일 화내는 모습을 보았다면 떠나야 할 것이다.
부처님은 탐진치가 있는 자를 스승으로 삼지 말라고 하였다. 그래서 스승을 삼을때 세 가지 현상, 탐욕에 기초한 현상, 성냄에 기초한 현상, 어리석음에 기초한 현상이 있는지 조사하라고 하였다. 왜 조사하는가? 탐욕이 있는 스승이라면 오랜 세월 불행과 고통의 길로 이끌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탐욕이 있는지 조사하라고 하였다. 만일 한번이라도 탐욕이 발견된다면 그 스승을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탐욕없음이 확인 되었을 때 다음으로 성냄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일 한번이라도 버럭 화를 내었다면 떠나야 할 것이다. 화 내는 것이 발견되지 않고 어리석음이 발견되었다면 어떻게 될까? 역시 떠나야 할 것이다.
스승에 대한 믿음이 생겼을 때
스승을 잘 선택해야 한다고 하였다. 약장수처럼 “이것만이 진실이고 다른 것은 모두 거짓이다.”라고 말하는 자는 언행이 일치하지 않기 쉽다. 그러나 조사하여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된다면 믿음이 생겨날 것이다. 이런 믿음은 진리의 길로 인도한다. 그래서 맛지마니까야 ‘짱끼의 경’에서는 이렇게 표현 되어 있다.
Yato naṃ samannesamāno visuddhaṃ mohanīyehi dhammehi samanu passati. Atha tasmiṃ saddhaṃ niveseti. Saddhājāto upasaṅkamati upasaṅkamanto payirupāsati. Payirupāsanto sotaṃ odahati. Ohitasoto dhammaṃ suṇāti. Sutvā dhammaṃ dhāreti. Dhatānaṃ dhammānaṃ atthaṃ upaparikkhati. Atthaṃ upaparikkhato dhammā nijjhānaṃ khamanti. Dhammanijjhānakkhantiyā sati chando jāyati. Chandajāto ussahati. Ussahitvā tulayati. Tulayitvā pahadati. Pahitatto samāno kāyena ceva paramasaccaṃ sacchikaroti. Paññāya ca naṃ ativijjha passati. Ettāvatā kho bhāradvāja, saccānubodho hoti. Ettāvatā saccamanubujjhati. Ettāvatā ca mayaṃ saccānubodhaṃ paññāpema. Na tveva tāva4 saccānupatti hotīti.
“그는 그를 조사해서 어리석음의 현상에서 벗어나 청정한 것을 알았으므로, 거기에서 그에게 믿음이 확립되고, 믿음이 확립되면 존중하게 되고, 존중하면 섬기게 되고, 섬기면 청문하게 되고, 청문하게 되면 가르침을 배우게 되고, 배우게 되면, 가르침에 대한 새김이 생겨나고, 새김이 생겨나면, 가르침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게 되고, 의미를 고찰하게 되면 가르침에 대한 성찰을 수용하게 되고, 가르침에 대한 성찰을 수용하게 되면, 의욕이 생겨나게 되고, 의욕이 생겨나면 노력하게 되고, 노력하면 깊이 관찰하게 되고, 깊이 관찰하면 정근하게 되고, 정근하면 몸으로 최상의 진리를 깨닫게 되며, 마침내 지혜로써 꿰뚫어 보게 됩니다. 바라드와자여, 이렇게 진리는 깨달아지고, 이렇게 진리를 깨닫습니다. 이렇게 진리를 깨닫는다고 우리는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진리를 궁극적으로 성취한 것은 아닙니다.”
(Caṅkīsutta-짱끼의 경, 맛지마니까야 M95, 전재성님역)
스승에 대한 믿음이 생겼을 때 진리를 깨달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믿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존중, 섬김, 청문, 배움, 새김, 고찰, 성찰, 수용, 의욕, 노력, 정근의 과정이 일어나며 마침내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여러 단계를 거쳐서
좋은 스승을 만났을 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범일스님은 동영상강좌에서 다음과 같이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언행으로 판단해서 면밀하게 관찰해서 그 사람이 탐진치가 없다면 그럼 어떻게 하느냐? 그 사람을 신뢰하라. 믿는게 아니라 신뢰하는 거에요. 신뢰를 해서 그 사람이 가르키는 것에 대해서 믿음이 생기기 시작해요. 신뢰가 생기면 가까이 하고 싶어 해요. 자주 오고 싶어 한다. 가까이 하게 되면 존경하게 되고, 존경하게 되면 가르침을 귀 기울여서 듣게 되요. 귀담아 듣게 되면 새겨 듣게 되요. 새기면 기억하게 되요. 기억하게 되면 가르침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요. 깊이 생각하게 되면 그 가르침을 이해하기 시작해요. 이해하기 시작 하면 받아 들이기 시작합니다.”
(범일스님, 니까야 제34강 불교의 바른입문법)
스승으로부터 듣자 마자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였다. 물론 상근기라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 먼저 스승에 대한 믿음부터 출발한다. 이는 스승의 탐진치에 대하여 조사해야 한다. 신체적으로 언어적으로 정신적으로 언행이 일치하는 조사하는 것이다. 언행이 일치되면 믿음이 갈 것이다. 언행일치가 되는 스승을 따르면 그 다음 부터는 자연스럽게 진리의 길로 인도된다고 하였다. 궁극적으로 진리를 깨닫게 되고 꿰뚫어 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여러 단계를 거쳐서 진리가 성취됨을 말한다.
꿀먹은 벙어리들인가?
유튜브에는 수 많은 불교관련 법문동영상이 올려져 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자유롭게 올릴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모두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볼만한 가치가 없다. 극소수의 동영상만이 감동을 준다.
대부분 법문동영상을 보면 일방적이다. 말하는 사람 따로 있고 듣는 사람 따로 있다. 법사는 열심히 자기 이야기만 하고 청중은 듣기만 한다. 질의응답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청중들은 마치 꿀먹은 벙어리들처럼 보인다.
법문자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들을 만한 것이 별로 없다. 늘 똑 같은 이야기를 반복할 뿐이다. 오로지 ‘이것만이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는 말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다 보니 ‘이것뿐’이라든가 ‘불성’이라는 말만 반복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청중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듣고만 있다.
눈먼 봉사가 길을 인도하듯이
누군가 “이것이야말로 진리이고 다른 거짓이다.”라고 말하면 경계해야 한다. 또 누군가 “나는 이것을 다 안다. 나는 이것을 다 본다. 이것이야말로 진리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하는 자 역시 경계해야 한다. 이는 봉사가 길을 인도 하는 것 같다. 마치 선천적 봉사 뒤에 역시 선천적 봉사들이 줄을 이어 따라 가는 것과 같다. 그래서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바라드와자여, 마치 봉사들이 줄을 섰는데, 앞선 자도 보지 못하고 가운데 선 자도 보지 못하고 뒤에 선 자도 보지 못하는 것과 같이, 이와 같이 바라드와자여, 모든 성직자들이 설한 것은 봉사들이 줄을 선 것과 같이 앞선 자도 보지 못하고 가운데 선 자도 보지 못하고 뒤에 선 자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나는 생각합니다.”(M95)
2015-12-09
진흙속의연꽃
'담마의 거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이 되면 꿈에서 깨듯이, 빠꾸다 깟짜야나의 7요소설 (0) | 2015.12.20 |
---|---|
법거량(法擧量)을 보면서, 올바른 질문에 올바른 대답이 (0) | 2015.12.11 |
“나중에는 사라짐만 계속 지켜 보게 되요” 무너짐의 지혜 (0) | 2015.12.03 |
색온은 몸뚱아리가 아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십이처에서 이해해야 (0) | 2015.12.02 |
친구인척 하는 자와 좋은 친구 구별하는 방법 서른 두 가지 (0) | 2015.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