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의 거울

왜 사리뿟따를 지혜제일이라고 하는가?

담마다사 이병욱 2024. 3. 10. 10:19

왜 사리뿟따를 지혜제일이라고 하는가?
 
 
지금 시각은 오전 8시, 햇살 가득한 백권당의 아침이다. 자영업자에게 일요일은 없다. 주말은 평일의 연장선상이다. 오늘도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 한편의 글을 쓰는 것이다.
 
꽃샘 추위인가 보다 날씨가 영하이다. 그러나 햇살은 강렬해서 춥지 않게 느껴진다. 이제 더 이상 추위는 오지 않을 것 같다. 봄 같지 않은 봄이지만 결국 봄은 오고야 만다.
 
보리수에 잎이 나기 시작했다. 작년 잎이 모두 졌을 때 절망했다. 이대로 죽는 줄 알았다. 그러나 언젠가 들은 것이 있다. 보리수는 낙엽수처럼 잎이 다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보리수 잎이 이제 형태를 갖추었다. 다시는 살아날 것 같지 않을 것처럼 보였으나 이삼주전 싹이 트기 시작하더니 이제 작은 하트모양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은 기적이다.
 

 
보리수는 깨달음의 나무이다. 부처님이 정각을 이루었을 때 바로 그 나무이다. 보리수를 전달해 준 박영빈 님에 따르면 인도 보드가야 보리수 가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했다. 그러고 보면 나는 부처님의 금강좌에 있던 그 보리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
 
보리수는 좀더 지나면 잎이 무성할 것이다. 보리수의 부활이다. 하트모양에 긴꼬리를 특징으로 하는 보리수를 볼 날이 머지 않았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다. 그렇다면 부처님은 보리수 아래 금강좌에서 무엇을 깨달았을까? 이는 경전을 보면 알 수 있다. 니까야를 말한다. 사부 니까야에다 법구경, 수타니파타, 테라가타, 테리가타, 우다나, 이띠붓따까, 자타카와 같은 쿳다까니까야를 보면 알 수 있다. 여기에다 아비담마와 청정도론과 같은 논서를 보면 더욱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부처님은 팔만사천법문을 설했다. 그러나 부처님만 설법한 것이 아니다. 부처님의 제자도 설법했다. 이는 “부처님에게서 팔만이천, 수행승들에게서 이천을 받아 팔만사천의 법문을 나는 담지하고 있다.”(Thag.1030)라는 테라가타 게송으로 알 수 있다.
 
해인사에 가면 팔만대장경이 있다. 한역대장경이다. 그런데 대장경 전문가에 따르면 외도의 가르침도 있다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하여 팔만대장경 전문가는 팔만대장경은 일종의 백과사전과 같은 것이었다고 말한다. 편집 당시에 유행하던 외도 사상도 넣었기 때문이다.
 
 
니까야에서 외도 사상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용으로 사용된다. 마치 니까야에 등장하는 악마와 같은 것이다.
 
니까야에서는 마라라고 불리우는 악마가 수도 없이 등장한다. 부처님의 깨달음을 방해하는 목적도 있고 부처님의 제자들이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목적도 있다. 이렇게 니까야에 악마가 등장하는 것에 대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분명하게 드러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외도의 사상은 악마의 속삭임과 같은 것이다. 외도의 가르침을 소개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외도의 사상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한역팔만대장경에서 외도 사상에 대한 책은 단지 이런 사상이 있다는 것을 소개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으로 보인다.
 
니까야에는 부처님 가르침만 있는 것은 아니다. 팔만사천에서 팔만이천은 부처님이 설법한 것이고 나머지 이천은 제자들이 설법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사리뿟따 존자가 설법한 것이 가장 많다.
 
사리뿟따 존자를 한역에서는 사리불이라 하여 지혜제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니까야에서는 법의 장군이라고 한다. 이런 말은 경전적 근거가 있다.
 
부처님에게는 뛰어난 제자들이 있었다. 그런데 반드시 출가자만 제자였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재가의 제자들도 있었다. 그래서 사부의 제자가 있었는데 모두 팔십명에 달한다.
 
부처님에게는 비구제자 열명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비구, 비구니, 청신사, 청신녀의 팔십대 제자가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앙굿따니까야에서 A1.196에서 A1.275에 근거한다. 부처님의 팔십대 제자의 구성을 보면, 비구는 안냐꽁당냐를 비롯하여 47명, 비구니는 마하빠자빠띠고따미를 비롯하여 14명, 청신사는 찟따 맛치산디까를 비롯하여 9명, 청신녀는 수자따를 비롯하여 10명이다.
 
팔십명의 제자 중에는 중복되는 제자도 있다. 쭐라 빤타까와 수부띠는 두 번 중복된다. 그런데 아난다는 무려 다섯 번 중복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아난다는 부처님의 시자로서 일차결집할 때 경전에 대하여 가르침을 전했다. 그래서일까 팔십대제자 중에 무려 다섯 번 중복 되었다. 이를 나열해 보면, 1) 많이 배운 님 가운데 제일(bahussutāna), 2) 새김을 확립한 님 가운데 제일(satimantāna), 3) 행동거취가 분명한 님 가운데 제일(gatimantāna), 4) 의지가 확고한 님 가운데 제일(dhitimantāna), 5) 시중드는 님 가운데 제일(upaṭṭhākāna) 이라고 했다.
 
부처님의 으뜸제자는 해당분야에서 최고를 뜻한다. 마치 해당분야의 전문가와 같고 프로페셔널과도 같은 것이다. 그래서 에따드악가(etadagga)라는 칭호를 붙여 주었다. 이는 ‘the chief, the best’의 뜻이다. 한역에서는 제일(第一)이라고 했다.
 
아난다는 제일이라는 칭호가 다섯 개나 된다. 이에 반하여 지혜제일이라 불리우는 사리뿟따는 ‘위대한 지혜를 지닌 님 가운데 제일(mahāpaññāna)’라는 칭호 하나밖에 없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그러나 아난다가 제일 칭호 다섯 개를 가진 것에 대한 설명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추론할 수 있다. 그것은 어쩌면 법을 전달한 자의 프리미엄일지 모른다.
 
한역에서는 십대제자라고 한다. 이는 앙굿따라니까야 팔십대제자에서 선정한 것이라고 보여진다. 참고로 십대제자에 해당되는 제자는 다음과 같다.
 
1) 사리뿟따(sāriputta): 위대한 지혜를 지닌 님 가운데 제일(mahāpaññāna): 智慧第一
2)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 신통을 지닌 님 가운데 제일(iddhimantāna): 神通第一
3) 마하깟사빠(mahākassapa): 두타를 설하는 님 가운데 제일(dhutavādāna): 頭陀第一
4) 뿐나 만따니뿟따(puṇṇa mantāiputta): 가르침을 설하는 님 가운데 제일(dhammakathikāna): 說法第一
5) 마하 깟짜나(mahākaccāna): 간략하게 설해진 것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는 님 가운데 제일(sakhittena bhāsitassa vitthārena attha vibhajantāna): 論議第一
6) 수부띠(subhūti): 평화롭게 사는 님 가운데 제일(araavihārīna); 解空第一
7) 라훌라(rāhula): 배우기를 열망하는 님 가운데 제일(sikkhākāmāna); 密行第一
8) 아난다(ānanda): 많이 배운 님 가운데 제일(bahussutāna): 多聞第一
9) 우빨리(upāli); 계율을 지키는 님 가운데 제일(vinayadharāna): 持律第一
 
 
한역에서 십대제자는 니까야에 실려 있는 제자와 일치하는 것도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것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부처님의 제자는 반드시 비구승만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비구니도 있고 재가의 청신사와 청신녀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불교는 사부대중의 종교임에 틀림 없다.
 
사리뿟따는 지혜제일로 불리운다. 이는 지혜를 가진자 가운데 최고임을 말한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 사리뿟따는 법의 장군으로도 불리운다. 이는 수타니파타와 맛지마니까야에서 바라문 셀라가 부처님에게 “그렇다면 누가 당신의 장군입니까?”(Stn.555)라고 물어 본 것에서 알 수 있다. 이에 부처님은 “쎌라여, 내가 굴린 위없는 바퀴, 위없는 가르침의 바퀴를 싸리뿟따가 따라서 굴립니다.”(Stn.555)라고 대답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부처님은 사리뿟따가 ‘가르침의 장군(dhamma senāpati)’임을 말해주었다. 그래서일까 남방 테라와다불교에서는 지혜제일 사리뿟따라는 말 대신에 가르침의 장군 사리뿟따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사리뿟따는 지혜제일이기도 하고 가르침의 장군이기도 하다. 이는 부처님 다음으로 담마에 대하여 많이 아는 제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리뿟따 존자의 지혜는 매우 광대하다는 것이다. 이는 아난다가 부처님에게 “존자 사리뿟따는 커다란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자 사리뿟따는 넓은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자 사리뿟따는 명쾌한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자 사리뿟따는 빠른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자 사리뿟따는 예리한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자 사리뿟따는 꿰뚫는 지혜를 가지고 있습니다.”(S2.29)라고 말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사리뿟따가 지혜제일인 것은 이유가 있다. 이는 1)커다란 지혜, 2)넓은 지혜, 3)명쾌한 지혜, 4)빠른 지혜, 5)예리한 지혜, 6)꿰뚫는 지혜, 이렇게 여섯 가지 지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리뿟따는 지혜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
 
오늘 새벽 위빳사나 수행방법론을 읽다가 사리뿟따가 지혜제일이자 법의 장군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발견했다. 그것은 사리뿟따의 법에 대한 지혜는 매우 예리하다는 것이다. 이는 맛지마니까야에서 “첫 번째 선정의 상태로서 사유, 숙고, 희열, 행복, 마음의 통일, 접촉, 느낌, 지각, 의도, 마음, 의욕, 결정, 정진, 새김, 평정, 주의를 기울임, 이러한 상태들이 차례차례 일어나는 대로 통찰되었다.”(M111)라는 구절로 알 수 있다.
 
사리뿟따는 법을 관찰한지 14일만에 아라한이 되었다. 이는 목갈라나가 7일만에 아라한이 된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대하여 마하시 시야도는 위빳사나 수행방법론에서 지팡이의 비유로 설명했다. 어떤 것인가?
 
 
목갈라나 존자의 관찰이 성근 모습을 설명한 '마치 지팡이 끝으로 띄엄띄엄 짚어 가듯이(yaṭṭikotiyā uppīento viya)'라는 비유 구절을 깊이 숙고해 보라. 지팡이를 짚고 걸어 갈 때 지팡이가 땅에 닿는 부분은 매우 적고 닿지 않는 부분이 아주 넓은 것과 마찬가지로 제자들의 주 명상대상 중, 관찰하지 않은 법들이 많았고 관찰한 법은 아주 적었다.”(위빳사나 수행방법론 1권, 344쪽)


 
목갈라나가 7일만에 아라한이 된 것은 법을 성글게 관찰했기 때문이다. 마치 지팡이를 짚듯이 띄엄띄엄 관찰한 것이다. 그러나 사리뿟따는 면밀하게 관찰했다. 어느 정도인가? 이는 첫 번째 선정의 상태에서 “사유, 숙고, 희열, 행복, 마음의 통일, 접촉, 느낌, 지각, 의도, 마음, 의욕, 결정, 정진, 새김, 평정, 주의를 기울임”(M111)이렇게 16가지 상태들이 일어나는 대로 통찰한 것이다.
 
사리뿟따는 초선정부터 시작하여 모든 선정의 법을 관찰했다. 관찰했을 때 법의생성과 머묾과 소멸이 분명한 것을 본 것이다. 그런데 이런 법들은 선정에 입정하기 전에는 아직 없었다는 것이다.
 
사리뿟따는 없던 법을 관찰했다. 한번도 경험해 보지 않은 법을 관찰한 것이다. 그런데 이런 법은 특징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나서는 사라져 버린다.”라는 것이다. 이는 맛지마니까야 111번 경에서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 알 수 있다.
 
 
“그는 새김을 가지고 그러한 성취에서 일어났다. 그러한 성취에서 새김을 가지고 일어나서 이제는 소멸하고 변해버린 과거의 상태를 이와 같이 ‘과연 이러한 상태들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생겨났고, 존재했지만 사라졌다.’라고 관찰했다. 그는 이러한 상태와 관련하여 친근하지 않고, 빠져들지 않고, 집착하지 않고, 묶이지 않고, 구속되지 않고, 계박되지 않고, 자유로운 마음으로 지냈다. 그는 ‘이것이 최상의 벗어남이다.’라고 분명히 알았다. 그러나 그는 ‘더욱 널리 닦아야 할 것이 더 이상 없다.’라고 생각했다.”(M111)
 
 
경에서는 “과연 이러한 상태들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생겨났고, 존재했지만 사라졌다.”라고 했다. 처음 접해 보는 법에 대한 것이다. 이는 법의 고유한 성품을 표현한 것이다. 어떤 법도 영원하지 않음을 말한다.
 
영원한 것이 있다면 집착하는 마음이 생겨날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것도 영원하지 않은 것을 알았을 때 더 이상 집착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친근하지 않고, 빠져들지 않고, 집착하지 않고, 묶이지 않고, 구속되지 않고, 계박되지 않고, 자유로운 마음으로 지냈다.”라고 했다. 자유를 얻은 것이다. 해탈한 것이다. 그래서 “이것이 최상의 벗어남이다.”라고 알았다. 그리고 “더욱 널리 닦아야 할 것이 더 이상 없다.”라고 알았다. 더 이상 배울 것도 없고 더 이상 닦을 것도 없는 아라한이 된 것이다.
 
위빳사나 수행방법론에서는 맛지마니까야 111번 경에 대하여 주석을 인용하여 보충설명을 해주고 있다. 법의 무상성에 대하여 ‘한 손가락 끝으로 같은 손가락 끝에 닿을 수 없는 것과 같다.’(1권, 347쪽)라고 했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한 마음으로 그 똑 같은 마음이 일어나고, 머물고,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순간에 두 마음이 있을 수 없음을 말한다.
 
위빠사나 수행처에서 늘 듣는 말이 있다. 그것은 한마음에서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말이다. 한 순간에는 한마음만 있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이는 한 손가락 끝으로 같은 손가락 끝에 닿을 수 없는 것과 같은 말이다.
 
만약 한 마음으로 다른 마음을 알 수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아마 접촉도 두 개, 느낌도 두 개, 인식도 두개, 의도도 두 개, 의식도 두 개가 동시에 생겨날 것이다. 이런 일은 있을 수 없다. 한마음에 하나씩만 생겨난다.
 
흔히 심념처를 마음보는 수행이라고 말한다. 마음이 마음을 보는 수행을 말한다. 이는 마음의 동시성을 거부한 것이다. 마음은 연속해서 일어나는데 뒤의 마음이 앞의 마음을 보는 것이 마음보는 수행, 즉 심념처라고 하는 것이다.
 
두 마음이 있을 수 없다. 그럼에도 동아시아 전통의 불교에서는 본래마음, 본마음, 참나가 있다고 말한다. 또한 지켜 보는 마음이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빠사나 수행에서는 지켜 보는 마음, 본마음 같은 것은 없다고 말한다. 이는 마음의 동시성을 부정한 것이다.
 
마음은 일어났다가 사라진다. 뒤의 마음이 앞의 마음을 알게 된다. 마음은 생멸하는 것이다. 마음(의식) 뿐만 아니라 물질도 생멸하고 느낌도 생멸하고 지각도 생멸하고 의도도 생멸한다. 오온은 생멸하는 것이다.
 
오온이 생멸하는 것은 법의 근본 성품이다. 위빠사나 수행자는 법의 생멸하는 성품을 본다. 사리뿟따가 본 것은 16가지 법들의 의지처와 토대를 분석하여 아라한이 되었다. 이에 대하여 위빳사나 수행방법론에서는 “그렇게 분명한 법들을 관찰하는 것, 아는 것만을 생멸의 지혜, 무너짐의 지혜 등에서 찰나현재에 해당되는 법을 관찰한다.”(1권, 347쪽)라고 했다. 이렇게 여덟 가지 선정에 입정하여 위빳사나로 차례로 법관찰하는 것에 대하여 ‘차례대로 법관찰 위빳사나(anupadadhammavipassana)’라고 한다.
 
지혜의 능력에 따라 법을 관찰하는 것은 다 다르다. 이는 관찰이 성근 것을 말한다. 관찰이 거칠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래서 “상수제자 중에 두 번째 제자인 마하 목갈라나 존자의 관찰모습조차 지팡이를 짚는 비유를 할 정도로 그렇게 성글다면, 대제자들의 관찰모습은 그보다 더 성글 것이다. 일반 아라한, 아나함, 사다함, 수다원, 범부들의 관찰모습도 단계적으로 더욱 성글 것이라고 유추해서 알아야 한다.”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1권, 344쪽)라고 했다.
 
 
사리뿟따가 지혜제일인 것은 경전적 근거가 있다. 이는 맛지마니까야 11번 경에서 16가지 법들을 차례로 관찰한 것이 증거가 된다. 이런 관찰에 대하여 주석에서는 사리뿟따가 “아라한과에 이른 후에 ‘지혜에 있어서 나를 따라올 다른 제자는 없다.’라고 알았다.”(MA.iv.58)라고 언급되어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이것이 어쩌면 지혜제일 사리뿟따가 된 것인지 모른다.
 
오늘도 한편의 글을 완성했다. 오늘 점심 때 일정이 있어서 속도전을 했다. 이렇게 숙제를 하고 나면 개운 한 것 같다. 이제 빨리 나가 볼 시간이다.
 
 
2024-03-10
담마다사 이병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