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주(大悲呪)9] 산스크리트 현대무곡쾌속판3 [대비주(大悲呪)9] 산스크리트 현대무곡쾌속판3 Sukhavati 모든 중생이 무명에서 깨어나 성불 하기 전까지는 결코 성불 하지 않겠다고 서원한 관세음보살의 보살행을 찬탄 하는 노래 입니다. 보살 보(菩)는 슬기를 닦음이요, 살(薩)은 복을 닦음이라고 풀이하는 학자도 있다. 보시바라밀,시라바라밀,인욕.. 불교명상음악 2007.08.15
농악(農樂)은 왜 사람들을 들뜨게 만들까 농악(農樂)은 왜 사람들을 들뜨게 만들까 북과 장구, 징 그리고 꽹가리의 소리가 사람을 불러 모은다. 농악이 반드시 복장과 격식을 갖추고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 있는 곳이든 없는 곳이든 ���과 꽹가리가 울리면 사람들이 몰려 들게 마련이다. 흥에 겨워 두드리는 징과 꽹가리는 보는 .. 진흙속의연꽃 2007.08.14
[티벳어 만트라2]녹색타라 맑은창송(藏音 葛莎雀吉 清唱 ) [티벳어 만트라2]녹색타라 맑은창송(藏音 葛莎雀吉 清唱 ) 티베트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이 흘리는 자비의 눈물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타라는 관세음보살과 더불어 티베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보살입니다. 타라보살 수억 겁 전 아다 부처님〔鼓音如來〕 시절에 이셰다와〔慧月〕라는 공주는 수.. 불교명상음악 2007.08.14
[팔리어 만트라4] 사자게(Narasiha-Gatha),황혜음(Imee Ooi) [팔리어 만트라4] 사자게(Narasiha-Gatha 狮子偈),황혜음(Imee Ooi) Vajrasattva 팔��어(Pali language) 남전불교 경전에 쓰인 종교 언어로 인도 북부에 기원을 둔 중세 인도아리아어 입니다. 전체적으로 팔리어는 고대 인도아리아 베다 방언 및 산스크리트 방언과 가까운 것 같지만 이 언어에서 직접 유래하.. 불교명상음악 2007.08.13
새로운 장묘문화인 납골당이 있는 파주 보광사(普光寺) 새로운 장묘문화인 납골당이 있는 파주 보광사(普光寺) 장묘문화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예전에는 매장 위주이었으나 요즘에는 화장위주로 바뀌는 것을 보니 시대와 함께 장묘문화도 바뀌는가 보다. 부처님 당시 인도에서도 매장 보다는 화장이 더 수승한 장례방법이었다고 한다. 화장할 나무를.. 국내성지순례기 2007.08.12
[반야심경 만트라 5] 광동어(廣東語)판,황혜음(黃慧音, Imee Ooi)창송 [반야심경 만트라 5] 광동어(廣東語)판,황혜음(黃慧音, Imee Ooi)창송 반야심경 [般若心經, Prajnaparamitah0daya-sutra]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수차례에 걸쳐 간행되고 널리 읽혀져왔다. 이 작은 경은 그 제목에 걸맞게 반야바라밀다의 핵심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어서 다른 반야바라밀다 계통의 짧은 경전들이 보.. 불교명상음악 2007.08.12
법당의 기단석에 이름를 새기는 행위는 탐욕의 징표 법당의 기단석에 이름를 새기는 행위는 탐욕의 징표 <전각의 기단석 전체가 시주자의 이름으로 도배 되어 있다. 강남의 모 전통사찰이다> 우리나라에는 전통사찰이 800여곳이나 된다고 한다. 그 것도 대부분이 천년고찰이다. 아직도 북원되지 못한 폐사지가 수백군데가 넘는 다고 하니 새삼 우리.. 진흙속의연꽃 2007.08.11
[대비주(大悲呪)8]산스크리트 현대무곡쾌속판2 [대비주(大悲呪)8]산스크리트 현대무곡쾌속판2 Yeshe Tsogyal 보살 원어는 보리살타(Bodhisattva). 보살은 보리살타(菩利薩陀)의 준말로서 각유정(覺有情), 고사(高士), 개사(開士), 대사(大士), 시사(始士) 등으로 의역하고 있다. 보살이란 일반적으로는 대승불교에 귀의하여 성불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이를 .. 불교명상음악 2007.08.11
[티벳어 만트라1]녹색타라 황혜음(黃慧音,Imee Ooi)창 [티벳어 만트라1]녹색타라 황혜음(黃慧音,Imee Ooi)창 티베트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이 흘리는 자비의 눈물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타라는 관세음보살과 더불어 티베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보살입니다. 타라는 산스크리트 명이고 티벳어로는 돌마라고 하는데 돌마는 티베트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이기.. 불교명상음악 2007.08.10
[옴마니반메훔 만트라 6] 산스크리트 제예(齊豫)판 [옴마니반메훔 만트라 6] 산스크리트 제예(齊豫)판 Vasudhara 옴, 마, 니, 반, 메, 훔 이 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외우는 것은 매우 좋다. 그러나 진언을 외우는 동안 그 뜻을 생각해야만 한다. 이 육자의 뜻은 매우 크고 넓기 때문이다. 처음 옴(Om)은 세자 AㆍUㆍM으로 되어 있다. 이들 글자는 수행자의 부정한 .. 불교명상음악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