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불자가 바라는 한국불교개혁 보통불자가 바라는 한국불교개혁 20년동안 직장생활 했습니다. 1985년 입사 하여 2005년 직장을 나올 때 까지 만 20년 동안 월급생활자로 살았습니다. 물론 여러 회사를 전전 했습니다. 처음 들어간 직장에서 7년 있었으니 장수 한 셈 입니다. 첫 직장에서는 늘 위기를 강조 했습니다. 심지어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21
불자답게 삽시다? 가르침(Dhamma)대로 살면 불자답게 사는 것 불자답게 삽시다? 가르침(Dhamma)대로 살면 불자답게 사는 것 조계종 기관지보다 더 기관지다운 법보신문에서 최근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불자답게 삽시다” 입니다. 불자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마치 “학생은 학생답게” 라는 구호가 자연스럽게 생각납니..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20
안하는 것인가 못하는 것인가, 불교리더들의 게으름과 무능력 안하는 것인가 못하는 것인가, 불교리더들의 게으름과 무능력 현재 교계신문사이트에는 글이 세 개 돌고 있습니다. 불교닷컴에 ‘자현 스님의 갑질은 언제까지(2016-08-11)’라는 제목으로 기고문이 실렸습니다. 그리고 불교포커스에는 ‘공멸로 이끄는 조직침묵(2016-08-11)’라는 제목으로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16
출가자의 재가자 비판은 넌센스 출가자의 재가자 비판은 넌센스 출가자와 재가자는 비교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재가자중에 출가자가 나오고, 출가자라 하더라도 환속하면 재가자가 됩니다. 재가자는 출가자의 ‘밭’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재가자는 세간에 살고, 출가자는 출세간에 삽니다. 그러다 보니 추구하는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13
뉴스앤조이가 그랬던 것처럼, 비판속에 한국불교는 성장한다 뉴스앤조이가 그랬던 것처럼, 비판속에 한국불교는 성장한다 비판적인 글에 대하여 악영향을 우려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국경이 없는 인터넷시대에 블로그나 카페, 게시판에 올린 불교비판 글이 누군가에게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비판을 수용할 수 있는 불자라면 문..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13
스님 보다 더 수행자다운 재가수행자가 되었을 때 스님 보다 더 수행자다운 재가수행자가 되었을 때 불교는 개혁되어야 한다.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총무원장 직선제만 성취되면 자동적으로 개혁이 되는 것일까? 그런 것 같지 않다. 지난 1994년 조계종 종권사태가 이를 말해 준다. 94년 당시 3선을 꿈꾸던 총무원장을 힘으로 끌어 내렸다.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12
공멸로 이끄는 조직침묵 공멸로 이끄는 조직침묵 부부싸움 네 단계 부부싸움 할 때 몇 단계 과정이 있습니다. 서로 단점을 지적하는 단계가 부부싸움의 발단이 되기 쉽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비난입니다. 비난하면 상대방은 발끈하게 되어 있습니다. 평소 감정이 쌓여 있다면 마치 짚에 불을 지피는 것처럼 분노..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08
스님 우월주의는 극복되어야 한다 스님 우월주의는 극복되어야 한다 스님의 어원에 대하여 스님의 어원에 대하여 말이 많다. 스님은 ‘승님’에서 받침이 탈락하여 ‘스’님이 되었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스승’님에서 가운데 글자가 탈락하여 ‘스님’이 되었다는 설, 그리고 중국에서 승을 ‘스’로 발음하기 때문..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07
승가공동체회복과 사부공동체의 실현을 위하여 승가공동체회복과 사부공동체의 실현을 위하여 총무원장직선제, 이 시대에 반드시 이루어 내야 할 시대적 소명입니다. 그리고 한국불교백년대계를 위한 대작불사입니다. 그럼에도 기득권프레임에 집착하고 있는 일부 스님들은 사실상 반대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직선제반대 이유가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8.05
거리의 탁발승이 진짜 스님? 거리의 탁발승이 진짜 스님? 종종 안양 중앙시장에 갑니다. 물건을 사기 위해서도 가지만 생생한 삶의 현장을 보기 위해서도 갑니다. 그런데 시장에서 목탁치는 스님을 발견 했습니다. 스님을 행색을 보았을 때 위의(威儀)라고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나이든 자그마한 체구의 노인 .. 한국불교백년대계 2016.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