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방송, 이제 더 이상 국민을 상대로 장난 치지 않도록 신문과 방송, 이제 더 이상 국민을 상대로 장난 치지 않도록 사람은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아 하고 피곤하면 쉬어야 한다. 지극히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생활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이에 더하여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과정에서 수 많은 사람을 만나고 지식과 정보.. 진흙속의연꽃 2007.03.08
원증국사(圓證國師) 보우(普愚)선사의 부도탑이 있는 용문산 사나사(舍那寺) 원증국사(圓證國師) 보우(普愚)선사의 부도탑이 있는 용문산 사나사(舍那寺) 봄비가 내린다. 3월초에 내리는 비는 꽃샘추위를 몰고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오는 봄은 막을 수 없을 것이다. 봄의 초입이긴 하지만 봄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초목에서 싹이 돋아나고 신록이 우거질 때가 진.. 국내성지순례기 2007.03.04
오체투지 10만배, 경전 10만독, 사경 10만자를 목표로 오체투지 10만배, 경전 10만독, 사경 10만자를 목표로 수행 한다면 해마다 이맘 때 쯤이면 어김없이 졸업과 입학식이 열린다. 때가 되면 다음 기수들을 위하여 물러 가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사람은 이렇게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세상으로 쏟아져 나올 수 밖에 없는 운명을 가진.. 진흙속의연꽃 2007.03.04
한강전망이 최고인 운길산 수종사(水鐘寺) 한강전망이 최고인 운길산 수종사(水鐘寺) 대부분의 국민들이 도시생활을 한다. 거의 90프로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비좁은 도시에서 생존경쟁을 하며 하루 하루를 버티어 나가는 것이다. 도시생활이 편리한 점도 있고 기회의 땅이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삭막하기 그지 없는 곳이다. 살아 가면서 도시.. 국내성지순례기 2007.03.01
사람이 가졌으면 얼마나 가졌고 또 알면 얼마나 알까 사람이 가졌으면 얼마나 가졌고 또 알면 얼마나 알까 3월이다. 3월은 절기상으로 봄이 시작 되는 달이다. 또 모든 학교가 개학이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새로운 만남이 시작 되는 활기찬 계절이 시작 되는 것이다. 봄이 되어서 새로운 싹이 자라나는 것을 보면 순환주기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싹이 .. 진흙속의연꽃 2007.03.01
콘트롤씨(Control C)와 콘트롤브이(Control V) 콘트롤씨(Control C)와 콘트롤브이(Control V) 컴퓨터가 출현한 이래 최대의 장점을 꼽으라면 단연 카피기능을 들 수 있겠다. PC가 본격화 되기 전에는 복사기에서 복사해서 문서를 사용 하였다. 그 때에는 원본과 복사본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 하였으나 디지털시대에 들어와서 원본과 복사본의 의미가 없어.. 진흙속의연꽃 2007.02.28
엔트로피법칙과 제행무상 엔트로피법칙과 제행무상 엔트로피법칙이라는 말이 있다. 엔트로피라는 말은 전혀 낯선 말이 아니다. 이미 중고등 학교시절에 배운 용어이다. 그 때 당시에는 엔탈피법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엔트로피법칙이라는 말이 유행하게 된 것은 제레미 리프킨이 ‘엔트로피 법칙’이라는 책을 발간 하.. 진흙속의연꽃 2007.02.26
바로 지금 여기만 있다면 과거도 없고 또한 미래도 없다 바로 지금 여기만 있다면 과거도 없고 또한 미래도 없다 한때 전생이야기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최면을 걸어 전생을 보고 온 이야기를 TV에서 오락시간에 방영한 것이다. 사실 새로울 것도 없는 것이 전생 이야기 이다.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왔고 다 아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생이야기가 유.. 진흙속의연꽃 2007.02.25
반복되는 인간의 어리석음 반복되는 인간의 어리석음 역사는 반복된다. 그러면서 조금씩 진보한다. 물론 혁명처럼 급격하게 변하기도 하고 그에 대한 반동으로 후퇴 하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하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진보 하고 있음에 틀림 없다.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그리고 정보사회로 진화해 온 것은 과거 수 십년 동안 겪.. 진흙속의연꽃 2007.02.23
육체와 정신은 인연에 따라 잠시 모인 것일 뿐 영원한 것은 없다 육체와 정신은 인연에 따라 잠시 모인 것일 뿐 영원한 것은 없다 명절때가 되면 여러 세대가 모여서 덕담을 나누기도 하지만 대체로 나이 드신 분들의 이야기에 경청 하는 분위기이다. 주로 나누는 이야기중의 하나는 죽음에 관한 문제이다. 대부분 건강하게 살다가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죽기를 바.. 진흙속의연꽃 2007.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