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여인의 연등(蓮燈) 하나 가난한 여인의 연등(蓮燈) 하나 빈자일등(貧者一燈)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부처님 당시에 가난한 여인이 있었다. 부처님이 마을에 온다는 소식을 듣고 부처님에게 공양을 하려 하는데 가진 것이 없어서 공양을 할 수 없었다. 간신히 마련한 몇 푼의 동전으로 초라한 등을 사서 지나가는 길목에 걸어 놓.. 진흙속의연꽃 2007.05.04
둑카(dukkha), 그 고통의 뿌리 둑카(dukkha), 그 고통의 뿌리 요즘에는 원래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유행인가 보다. 거리의 간판에서 TV나 라디오에서 또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영어 그대로의 발음을 사용 하는 것이 허다 하다. 심지어는 광고문안에서부터 거리의 간판까지 외국어로 표기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도 시대의.. 진흙속의연꽃 2007.05.01
산을 좋아 하는 사람들에게 산사는 항상 열린 공간 – 불암산 불암사 산을 좋아 하는 사람들에게 산사는 항상 열린 공간 – 불암산 불암사 화창한 봄날이다. 불과 2,3주 전까지만 해도 초록이 그리웠으나 이제는 어디를 가나 초록의 물결이다. 순식간에 세상이 뒤 바뀐듯한 느낌이다. 자연은 이렇게 소리소문 없이 세상을 바꾸어 놓는다. 이러한 극적인 변화를 볼 수.. 국내성지순례기 2007.04.29
하와이에 해수관음상을 하와이에 해수관음상을 선재동자가 구도여행 하면서 만난 선지식은 53명이다. 선재가 만난 선지식을 보면 우선 보살이 다섯(문수․관음․정취․미륵․보현보살)이다. 그리고 비구 5(덕운․해운․선주․해당․선견비구), 비구니 1(사자빈신비구니), 우.. 진흙속의연꽃 2007.04.29
2007 연등축제, 삼바축제 못지 않은 세계의 축제로 2007 연등축제, 삼바축제 못지 않은 세계의 축제로 거리에 연등이 걸려 있는 것을 보니 부처님오신날이 머지 않았음을 알리는 것 같다. 계절의 여왕인 화사한 5월에 항상 부처님오신날이 있었다. 부처님오신날을 축하 하는 대규모 행사가 연등축제이다. 올해 연등측제는 5월 20일에 열린다. 부처님오신.. 진흙속의연꽃 2007.04.26
관세음보살찾아 삼만리.. 남해바다 연화사와 보덕암 관세음보살찾아 삼만리.. 남해바다 연화사와 보덕암 이번에 기별 순례법회는 남해의 연화사에 가기로 결정 되었다. 연화사는 통영항에서 배로 50분 타고 가면 망망대해에 떠 있는 작은 섬 연화도에 있다.연화사의 역사는 6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 간다. 600년인 연산군 시절에 한 도인이 이곳으로 피신 하여 득도 하였는데 사후에 수장하여 물고기들에게 공양 할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그 후에 한 송이의 연꽃으로 변한데서 섬이름이 유래 된다. 또 사명대사가 득도 한곳도 이곳이고 특히 그를 흠모 하여 따라온 여인과 누님도 모두 이곳에서 출가 하여 비구니 스님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과거에 불교와 인연이 깊었던 이곳 절해고도 연화사는 현재 쌍계사 조실로 주석하시고 있는 고산스님의 원력으로 20년전부터 불사가 시작 .. 능인작은법회 2007.04.23
선근공덕을 심어 놓아야 선근공덕을 심어 놓아야 두다리가 없는 장애인이 힘겹게 계단을 오르고 있다. 2층 이상에서 사는가 보다. 두다리가 없다 보니 두팔을 이용하여 한계단 오르고 크게 한숨 내쉬고 또 한계단 오르고 하는데 2층 까지 수십분은 걸릴 것 같다. 2층 밖에 안되지만 두다리가 없는 그는 설악산 등정 하는 것보다.. 진흙속의연꽃 2007.04.20
신문은 종교비평에 왜 약한 모습일까 신문은 종교비평에 왜 약한 모습일까 얼마 전에 발표된 뉴스를 보면 이삼십년전에 예측된 전망들이 모두다 빗나간 경우의 기사를 보았다. 70년대 오일쇼크가 일어 났을 때 향후 30년정도가 지나면 자원이 고갈 될 이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아직도 얼마가 묻혀 있는지 파악도 되고 있지 않다. 80년대에 일.. 진흙속의연꽃 2007.04.18
가슴속에서 일렁이는 잔잔한 환희를 주체 할 수 없어 가슴속에서 일렁이는 잔잔한 환희를 주체 할 수 없어 한창이던 벗꽃도 지려 하고 있다. 벗꽃은 다른 꽃과 달리 꽃이 먼저 피고 꽃이 떨어질 즈음에 잎사귀가 돋아 난다. 벗꽃의 잎사귀가 돋아날 즈음을 전후해서 일제히 모든 나무에서 초록이 빛을 발하기 시작 한다. 물론 늦깍이로 피는 아카시나무와 .. 진흙속의연꽃 2007.04.17
대한민국에는 왜 이렇게 교회가 많은가 대한민국에는 왜 이렇게 교회가 많은가 도시나 농촌 심지어는 산간에도 교회는 어김없이 들어차 있다. 먼 훗날 누군가 지금의 거리 풍경을 떠 올려 보라고 하면 뾰족이 솟아 있는 무수한 교회 건물이 있는 도시 풍경을 연상 할 것이다. 도처에 널려 있는 교회는 심지어는 한 건물 안에도 여러 개가 있.. 진흙속의연꽃 2007.04.15